•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평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3-170)

2015 개정 교육과정과 MYP는 평가의 철학 및 방향에서 공통적인 특징들을 파 악할 수 있다. 1) 교육 목표와 내용, 교수 학습 방법과의 일관성을 강조하고, 2) 평가는 교육 목표에 대한 도달도를 확인 할 뿐만 아니라 3)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배움을 격려하고 배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촉진한다. 그 리고 4) 평가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한다. 마지막으 로 5) 학습의 과정 및 학습의 수행에 관한 평가를 강조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 러한 평가의 철학과 방향은 평가의 내용과 평가의 방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다. 다음에서는 이와 같은 평가의 방향을 고려하면서 통합의 측면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MYP의 평가 내용과 평가의 방법을 살펴보겠다.

(1) 평가의 내용

2015 개정 교육과정과 MYP의 통합교육과정의 평가 내용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기도 하지만 둘다 평가 내용에 통합에 대한 사고력을 포함한다는 공통점이 있

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역량을 중심으로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통합적 사고력은 통합사회의 교과 역량 중 하나로서, 평가 내용에 포 함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적 사고력은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에 대한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 사회, 세계의 다양한 현상을 통 합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교육부, 2015c). 이정우(2018)는 여기에서 역사 영역, 지리 영역, 일반사회 영역, 도덕 영역이라 하지 않고 ‘관점’과 결합하 고는 이유는 사회과학의 기초 지식 자체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접근을 강조하는 것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한편, MYP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같이 평가 내용에 통합적 사고력이라 는 용어가 제시되지는 않지만, 평가기준 A ‘교과 교육에 기반하기’와 B ‘종합하 기’는 통합하는 능력을 평가 내용에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교과 간 통합의 평가기준 A ‘교과 교육에 기반하기’에서는 교사는 통합과 관계 된 교과 및 영역의 사실적, 개념적, 그리고/또는 과정적 지식을 평가한다.

‘교과 교육에 기반하기’에서는 교과에서 학습한 사실적, 개념적, 그리고 절차적 지식에 대한 이해를 평가한다. 교사는 이때, 교과의 네 가지 평가기준 중에서 특 정 평가기준에 기반하여 학생들의 성취수준(achievement level)을 결정한다. 이는 통합 단원에서 이루어지는 총괄 평가에 기반하여 성취수준을 결정하거나 관련 교 과 및 영역의 학습에 대한 과제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교과 교육에 기반하기’에 대한 학생의 성취수준은 통합에 관계된 모든 교과들의 공동의 평가 결과이며, 교사들이 협의하여 결정한다. 교과 또는 과목별로 학생의 성취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면, 교사는 ‘최적(best-fit)’의 전문적 판단을 통해 학생의 교과 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도를 나타내는 적절한 성취수준을 결정해야 한 다.

IBO(2014c, 53)

한편 MYP 평가기준 B ‘종합하기’에서는 교과 또는 과목의 이해를 종합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MYP 총론적 성격의 문서에서는 ‘종합하다’라는 용어를 ‘새로운 이해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합치다’로 기술하고 있다(IBO, 2014h, 120). 평가기준 B는 교과 교육의 사실적, 개념적, 과정적, 절차적 지식을 의미 있

는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평가기준 B에 대한 평가는 평가 기준 A에 대한 평가가 전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아울러 MYP 통합교육과정에서는 평가목표에 대한 도달도를 명시적으로 평가 내용에 반영하고 있다. 통합교육과정의 평가기준을 통합교육과정의 목표를 구성 하는 네 가지 항목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다시 말 해, 통합의 목표 A, B, C, D는 각각 통합의 평가기준 A, B, C, D에 각각 대응된 다. 따라서 평가 내용은 통합의 목표인 1) 교과 교육에 기반하기, 2) 종합하기, 3) 의사소통하기, 4) 성찰하기를 평가한다. 이처럼 목표와 기준의 유기적 연계는 목 표-내용-방법-평가의 일관성을 도모하는 원리로 작용한다. 궁극적으로 평가와 수업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평가 문항을 개발할 때에는 이러한 평가기준을 고려하는 동시에 탐구 명제와의 관계성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탐구명제에 근거한 평가 문항은 궁극적으로 개념적 이해의 도달도를 명시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치로 기능한다[그림 Ⅲ-2].

