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토양변동성 요인분석

5.1. 토양검정 자료에 의한 토양의 화학성 평가

◦ 토양검정 자료는 농가들의 토양검사 의뢰를 받아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토양검정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짐.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내부 자료에 의해 2012년 기준 경지이용에 따른 토양검정 유형을 살펴보면, ‘GAP’, ‘토 양개량제’, ‘기타’, ‘농가의뢰’, ‘무농약’, ‘유기농’, ‘자체채취’, ‘전략’, ‘직 불’, ‘친환경’ 등으로 구분됨. 2012년 전체 토양검정 수는 유기물에 대한 것 을 기준으로 59만 4,346건이었음.

◦ 국립농업과학원 전문가에 따르면, 이러한 유형들 가운데 친환경농업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유형은 ‘무농약’과 ‘유기농’으로 나타났고, 일반 관행농업 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유형은 ‘자체채취’와 ‘전략’으로 나타났음. 이러 한 네 가지 유형에 대해 친환경농업 실천에 따른 토양변동성을 비교적 잘 살펴볼 수 있는 밭과 시설의 조사지점 현황을 보면, 밭의 경우 산도 6만 4,706개, 유기물 6만 4,668개, 유효인산 6만 4,182개 등으로 나타났으며, 시 설의 경우 산도에 대해 1만 1,236개, 유기물 1만 1,233개, 유효인산 1만 1,235개 등으로 나타났음.

표 3-5. 토양검정 자료 조사 지점 수(2012년 기준)

단위: 지점 수

구분 산도 유기물 유효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

64,706 64,668 64,182 64,603 64,640 64,634 무 농 약 6,703 6,703 6,702 6,703 6,703 6,703 유 기 농 1,469 1,469 1,469 1,469 1,469 1,469 자체채취 16,116 16,060 15,600 16,052 16,055 16,052 40,418 40,436 40,411 40,379 40,413 40,410 시설재배지 11,236 11,233 11,235 11,231 11,232 11,230 무 농 약 1,328 1,327 1,328 1,328 1,328 1,328

유 기 농 394 394 394 394 394 394

자체채취 5,361 5,359 5,360 5,357 5,358 5,356 4,153 4,153 4,153 4,152 4,152 4,152 : 자체채취는 농가가 자발적으로 토양을 채취하여 기술센터에 의뢰한 지점을, 전략은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작목 지점을 말한다. 자료: 국립농업과학원 내부 자료(2013).

◦ 밭과 시설재배지의 화학성을 비교한 결과, 모두 시설의 수치가 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예를 들어 산도의 경우 밭은 6.2pH인데 비해 시설은 6.7pH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물의 경우 밭은 25.3g(/kg)인데 비해 시설은 27.1g(/kg)으로 높게 나타났음. 유효인산의 경우도 밭 449mg(/kg)에 비해 시 설이 693mg(/kg)으로 높게 나타났음. 치환성양이온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도 시설재배지가 밭 토양보다 약간씩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표 3-6. 밭과 시설의 화학성 비교

그림 3-9. 친환경농업과 일반 관행농업의 화학성 비교(밭, 시설)

cmolc/kg

cmolc/kg

5.2. 추정모형 및 방법

◦ 2012년 토양검정 자료를 기초로 토양변동성 요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토양 변동성의 대표적인 지표는 토양에 함유된 유기물(Soil Organic Matter: OM) 로 설정하였음. 유기물은 토양에 존재하는 유기물이며, 여러 가지 미생물에 의해 분해 작용을 받아 원조직이 변질하거나 합성된 갈색 또는 암갈색의 일정한 형태가 없는 교질의 복잡한 물질을 말함. 토양에 함유된 유기물함 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농업 형태, 토지 이용, 지역, 유효인산 등이 있음.

◦ 여기서는 농업 형태에 따른 유기물함량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함. 여기서 농 업 형태는 친환경농업과 일반농업 두 가지를 말함. 유기물함량은 다음과 같 이 농업 형태, 토지 이용, 지역, 유효인산 등의 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설정한다. 즉, 유기물함량 함수는 다음과 같음.

