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평가 및 유지관리 단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4-192)

46%가 ‘그렇지 않다,’, 40%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현재 대부분 공공디자인사업의 디자인개발과정에서 별도의 디자인 품질에 관한 관리가 미 흡함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디자인개발과정에서 단계별로 디자인의 개발에 관하여 다양한 검토를 위한 의사결정의 합리적인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5) 일반프로젝트 프로세스의 분석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공공디자인사업의 프로세스를 설문을 통하여 실제로 수 행된 프로젝트와 수행여부를 비교분석한 결과 활용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내 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기획단계에서는 정보관리계획, 유관부서협력계획, 목표 및 범위설정 의 과정, 실행준비단계에서는 품질관리계획, 자원관리일정계획, 디자인개발단 계에서는 공간의 사용성 조사, 컨셉의 설정과정, 디자인품질관리시행, 디자인 평가 등의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으며 평가 및 유지관리단계는 전반적 으로 수행되지 않고 있었다.

두 번째, 각 단계별로 수행되지 않는 과정들은 대부분 특정한 의사를 결정하 는 협의가 요구되는 과정과, 이를 지원하는 다양한 자원의 계획과정, 사용자 의 특성을 활용하는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세 번째, 의사결정의 세부적인 실행 현황 측면에서 보면 총괄계획가 주관 사 업은 대부분이 각 과정을 협의체의 의사결정을 통해 수행하고 있었으나 일반 프로젝트는 수행의 형식, 내용, 실행절차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수행 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의 수행과정에서는 사업의 필요성판단, 타 당성검토, 디자인개발 과정 등에 개인적인 판단이나 조직의 협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의사결정은 수행하고 있으나, 의사결정을 위한 조직의 구성인원과 협의를 위한 세부적인 방식 결정의 과정에서 일회적인 협의와 문서검토 등으 로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의사결정을 위한 내용은 전문적인 검토에 의한 객 관적 자료의 활용 보다는 기존의 사업에서 제시되었거나, 자체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의사결정을 위한 판단 기준의 타당성이 모호하였다.

다음으로 의사결정 실행과정에서 구체적인 과정의 제시가 부족하여 단순히 협의과정 자체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피드백과 보완, 협의내용의 공유가 부족 하였다. 의사결정의 합리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이를 위한 절차와 기법, 도구 들의 제시가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네 번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다양한 자원의 활용 차원에서 수행의 미비함을 설명할 수 있다. 즉, 조직내부 유관부서의 협력관계 계획, 정보관리계획, 자원 관리 납품일정계획, 위험요소계획 등은 합리적인 협의과정을 지원하는 다양한 자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사업에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정보에 대한 공유와 활용, 원활할 협의를 위한 자원 활용의 계획은 공공디자인사업의 효과 적인 수행을 위하여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이지 않는 다는 특성상 미흡하게 수행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세스를 기존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문 제점들과 비교하였을 그림<3-19>과 같은 해결방안을 유추할 수 있었다. 기획 단계에서 나타나는 사업의 타당성 확보와 시민참여의 문제, 실행준비단계에서 나타나는 합리적인 디자이너 선정의 문제, 디자인개발단계에서 나타나는 디자 인결과물에 대한 품질확보의 문제 등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과정 과 많은 관련이 있으며 이를 위한 인원구성, 형식결정, 필요한 내용의 객관적 인 지원, 실행방법의 활용 등을 제도적 절차로 구성하였을 때 해결할 수 있다 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즉, 기획단계에서 나타나는 필요성 판단, 타당성검토, 예산의 적정성 확보 등 은 각 과정별로 전문가를 포함한 협의체를 구성하여 이를 합리적으로 실행시 키는 과정으로 해소될 수 있으며, 시민의 참여에 관하여 발생되는 주민동의, 참여, 의견수렴 등의 문제도 각 과정의 시민을 고려한 협의체의 구성과 실행 으로 구조적인 문제를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협의를 진행하는 이해관계자 및 유관부서의 계획, 다양한 자원계획 등 구체적으로 협의를 지원하는 과정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행한다면 사업 의 흐름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이와 더불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 스템적인 장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전문성을 확보하는 과 정에서는 전문가의 입장에서 세부적인 수행과정의 지침과 기준을 제시하고 결정적인 과정에서 전문가의 검토를 거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그림 3-19. 공공디자인사업 수행 프로세스 현황 분석

