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타당도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7-126)

SPSS 23 LISREL 8.54

II. 1~10 업무수행(1,3,4,7,9) 2)

1. 타당도 분석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을 실시하였다 타당성은 내용 타당성 예측 타당성 개념 타당성으로

analysis) . , ,

구분되며 연구에 사용한 측정변수를 토대로 그 개념이 속성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되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요인분석은 각 측정항목들이 하나의 요인으로. 묶여 있는지에 대한 구성타당도를 살펴보는 대표적 분석방법이다.

우선 프리젠티즘의 측정도구는 많은 연구들에 사용되지 않은 개념이므로 이 에 대해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먼저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

으로 요인을 추출하여 베리맥스 방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varimax) 법에 따른 직각회전 방식을 사용하였다. 요인 선정은 고유값(eigen value)이

이상인 요인들만 선정하였고 프리젠티즘의 탐색적 요인분석은 표 과

1.0 , < 4-1>

같으며, 모든 문항들의 요인적재치가 .4 이상의 수치를 보임에 따라 가 제시한 요인적재 수치가 이상 되어야 한다는 기준에 충족

Stevens(2002) .4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Stevens, 2012).

이후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모든 측정도구들에 대, 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행하였다 타당성은 내. 용 타당성 예측 타당성 개념 타당성으로 구분되며 연구에 사용한 측정변수를, , , 토대로 그 개념이 속성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되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확인. 적 요인분석은 측정구조의 형태가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가설화되고 이를 확 인하는 과정이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모델의 신뢰성과 타당성의 확보는, 차후 분석을 위한 논리적인 근거가 된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특정 모형이 실제자료를 잘 나타내는지 검증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χ²차이검증을 할 수 있다. 그러나 χ2 는 표본크기에 민감하여 표본크기가 커지면 모형을 쉽게 기각한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표 프리젠티즘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 4-1>

건강 컨디션 문제가 있었지만 어려운 업무도 끝낼 수 있었( ) , 다.

건강 컨디션 문제가 있었지만 업무의 목표달성에 집중할 수( ) , 있었다.

건강 컨디션 문제가 있었지만 업무를 마치는데 필요한 에너지( ) 가 있었다.

건강 컨디션 문제가 있었지만 업무 중 예상 못한 문제에 직( ) , 면했을 때 해결하는데 집중할 수 있었다.

건강 컨디션 문제가 있었지만 공동 작업에서 다른 사람과 협( ) , 력하여 일할 수 있었다.

건강 컨디션 문제 때문에 주의력이 산만했다( ) .

건강 컨디션 문제 때문에 업무의 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어려웠( ) 다.

건강 컨디션 문제 때문에 업무를 끝내기에 무리라고 느꼈다( ) . 건강 컨디션 문제로 틈틈이 휴식을 필요로 했다( ) .

건강 컨디션 문제 때문에 잠을 자지 못해 피로해 있었다( ) .

모형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χ2 차이검증과 함께 표본크기에 더 민감한 비교부합지수(CFI: Comparative Fit Index)와 NFI (Normed Fit Index), IFI(Incremental Fit Index), SRMR(Standardized Root Mean Square

와 근사평균 오차제곱근

Residual) (RMSEA: Root Mean Square Error of

을 측정하였다 모형적합도의 경우에는 와 는

Approximation) . SRMR RMSEA

낮을수록 NFI와 CFI, IFI 등은 높을수록 좋은 모형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Byrne, 2013; Joreskog & Sorbom, 1993; Mulaik, James, Alstine,

이순묵

Bennett, Lind, & Stilwell, 1989; , 1990, 2000).

본 연구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은 이순묵(1990)과 Joreskog and 가 제시한 절차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Sorbom(1993) (Joreskog & Sorbom,

이순묵 동일방법편의 여부를 확인하기

1993; , 1990) (common method bias)

위해서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변수들을 각각의 잠재변수들별로 구성하 는 6요인 모형과 하나의 잠재변수로 구성하는 1요인 모형간의 모형적합도 비교 를 실시하였다(Podsakoff, MacKenzie, Lee, & Podsakoff, 2003). 이때 예방 초점 중 한 문항과 프리젠티즘 중 한 문항의 요인적재치가 .4에 미치지 못함에 따라 Stevens(2002)가 제시한 요인적재 수치가 .4 이상 되어야 한다는 기준에 충족하지 못하므로 이들 문항들을 제거 후 분석이 이루어졌다(Stevens, 2012).