[그림 Ⅲ-2] MYP 평가 내용

이와 같이 목표와 기준의 유기적 연계는 목표-내용-방법-평가의 일관성을 도 모하는 원리로 작용한다. 궁극적으로 평가와 수업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다.

(2) 평가의 방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평가의 전략과 도구를 중심으로 평가 방법을 진술 하고 있다면, MYP의 경우에는 평가에 대한 방법상의 준거와 원리를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표 Ⅲ-27>.

<표 Ⅲ-27> 2015 개정 교육과정과 MYP의 평가 방법

※출처: 교육부(2015c, 95, 139)에서 인용, IBO(2014h, 79-94)를 재구성

MYP의 교과 간 통합에서는 네 가지 평가기준인 A ‘교과 교육에 기반하기’,

2015 개정 교육과정 MYP

교과 및 통합교육과정 평가 방법

사회(공통교육과정) 평가 방법 Ÿ 지필 평가 외에 면접, 토론, 논술, 관

찰, 활동 보고서, 포트폴리오 등을 통 한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Ÿ 선택형 평가를 실시하더라도 단순한 결 과적 지식 습득의 여부보다는 기본 개 념 및 원리의 이해와 더불어 이러한 지 식 및 정보의 획득 과정과 활용 능력을 평가하도록 한다.

Ÿ 사고력 신장이나 가치·태도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양적 자료와 더불어 질적 자료를 수집, 활용하여 평가하도 록 한다.

Ÿ 발표, 토론, 역할 놀이, 시뮬레이션 등 개인 및 집단 활동에 대한 관찰이나 면 접과 같은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문제 및 갈등 해결 능력, 공감 능력, 친사회 적 행동 실천 능력 등을 평가한다.

Ÿ 자료를 분석·해석하고, 복합적이고 단 계적으로 사고하는 것을 측정할 수 있 는 평가 방법을 고안한다.

Ÿ 탐구명제에 대한 이해도를 4개의 평가기준(criteria)에 근거하여 평가한다.

Ÿ 평가기준은 영역(strands)을 통해 구체적으로 진술된다.

Ÿ 평가기준을 구성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교과도달 정도에 따라 미흡(limited)한 경우에는 1-2, 보통(adequate)은 3-4, 우수(substantial)하면 5-6, 매우 우수(excellent)한 경우에는 7-8로 구분된다.

Ÿ 성취수준(achievement level)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들이 영역(strand)별로 진술되어 안내된다.

Ÿ 교사는 평가의 맥락을 반영하여, 평가기준을 정하고, 선택한

평가기준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영역을 평가할 것인지 정한다. 그리고, 성취수준에 따른 일반적 특성이 평가 맥락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재서술한다(task-specific

clarifications) 통합사회 평가 방법

Ÿ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구체적인 문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선택형 및 서 술형, 논술형 등의 지필 평가 외에도 면접, 체크리스트, 토론, 논술, 발표, 답사 보고서, 시뮬레이션,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결과물 등을 자기 평가, 동료 평가를 활용하여 평가한다.

B ‘종합하기’, C ‘의사소통하기’, D ‘성찰하기’를 준거로 평가가 이루어진다. 그리 고 이러한 평가기준은 세부영역(strands)을 통해 구체화된다. 예컨대, Year 5 교 과 간 간학문적 통합의 평가기준 D ‘성찰하기’는 두 개의 영역(strands)으로 구성 되어 있다. 하나는 ‘자신의 통합적 이해의 성장에 대해 성찰할 수 있어야 한다’이 고 다른 하나는 ‘단일 학문의 지식과 통합적 지식의 유용성과 한계, 그리고 특정 상황에서 아는 방법에 대해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이다. 이와 같이 세부영역 (strands)은 ‘성찰하다’, ‘평가하다’와 같이 행동 동사인 지시어를 통해 구체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시어는 교과 고유의 탐구 방법을 반영하는 동시에 교과에서 기대 되는 수행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MYP 평가기준은 수행 능력에 초점을 두고 교과의 기준을 세부영역 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평가기준이 수업 후 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 할 능력을 나타내는, 결과 중시의 도달점이라는 점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공 통적인 특징이다. 한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능력(기능)과 내용요소 를 정합하여 기술되고 있으나, MYP의 평가기준은 수행을 중심으로 기술되고 있 는 점은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MYP에서는 이러한 세부영역에 대한 도달 수준을 성취수준(achievement level)으로 구체화하여, 8점 척도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표 Ⅲ-28>.

