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통합적 접근: 분과 학문의 지식 체계에 기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1-134)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와 MYP의 교과 간 통합은 교수·학습에서 통합 적 접근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의 교수·학습은 ‘시·공간적 인식, 사회·도덕적 사고를 통합’하고, ‘사회현상을 통합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종합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교육부, 2015c).

그러나 임은진 등(2019)의 연구에 따르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의 이러한 ‘통합적 관점’을 학교 교육에서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들이 혼재한다고 하였다. 예컨대, 교사들은 수업 중에 네 개의 관점으로 나 누어 접근하여 근간을 잡고 통합하거나, 관점에 대한 접근 없이 통합적으로 접근 하거나 4가지 관점 중에서 해당 단원과 가장 관련 있다고 판단되는 한 가지 관 점을 강조하는 등 다양한 관점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과정을 설계하여 운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래의 IB의 문서를 바탕으로 MYP에서 분과 교육과 통합 교육간의 관계를 짐작해 볼 수 있다.

MYP 통합교육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은 교과 및 과목에 대한 관점들을 의도적이 고 생산적으로 통합한다(integrative).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교과 또는 과목에서 선택된 개념들과 기능들을 숙달하는 것도 통합교육과정에서 중요하지만, 그것만 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통합교육과정에서 교과 또는 과목들을 ‘주제’ 중심으로 나 열하거나 되는대로(haphazardly)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은 학습 중인 주제 에 대해 더 새롭고, 심층적이고, 강력한 또는 미묘한 이해를 개발할 수 있도록 통 합에 관계된 교과 또는 과목을 생산적인 관계에 위치시키고, 의미 있게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의 관점을 통합해야 한다.

IBO(2014b, 2)

한편, MYP의 교수·학습에서도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통합적 관점 을 강조하고 있다. MYP의 통합적 관점이 교수·학습 과정에서 어떤 양상으로 구 현되는지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대상은 MYP의 교과 간 단원 설계안(Unit planner)이다<표 Ⅲ-26>.

<표 Ⅲ-26> MYP 교과 내 통합 단원 설계안의 일부

※출처: IBO(2014c, 44-45)

MYP 통합교육과정에서 교사는 교과 간, 또는 교과 내 통합에 대한 연계성의 큰 그림을 바탕으로 학습 내용 요소들의 상호 관련성을 이해하고 통합 학습에 대한 방향을 명료화해야 한다. MYP의 통합교육과정은 교과의 목적과 목표들을 연계하여 의미 있는 방식으로 재구성한다. 이처럼 통합교육과정의 내용요소는 각

교과 교육에 기반하기(Disciplinary grounding)

교과(subject): 교과(subject):

MYP 교과 목표: MYP 교과 목표:

관련 개념: 관련 개념:

내용요소: 내용요소:

분과 교육의 교수 전략 및 학생 활동 교과 교육의 교수 전략 및 학생 활동

통합 학습 과정

학생의 통합 학습 경험과 교수 전략 형성평가(formative assessment)

개별화

학습자료

교과에서 도출된 목표들의 연계에 근거해서 선정한다. 예컨대, 내용요소는 탐구 명제에 반영된 통합적 이해를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교과 고유의 탐구 방법, 도 구, 이론, 지식, 또는 의사소통의 형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IBO, 2014c, 37).

아울러 분과 교육 및 통합 교육의 교수 전략을 포함하여 구체적인 학습 경험 을 선정하고, 그것을 적절하게 배열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분과학문에 대한 이해를 돕고 통합적 이해에 기여할 수 있는 학습 경험을 선정하여 학습 경험을 논리적으로 배열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교사가 교과의 내용 요소들을 부분적, 분과적으로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전체로 지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MYP 통합교육과정의 교수·학습은 교과의 목표에 기반하여 교과의 사실적, 개념적, 과정적, 절차적 지식들을 통합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4) 평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MYP는 평가의 철학 및 방향에서 공통적인 특징들을 파 악할 수 있다. 1) 교육 목표와 내용, 교수 학습 방법과의 일관성을 강조하고, 2) 평가는 교육 목표에 대한 도달도를 확인 할 뿐만 아니라 3)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배움을 격려하고 배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촉진한다. 그 리고 4) 평가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한다. 마지막으 로 5) 학습의 과정 및 학습의 수행에 관한 평가를 강조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 러한 평가의 철학과 방향은 평가의 내용과 평가의 방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다. 다음에서는 이와 같은 평가의 방향을 고려하면서 통합의 측면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MYP의 평가 내용과 평가의 방법을 살펴보겠다.

(1) 평가의 내용

2015 개정 교육과정과 MYP의 통합교육과정의 평가 내용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기도 하지만 둘다 평가 내용에 통합에 대한 사고력을 포함한다는 공통점이 있

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역량을 중심으로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통합적 사고력은 통합사회의 교과 역량 중 하나로서, 평가 내용에 포 함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적 사고력은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에 대한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 사회, 세계의 다양한 현상을 통 합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교육부, 2015c). 이정우(2018)는 여기에서 역사 영역, 지리 영역, 일반사회 영역, 도덕 영역이라 하지 않고 ‘관점’과 결합하 고는 이유는 사회과학의 기초 지식 자체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접근을 강조하는 것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한편, MYP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같이 평가 내용에 통합적 사고력이라 는 용어가 제시되지는 않지만, 평가기준 A ‘교과 교육에 기반하기’와 B ‘종합하 기’는 통합하는 능력을 평가 내용에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교과 간 통합의 평가기준 A ‘교과 교육에 기반하기’에서는 교사는 통합과 관계 된 교과 및 영역의 사실적, 개념적, 그리고/또는 과정적 지식을 평가한다.