OMt=f(EFA,PA,LNADUSE,REGION)···(1)

단, OMt는 t 조사지점의 유기물함량(g/kg), EFA는 농업 형태를 나타내는 더 미변수로 1은 친환경농업, 0은 일반농업을 나타냄. PA는 유효인산 함유량 (mg/kg)을 나타내며, LNADUSE는 토지 이용을 나타내는 더미변수로 1은 시설 재배, 0은 밭을 나타냄. REGION은 지역을 나타내는 더미변수로 1은 전남지역, 0은 그 이외 지역을 나타냄.

◦ 유기물함량 함수 추정을 위한 구체적인 모형은 양대수(logarithm) 형태를 취 함. 즉, 다음과 같은 형태의 식을 가정함.

ln     ln   ···(2)

◦ 그리고 유기물함량 모형은 OLS 방법으로 추정하였음. 회귀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Eviews Ver.7을 이용하였음.

5.3. 분석자료

◦ 유기물함량 함수 추정을 위해 이용된 자료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의 내부 자료이며,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생성한 2012년 토양 검정자료를 활용하였음.

◦ 각 변수들에 대한 기초통계량은 <표 3-7>과 같음. 전체 표본(지점) 수는 75,408이고, 먼저 OM의 평균값은 25.609g(/kg), EFA는 0.131, PA는 484.945, LANDUSE는 0.149, REGION는 0.248로 각각 나타났음.

표 3-7. 기초통계량 분석

구 분 OM EFA PA LANDUSE REGION

평균 25.609 0.131 484.945 0.149 0.248

중앙값 22.000 0.000 394.000 0.000 0.000

표준편차 17.839 0.338 449.834 0.356 0.432

표본수 75,408 75,408 75,408 75,408 75,408

: 농업 형태(EFA), 토지 이용(LANDUSE), 지역(REGION)은 실제값이 아닌 설정된 더미변수에

표 3-8. 유기물함량에 미치는 요인분석

변수 계수값 표준오차 t-통계량 Adj R2

표본수

C 20.541*** 0.169 121.673

Adj R2=0.415 Num= 75,408 D/W=2.378

EFA 1.435*** 0.270 5.317

PA 0.009*** 0.000 79.834

LANDUSE 1.949*** 0.231 8.430

REGION 0.296 0.316 0.935

AR(1) 0.625*** 0.003 219.443

: ***는 1% 수준에서 해당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냄.

4

토양양분 관리정책 평가

1. 설문조사 개요

◦ 양분관리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효과적인 양분관리정책을 도출하고자 전문가(정책담당자 포함)를 대상으로 토양관리정책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 하였음.1 조사 시기는 전문가의 경우 2014. 04. 10, 정책담당자의 경우 2014.

08. 18 ~ 09. 05이었음. 조사방법은 전문가의 경우 워크숍 참석자를 대상으 로 조사한 결과 총 90부의 유효 설문지를 수거하였음. 정책담당자의 경우 전문조사업체에 의뢰하여 132부의 유효설문지를 조사하였음.

◦ 응답자의 담당분야 경력은 평균 3.0년이며, 공무원 근무경력은 12.2년으로 나 타났음. 응답자의 성별은 남자가 68.1%, 여자가 31.9%이었다. 또 소속기관을 보면 진흥청/도농업기술원/기술센터가 40.5%, 시/군청 59.5%로 나타났음.

1 전문가 인식도 조사표(부록2) 구성은 (사)농업사회발전연구원 조인상 박사에게 위탁(2014.

8.1~9.15)하여 수행된 연구결과를 참고하였다.

표 4-1. 응답자의 사회적 특성

단위: 년, %

응답결과

담당분야 경력 3.0

공무원 근무경력 12.2

성별  68.1

31.9

소속기관 진흥청/도농업기술원/기술센터 40.5

시/군청 59.5

전 체 100.0

: 응답자(222명) 기준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