우선, 6요인 모형의 모형적합도를 살펴보면, χ2는 2854.24(df=974), NFI는

와 는 은 는 등으로 나타났다 모형

.89, CFI IFI .93, SRMR .071, RMSEA .069 . 적합도의 경우에는 SRMR과 RMSEA는 낮을수록 NFI와 CFI, IFI 등은 높을수 록 좋은 모형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Byrne, 2013; Joreskog & Sorbom,

이순묵 대부분은 이러한 기준에 부

1993; Mulaik et al., 1989; , 1990, 2000).

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동일방법편의. , (common method bias) 여부 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나의 잠재변수만을 두는 1요인 모형의 모형적합도 지수와 모형의 모형적합도 지수들에 대한 비교가 이루어졌다 요인 모형의 모형적합

6 . 1

도를 살펴보면, χ2는 6891.53(df=989), NFI는 .74, CFI와 IFI는 .77, SRMR 은 .13, RMSEA는 .16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6요인 모형에 비해서 1요인모형 이 좋지 않은 수치들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요인 모형과 6요인 모형의 χ2차이는 4037.29( df=15)Δ 로 99.9% 신뢰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에 따라 6요인 모형이 더 좋은 모형임을 알 수 있으며 이로서 동일방법편의의 문, 제가 그리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요인 모형에서 독립변수의 요인적재수치는 다음 표 와 같다

6 < 4-2> .

표 독립변수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 4-2>

개념 문항 요인

적재치

예방초점 (Prevention

Focus)

일반적으로 나는 인생에서 부정적인 사건의 예방에 초점

을 두고 있다. .44

나는 내가 맡은 일에서의 의무와 책임을 다하지 못할까봐

걱정한다. .52

나는 미래에 내가 되기 싫어하는 인간상에 대하여 자주 .44

요인 모형에서 매개변수의 요인적재수치는 다음 표 과 같다

6 < 4-3> .

표 매개변수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 4-3>

생각한다.

나는 나의 인생목표를 달성하지 못할까 자주 걱정한다. .61 나는 내가 모르는 두렵고 나쁜 일을 경험하는 상상을 자

주 한다. .61

나는 나의 인생에서 실패를 예방하는 방법을 자주 생각한

다. .66

나는 나의 이익달성보다는 손실 방지를 더 많이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51

지금 현재 하는 일에서 나의 주요 목표는 나쁜 평가를 받

는 것을 피하는 것이다. .50

향상초점 (Promotion

Focus)

나는 나의 희망과 포부를 달성하는 방법을 자주 생각한

다. .67

나는 미래에 내가 되고 싶어 하는 이상적 인간상에 대하

여 자주 생각한다. .64

나는 미래에 내가 달성하고 싶은 성공에 초점을 두고 있

다. .72

나는 나의 인생목표 달성에 대하여 자주 생각한다. .68 지금 현재 하는 일에서의 가장 큰 목적은 내 인생의 목적

을 달성하는 것이다. .52

나는 내 자신의 목표와 희망과 열정의 달성을 위하여 노

력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72

일반적으로 나는 나의 인생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달성하

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70

나는 내가 좋은 일을 경험하는 상상을 자주 한다. .69 나는 일반적으로 손실방지 보다는 이익달성에 더 많이 신

경을 쓰고 있다. .53

건강 컨디션 문제가 있었지만 어려운 업무도 끝낼 수 있었( ) , 다.

건강 컨디션 문제가 있었지만 업무의 목표달성에 집중할 수( ) , 있었다.

요인 모형에서 조절변수의 요인적재수치는 다음 표 와 같다

6 < 4-4> .

