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취약보육서비스 유형 선호도

야간보육, 토요일보육, 휴일보육에 대하여 서비스 장소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보면 야간보육 장소로 응답자의 60.7%가 현재 다니고 있는 어린이 집에서 보육하는 것을 가장 좋다고 응답하였고, 응답자의 30.3%는 보육도우미가 아동의 집에서, 6.7%는 거점형 보육장소에서 돌보는 것을 선호하였다.

토요일보육도 현재 다니는 어린이집에서 보육하는 것을 선호하는 응답자가 69.2%로 가장 많고, 보육도우미가 아이의 집에서 보육하는 것을 선호하는 응답 자가 21.1%이다. 거점형 보육장소는 8.0%가 선택하였다.

휴일보육 역시 현재 다니는 어린이집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응답자의 64.5%가 선호하였고, 아이의 집에서 돌보는 것을 선호하는 응답자는 23.4%이다. 거점형 보육장소에서 돌보는 것은 10.1%로 야간보육과 토요일보육에 비해서는 높게 나 타났다(표 Ⅴ­2­9 참조).

〈표 Ⅴ-2-9〉 취약보육서비스 선호 장소

구분 보육도우미가

아이 집에서

보육도우미가 자기 집에서

현재 다니는 어린이집

거점형 전담

장소 계(수)

야간보육 30.3 2.3 60.7 6.7 100.0(2,003)

토요일보육 21.1 1.7 69.2 8.0 100.0(2,003)

휴일보육 23.4 2.0 64.5 10.1 100.0(2,003)

자료: 본 연구를 위한 「영유아부모 조사」결과임.

33) 교차분석 결과는 <부표 Ⅴ­2­1> ~ <부표 Ⅴ­2­6> 참조.

이 같은 경향은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3가지 서비스 모두 거점 어 린이집에 대한 선호도는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나 읍‧면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어머니 취업별 차이는 유의하지 않다(부표 Ⅴ­2­7,Ⅴ­2­8,Ⅴ­2­9 참조).

3. 보육·교육서비스의 수준과 효과

가. 질 높은 서비스의 충분성

어린이집의 접근성 즉 어린이집 설치의 충분성과 보낼만한 어린이집의 여부 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일반적인 시설 설치에 대해서는 82.2%가 충분하다고 인식 하고 있으며, 보낼만한 어린이집 여부에 대해서는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83.4%

이고 12.7%는 없다고 응답하였다(표 Ⅴ-3-1 참조).

지역별로 살펴보면, 특히 읍·면 지역의 경우는 이외의 지역들에 비해 시설 설 치가 불충분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21.5%로 상대적으로 높고, 보낼만한 어린이집 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 역시 16.9%로 도시보다 높다. 모의 취업상태별로는 대부 분 영아를 양육하며 비교적 안정된 직장을 가진 휴직중인 엄마들이 믿고 보낼 곳이 없다는 비율이 높고, 소득수준별로는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믿고 보낼 곳 이 많다는 줄어들고 1-2군데라는 응답은 늘어나는 양상이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2009년 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일반적 설치는 물론, 보낼만 한 곳에 대한 비율도 2009년에 비하여 비율이 높아져서, 최근 몇 년간의 양적 확대와 질적 수준 개선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는 보육시설의 양적 확충과 지난 정부 시절 이후 본격화된 저출산 대응에 따른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제고 노력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용가능 어린이집 여부와 믿고 맡길만한 어린이집 여부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접근성 측면에서 보다 면밀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단적인 예로는 국공립보육시설의 대기아동수를 들 수 있다. 2009년 3월 기준 국공립어린이집의 대기아동은 1831개 시설에 118,478명 으로 시설당 약 65명으로 집계된 바 있다(서문희·최혜선, 2010: 32~33).

〈표 Ⅴ-3-1〉 어린이집 설치 충분성 및 보낼만한 곳 유무

단위: %(명)

구분 일반적 설치 보낼만한 곳

불충분 충분 잘 모름 없음 1~2곳 많음 잘 모름 계(수)

전체 15.5 82.2 2.3 12.7 66.2 17.2 3.9 100.0(2,003)

지역

대도시 17.5 80.4 2.2 15.9 59.3 21.4 3.4 100.0( 738) 중소도시 11.2 86.5 2.4 7.9 73.9 13.5 4.7 100.0( 850) 읍‧면 21.0 76.6 2.4 16.9 62.7 17.3 3.1 100.0( 415) x2(df) 23.9(4)*** 57.4(6)***

모 취업

취업중 15.9 81.2 2.9 12.0 67.0 15.5 5.5 100.0( 618) 휴직중 9.7 83.9 6.5 19.4 67.7 12.9 -  100.0( 31) 미취업 15.6 82.7 1.6 12.9 66.0 18.0 3.1 100.0(1,339)

x2(df) -

-가구소득

149만원 이하 12.0 86.0 2.0 11.3 58.7 27.3 2.7 100.0( 150) 150~199만원 16.0 81.8 2.2 13.0 63.2 20.3 3.5 100.0( 231) 200~249만원 15.0 81.8 3.2 15.3 61.2 18.9 4.6 100.0( 412) 250~299만원 15.1 83.7 1.1 13.7 66.0 16.6 3.7 100.0( 350) 300~349만원 15.1 82.9 2.0 10.9 71.4 15.1 2.6 100.0( 350) 350~399만원 17.9 80.8 1.3 10.3 72.4 14.7 2.6 100.0( 156) 400~449만원 11.5 83.8 4.7 13.5 68.2 12.8 5.4 100.0( 148) 450만원 이상 21.2 76.8 2.0 10.8 70.0 12.8 6.4 100.0( 203)

x2(df) - 35.1(21)**

2009년 조사 36.7 44.9 7.4 20.7 57.2 11.9 10.2 100.0(2,547) 자료: 본 연구를 위한 「영유아부모 조사」결과임.

** p < .01, *** p < .001.

유치원의 경우도 일반적 설치에 대해서는 충분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54.8%이 며, 보낼만한 유치원 여부에 대해서는 1~2곳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54.4%, 많다 는 응답이 11.0%로 모두 65.4%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앞서 살펴본 어린이집에 비해 유치원의 접근성이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표 Ⅴ­3­2 참조).

유치원 접근성은 어린이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읍·면 지역의 경우 상대적으 로 낮아 불충분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48.2%로 도시보다 높으며, 보낼만한 곳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34.7%로 역시 도시보다 높았다. 특히 대도시에서는 15.2%가 보낼만한 곳이 많다고 응답하였다. 면 지역에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이 설치되어 있으나 접근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구분 일반적 설치 보낼만한 곳

전체(수)

불충분 충분 모름 없음 1~2곳 많음 모름

전체 38.0 54.8 7.2 23.8 54.4 11.0 10.8 100.0(2,003)

지역

2009년 조사 41.0 47.6 11.4 19.9 53.3 11.1 15.7 100.0(2,547)

〈표 Ⅴ-3-2〉 유치원 설치 충분성 및 보낼만한 곳 유무

구분 평가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