<표 Ⅲ-28> MYP Year 5 교과 간 평가기준 D ‘성찰하기’

※출처:IBO(2014c, 56)

MYP에서는 평가기준에 도달한 정도가 미흡(limited)한 경우에는 1-2, 보통 (adequate)은 3-4, 우수(substantial)하면 5-6, 매우 우수(excellent)한 경우에는 7-8로 성취수준을 구분하고 성취수준에 따른 일반적 특성을 서술하여 안내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평가 문항을 개발할 때, 탐구명제를 중심으로 평가를 구조 화하되, 학년 별로 제시된 통합의 평가기준에 근거하여 문항을 개발한다. 아울러 교사는 성취수준의 일반적인 특성에서 제시된 ‘한정된’, ‘피상적’, ‘어느 정도’, ‘의 미 있는’, ‘묘사하다’, ‘설명하다’, ‘평가하다’ 등이 개발하고자 하는 평가 문항에서

평가기준 D: 성찰하기(Year 5) Year 5가 끝날 무렵, 학생은:

1) 자신의 통합적 이해의 성장에 대해 성찰할 수 있어야 한다(reflect).

2) 단일 학문의 지식과 통합적 지식의 유용성과 한계, 그리고 특정 상황에서 아는 방 법에 대해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evaluate).

성취수준 (Achievement

Level)

성취수준에 따른 일반적 특성 (Level descriptors)

Task-specific clarifications 0 아래의 기준 어디에도 도달하지 않는다.

1-2

1) 통합 학습 이해의 성장에 대한 제한된(limited) 성찰을 증명한다.

2)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단일 학문 또는(or) 학습과 통합 학습의 지식의 한계점과 이점을 피상적으로 묘사한다(describes superficially).

3-4

1) 통합 학습 이해의 성장에 대해 적절한(adequate) 성찰을 증명한다.

2) 구체적인 상황에서 단일 학문과(and) 통합 학습의 지식의 한계점과 이점을 어느 정도(some) 묘사한다(describes).

5-6

1) 통합 학습 이해의 발전에 대하여 의미 있는(significant) 성찰을

증명한다(demonstrates).

2) 구체적인 상황에서 단일 학문과 통합 학습의 지식의 한계점과 이점을 설명한다(explains).

7-8

1) 통합 학습 이해의 발전에 대하여

완전하고(thorough) 의미, 느낌 등의 미묘한 차이(nuanced)를 반영한 성찰을 증명한다.

2) 구체적인 상황에서 단일 학문과 통합 학습의 지식과 아는 방법(ways of knowing)의 한계점과 이점을 전체적으로(thoroughly) 정교하게(with sophistication)

평가한다(evaluate).

어떤 의미인지 구체적으로 재진술(task-specific clarifications)하고, 평가가 시작 되기 전에 학생들에게 공지한다.

종합하면, MYP에서 통합은 분과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을 다양한 측면에서 강 조하고 있다. 1989년 Renaud는 MYP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ISAC에서 간학 문적 통합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논의하였다(Nicolson and Lister, 2010).

간학문적 통합이 학문에 확고하게 기반하고 있다면 매우 우수하다. 각 교과는 그 자체로 목적이 아니라 효율적인 수단이 되어야 한다. 우리는 교과의 정체성과 특히, 교과 고유의 탐구방법을 고수해야 한다. 교과를 기반으로 해야 중요한 간학 문적 통합에 대한 생각을 고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학생들은 혼 란스러워하고, 피상적인 탐구에 머물러 있을 것이다.

ISA(1991, 7)

위의 제시된 Renaud의 논의는 2010년에 발행된 ‘MYP guide to interdisciplinary teaching and learning’에 큰 영향을 끼쳤다. MYP의 통합 교육 의 실제적인 지침서라고 할 수 있는 『Fostering interdisciplinary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MYP(2014)』는 Wine and Grossman(2000)을 말을 빌려, 통합교 육과정에서 교과의 역할을 강조한다(Nicolson and Lister, 2010).

교과의 특성을 무시하고 교육과정을 통합하려는 시도는 피상적인 프로그램을 야 기시킬 뿐만 아니라 교과를 제대로 다루지도 못할 것이다

Wineburg and Grossman(2000, 58)

이처럼 MYP의 통합 교육은 교과들을 의미 있게 연결하고, 교과 목표들을 재 조직하여 의미 있는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3-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