표 조절변수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 4-4>

건강 컨디션 문제가 있었지만 업무를 마치는데 필요한 에너지( ) 가 있었다.

건강 컨디션 문제가 있었지만 업무 중 예상 못한 문제에 직( ) , 면했을 때 해결하는데 집중할 수 있었다.

건강 컨디션 문제가 있었지만 공동 작업에서 다른 사람과 협( ) , 력하여 일할 수 있었다.

건강 컨디션 문제 때문에 주의력이 산만했다( ) .

건강 컨디션 문제 때문에 업무의 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어려웠( ) 다.

건강 컨디션 문제 때문에 업무를 끝내기에 무리라고 느꼈다( ) . 건강 컨디션 문제 때문에 잠을 자지 못해 피로해 있었다( ) .

내가 맡은 직무는 업무계획을 세우는데 있어 나 스스로에게 결정 권한이 있다.

내가 맡은 직무는 어떤 순서로 일을 처리되어야 하는지 내가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내가 맡은 직무는 어떻게 업무를 할 것인지 내가 계획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내가 맡은 직무는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내 개인적인 독창성 또는 판단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내가 맡은 직무는 내가 스스로 수많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 록 한다.

내가 맡은 직무는 의사결정을 함에 있어 나에게 큰 자율권을 준다.

내가 맡은 직무는 업무 완수를 위해 어떤 방식을 취해야 하는 지에 대한 결정을 내가 내릴 수 있다.

내가 맡은 직무는 업무를 수행하는 방식에 있어 나에게 상당 한 자유와 독립성을 제공한다.

요인 모형에서 결과변수의 요인적재수치는 다음 표 와 같다

6 < 4-5> .

표 결과변수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 4-5>

내가 맡은 직무는 업무 수행을 어떤 식으로 할 것인지 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개념 문항 요인

적재치

혁신행동

나는 업무수행을 위해 새로운 기술 도구 방법 등을 찾는다, , . .72 나는 업무를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려 한다. .78 나는 다른 사람들의 아이디어를 촉진시키고 자극한다. .80 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자금 비용 및 자(

원 을 적극적으로 찾아내고 확보한다) . .81 나는 새로운 아이디어의 수행을 위해 적절한 계획과 일정을

개발한다. .85

나는 혁신적으로 행동한다. .75

이직의도

나는 다른 회사에서 일해보고 싶다. .60

내가 만일 다른 직장을 선택할 수 있다면 현재의 직장을 선

택하지 않을 것이다. .66

나는 현 직장을 그만두고 싶은 생각이 자주 든다. .78 나는 현재 근무여건이 조금이라도 나빠진다면 나는 회사를

옮길 것이다. .79

나는 내가 만약 회사를 옮긴다면 지금보다 나은 회사에 입사

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40

신뢰도 검증 2.

신뢰도(reliability)는 측정한 문항 간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내적 일관성(internal consistency)을 측정하는 Cronbach’s Alpha Test를 실시하여 Cronbach’s α계수를 도출하였으며, 0부터 1까지의 값을 가지는 계수에서 채서일 이 제안한 이상의 값을 도출하여 Cronbach’s α (1997) 0.7

내적일관성을 확보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신뢰도 분석결과 모두 0.7 이상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채서일(1997)이 제시한 기준을 상회하고 있다 채서일( , 1997). Cronbach's alpha 수치는 다음 <표 4-6>에 제시되어 있다.

표 신뢰도 분석 결과

< 4-6>

변수 Cronbach’s Alpha 수치

예방초점 0.76

향상초점 0.87

프리젠티즘 0.78

혁신행동 0.91

직무자율성 0.95

이직의도 0.79

제 절 상관관계 분석 2

개념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문항들로 판별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 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성된 변수들과 통제변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변수 간. , 상관관계는 다음의 <표 4-7>과 같다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예. , 방초점은 프리젠티즘 및 혁신행동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못하는 반면 각각(

이직의도는 정 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07, n.s.; -.04, n.s.), (+) (.13, p 향상초점의 경우에는 프리젠티즘과는 부 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

< .01). (-)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7-12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