6) 국가시범 공공디자인사업과 비교분석

공공디자인사업 수행 프로세스의 내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성공적인 프로세스 의 구축으로 대표되는 국가시범사업 중 총괄계획가 사업의 수행과정을 대상 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국가정책사업으로 추진하였던 사업 4개소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진행은 사업의 총괄계획가를 대상으로 본 연구자와의 1:1 인터뷰형식으로 이 루어졌다. 인터뷰의 내용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공디자인사업 수행 프로세 스의 단계별 수행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과 응답으로 이루어졌다. 인터뷰 가 진행되는 동안, 인터뷰의 내용은 응답자와의 협의 하에 녹음되었으며 인터 뷰의 주요내용은 본 연구자가 평가지에 기록하였다. 인터뷰와 관련된 절차는 다음 표<3-10>와 같이 진행되었다.

프로젝트명 -Project G-Project C-Project G-Project

응답자 S** S** N** K**

사업형태

농산어촌개발사업 총괄계획가

시범사업

국토환경디자인

시범사업 도시공공디자인

시범사업 국토환경디자인 시범사업

사업개요

농촌전문가를 중심으로 농촌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기본계획

노후주거지 정비를 위한

계획안

공공디자인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일정구간의 거리를 시범으로

시행

기존 원도심 활성화를 위하여

공공공간, 공공 건축물 통합 마스터플랜 제시

발주기관 농림부 국토해양부 광주광역시 국토해양부

수행기관 진도군 익산시 광주광역시 광양시

응답자 직위 Project Manager Master Planer Master Planer Master Planer

장소 관련연구실 건축사사무소 관련연구실 해당기관 회의실

일시 2013. 6. 2013. 6. 2013. 6. 2013. 5.

방식 1:1 심층인터뷰

내용 공공디자인사업 수행 프로세스에 대한 질의응답

표 3-10. 인터뷰 진행 개요

인터뷰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공디자인사업의 수행 프로세스와 비교하 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검토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총괄계획가가 주관으로 수행하는 공공디자인사업의 수행 프로젝트는 전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세스를 대부분 수행하고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제시한 의사결정의 측면에 있어서 총괄 계획가를 중심으로 추진협의회가 구성되었으며, 복수의 행정조직전문가, 지역 전문가, 디자인전문가, 시민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인원을 구성 하고 있었다. 특히, 대부분의 수행과정을 추진체계의 공식적인 협의를 통하여 수행하고 있었으며 총괄계획가는 이들의 활동을 체계적으로 조정하고 관리하 여 사업의 수행과정상 발생되는 시민참여, 전문가검토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있었다.

두 번째, 사업의 협의과정에 필요한 기준이 되는 내용들을 기존의 데이터 및 전문적인 검토에 의하여 구상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기획 안 전략의 수립, 원활한 시민의 참여 등 사업의 품질확보를 위해 Software적 으로 별도의 사업을 추가로 활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는 전문적인 사업의 수행을 위한 세부과정의 일환으로 발생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행정 관리상의 제약으로 의도와는 다른 수행을 야기하여 사업의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하기도 한다.

세 번째, 디자이너의 선정은 대부분 총괄계획가 및 추진협의회의 제안으로 일 반경쟁입찰이 아닌 추천과 협상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이는 디자인의 품질확 보를 위한 방안으로 추진협의회가 의도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네 번째, 디자인의 품질관리는 별도의 디자인협의회를 구성하거나, 추진체계 가 자체적으로 디자인의 개발과정을 검토하기도 하며, 추천한 디자이너의 의 도를 최대한 존중하여 진행하는 등 각각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고 있었다. 그 러나 디자인의 개발과정에서 예산상의 문제로 다양한 디자인의 개발이 제한 되고 이는 궁극적으로 사업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 역시, 행정조직의 디자인에 관한 인식의 부족으로 예산 의 수립과정에서 디자인 개발의 특성에 따른 활동을 고려한 전문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국가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총괄계획가가 주관하는 공공디자인사업 의 수행은 사업의 전반적인 과정이 추진위원회의 협의에 의하여 진행되고 있 었으며 이로 인해 전담부서가 주관적으로 수행 시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있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디자인의 품질에 관련되는 예산에 따 른 디자인 활동의 제약, 관련사업의 발주 문제등과 같은 디자인과 일반 행정 업무처리의 괴리감에 따른 문제점은 극복되지 못하였으며 결국은 공공디자인 업무 수행에서 디자인 인식의 부족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4-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