‘교과 교육에 기반하기’에서는 교과에서 학습한 사실적, 개념적, 그리고 절차적 지식에 대한 이해를 평가한다. 교사는 이때, 교과의 네 가지 평가기준 중에서 특 정 평가기준에 기반하여 학생들의 성취수준(achievement level)을 결정한다. 이는 통합 단원에서 이루어지는 총괄 평가에 기반하여 성취수준을 결정하거나 관련 교 과 및 영역의 학습에 대한 과제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교과 교육에 기반하기’에 대한 학생의 성취수준은 통합에 관계된 모든 교과들의 공동의 평가 결과이며, 교사들이 협의하여 결정한다. 교과 또는 과목별로 학생의 성취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면, 교사는 ‘최적(best-fit)’의 전문적 판단을 통해 학생의 교과 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도를 나타내는 적절한 성취수준을 결정해야 한 다.

IBO(2014c, 53)

한편 MYP 평가기준 B ‘종합하기’에서는 교과 또는 과목의 이해를 종합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MYP 총론적 성격의 문서에서는 ‘종합하다’라는 용어를 ‘새로운 이해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합치다’로 기술하고 있다(IBO, 2014h, 120). 평가기준 B는 교과 교육의 사실적, 개념적, 과정적, 절차적 지식을 의미 있

는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평가기준 B에 대한 평가는 평가 기준 A에 대한 평가가 전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아울러 MYP 통합교육과정에서는 평가목표에 대한 도달도를 명시적으로 평가 내용에 반영하고 있다. 통합교육과정의 평가기준을 통합교육과정의 목표를 구성 하는 네 가지 항목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다시 말 해, 통합의 목표 A, B, C, D는 각각 통합의 평가기준 A, B, C, D에 각각 대응된 다. 따라서 평가 내용은 통합의 목표인 1) 교과 교육에 기반하기, 2) 종합하기, 3) 의사소통하기, 4) 성찰하기를 평가한다. 이처럼 목표와 기준의 유기적 연계는 목 표-내용-방법-평가의 일관성을 도모하는 원리로 작용한다. 궁극적으로 평가와 수업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평가 문항을 개발할 때에는 이러한 평가기준을 고려하는 동시에 탐구 명제와의 관계성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탐구명제에 근거한 평가 문항은 궁극적으로 개념적 이해의 도달도를 명시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치로 기능한다[그림 Ⅲ-2].

[그림 Ⅲ-2] MYP 평가 내용

이와 같이 목표와 기준의 유기적 연계는 목표-내용-방법-평가의 일관성을 도 모하는 원리로 작용한다. 궁극적으로 평가와 수업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다.

(2) 평가의 방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평가의 전략과 도구를 중심으로 평가 방법을 진술 하고 있다면, MYP의 경우에는 평가에 대한 방법상의 준거와 원리를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표 Ⅲ-27>.

<표 Ⅲ-27> 2015 개정 교육과정과 MYP의 평가 방법

※출처: 교육부(2015c, 95, 139)에서 인용, IBO(2014h, 79-94)를 재구성

MYP의 교과 간 통합에서는 네 가지 평가기준인 A ‘교과 교육에 기반하기’,

2015 개정 교육과정 MYP

교과 및 통합교육과정 평가 방법

사회(공통교육과정) 평가 방법 Ÿ 지필 평가 외에 면접, 토론, 논술, 관

찰, 활동 보고서, 포트폴리오 등을 통 한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Ÿ 선택형 평가를 실시하더라도 단순한 결 과적 지식 습득의 여부보다는 기본 개 념 및 원리의 이해와 더불어 이러한 지 식 및 정보의 획득 과정과 활용 능력을 평가하도록 한다.

Ÿ 사고력 신장이나 가치·태도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양적 자료와 더불어 질적 자료를 수집, 활용하여 평가하도 록 한다.

Ÿ 발표, 토론, 역할 놀이, 시뮬레이션 등 개인 및 집단 활동에 대한 관찰이나 면 접과 같은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문제 및 갈등 해결 능력, 공감 능력, 친사회 적 행동 실천 능력 등을 평가한다.

Ÿ 자료를 분석·해석하고, 복합적이고 단 계적으로 사고하는 것을 측정할 수 있 는 평가 방법을 고안한다.

Ÿ 탐구명제에 대한 이해도를 4개의 평가기준(criteria)에 근거하여 평가한다.

Ÿ 평가기준은 영역(strands)을 통해 구체적으로 진술된다.

Ÿ 평가기준을 구성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교과도달 정도에 따라 미흡(limited)한 경우에는 1-2, 보통(adequate)은 3-4, 우수(substantial)하면 5-6, 매우 우수(excellent)한 경우에는 7-8로 구분된다.

Ÿ 성취수준(achievement level)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들이 영역(strand)별로 진술되어 안내된다.

Ÿ 교사는 평가의 맥락을 반영하여, 평가기준을 정하고, 선택한

평가기준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영역을 평가할 것인지 정한다. 그리고, 성취수준에 따른 일반적 특성이 평가 맥락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재서술한다(task-specific

clarifications) 통합사회 평가 방법

Ÿ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구체적인 문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선택형 및 서 술형, 논술형 등의 지필 평가 외에도 면접, 체크리스트, 토론, 논술, 발표, 답사 보고서, 시뮬레이션,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결과물 등을 자기 평가, 동료 평가를 활용하여 평가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1-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