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채소경영계획 전산프로그램의 설치와 작동

가. 프로그램의 특징

위험을 고려한 채소농가 경영계획 수립 전산프로그램의 특징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행프로그램은 개인용 PC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WINDOWS 환경에서 사용 자와 대화하면서 진행할 수 있도록 VISUAL BASIC 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수리계획법의 구조나 연산체계를 잘 모르더라도 화면에서 지시하는대로 진행 하면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작동에 대하여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최우선으로 설계하였다. 특히 입력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를 가지고 선택하는 횟수를 줄 이기 위하여 데이터 입력은 별도의 창을 만들지 않고 입력표에서 직접 입력하도록 하였 다. 또한 중복되는 입력을 최대한 줄이도록 하였으며, 입력표에서 직접 입력된 데이터 들은 별도의 조작 없이 바로 저장되도록 하고 수정시에도 입력표를 수정하여 바로 저장 되도록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수리계획 화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먼저 경영조건을 확인하는 화면이 나타나는데, 이를 차례대로 입력한 다음 확인을 누르게 되면 자동적으 로 수리계획법에 의한 계산이 시작된다. 수리계획에 필요한 기술계수와 비용계수는 이 미 데이터 베이스에 수록되어 있는 자료를 불러서 계산하게 되므로 별도로 입력하지 않 아도 되며, 다만 특별히 수정해야 할 계수가 있거나 또는 경영 조건을 수정하면서 결과 를 얻고 싶은 경우에는 화면상에서 계수를 수정한 후에 실행시킬 수 있다. 컴퓨터가 계 산을 실행하는데는 몇 분의 시간이 소요되며, 분석 결과로서 채소 작목별로 재배면적과 비용 및 소득 등이 화면에 나타난다.

나. 프로그램의 설치

위험을 고려한 채소농가 경영계획 수립 전산프로그램은 원본 파일을 다운로드 받 아 다음과 같은 절차대로 설치하면 된다.

① 윈도우즈의 시작에서 실행을 선택한 다음에 다음 화면에서 setup을 입력한다.

그림 8-1 프로그램 설치 실행 화면

② 프로그램 [실행] 화면에서 확인을 선택하면 ‘위험을 고려한 채소경영계획 수립 시 스템’이라는 안내문이 표시되며, 여기서 확인을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프로그램의 설치가 시작된다.

그림 8-2 프로그램 설치 확인 화면

③ 설치가 시작되면서 프로그램 파일에 ‘RMOV’라는 이름으로 디렉터리가 만들어지 는데, 이 때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디렉터리를 변경할 수 있으며, 디렉터리 변경에 대한 지시가 없으면 자동적으로 프로그램의 설치가 시작된다.

그림 8-3 프로그램 디렉터리 설정 화면

그림 8-4 프로그램 디렉터리 변경 화면

④ 설치 과정이 종료되면 프로그램 그룹에 ‘위험을 고려한 채소경영계획 수립시스템’

이라는 새로운 프로그램이 추가된 것으로 표시되며, 프로그램이 추가된 것을 승인 하고 ‘계속’을 선택하면 프로그램 설치가 완료된다.

그림 8-5 프로그램 그룹 설정 화면

⑤ ‘위험을 고려한 채소경영계획 수립시스템’ 설치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 다는 표시가 나오면, 확인을 선택하여 프로그램 설치를 종료한다.

그림 8-6 프로그램 설치 완료 화면

다. 프로그램의 작동

1) 안내 화면

①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초기 화면이 나타나며, 마우스 클릭하면 다음으로 넘어간다.

그림 8-7 프로그램 실행 초기화면

② 사용자가 각 항목에 대해 클릭하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게 되고, 해당 화면에서 입력이 끝나면 오른쪽의 그림과 같이 간략히 설명하여 주게 된다.

그림 8-8 프로그램 개요 화면

2) 사용자 정보

① 다음 화면과 같이 성명을 입력하고 농장이 소재한 주소지를 시도별 목록 중에서 선택한다.

② 농장 소재지와 가까운 기상관측소를 선택한다. 기상관측소의 최근 10년간 강우량 자료를 토대로 강우확률을 계산한 데이터를 수리계획 모형에서 노동력 사용일수 에서 환산하여 사용하게 된다.

※ 주소를 선택한 후의 다음 단계로 기상관측소를 선택할 수 없는 경우는 근방에 기상 관측소가 단 한 곳뿐이기 때문에 선택 메뉴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이다.

(예: 서울, 광주 등)

그림 8-9 사용자 정보 입력 화면

3) 경영 조건 입력

① 경작하고 있는 농지에 대하여 채소 경영을 위한 자작지 면적과 임차지 면적을 평 단위로 입력한다.

② 노동력 부분에서는 자신의 가족노동력을 인원수(명) 단위로 선택을 하고, 노동 고 용계획에 대해서는 순기, 월, 분기별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그림 8-10 경영조건 입력 화면

4) 고용 노동력 순기별 입력

① 전화면에서 순기별 입력을 선택하였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출력된다.

② 활용 가능한 고용노동력을 순기 단위로 입력하는 화면으로서, 순기에 고용할 총 고용시간을 입력한다. 만일, 4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 고용할 총 시간이 30시간 씩이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그림 8-11 순기별 노동력 입력 화면

5) 월별 노동력 입력

① 매월 매순기에 이용할 수 있는 고용노동력이 동일한 경우에 월별 노동력 입력을 선택한다.

② 예를 들어 5월에 매순기 40시간씩 노동력을 고용한다면 다음과 같이 5월에 120시 간을 입력한다.

(다만, 5월에 120시간을 입력하면, 순기별 입력의 5월 상순, 중순, 하순에 각각 40 시간씩 입력한 결과와 동일하다)

그림 8-12 월별 노동력 입력 화면

6) 분기별 노동력 입력

① 분기별로 이용 가능한 노동력을 입력하며, 각 분기의 매월 고용노동력이 동일할 경우 분기별 노동력 입력을 선택한다.

② 예를 들어 2분기에 매월 90시간씩 노동력을 고용한다면 다음과 같이 2분기에 270 시간을 입력한다

(다만, 2분기에 270시간을 입력하면, 월별 입력의 4월, 5월, 6월에 각각 90시간씩 입력한 결과와 동일하며, 순기별 입력의 4∼6월의 상순, 중순, 하순에 30시간씩 입력한 결과와 동일하다.)

그림 8-13 분기 노동력 입력 화면

7) 위험에 대한 태도

① 위험에 대한 태도로서 자신이 원하는 소득 수준을 평균소득과 대비하여 선택하면, 위험회피계수가 자동적으로 계산되어 수리계획에서 이용된다.

그림 8-14 위험에 대한 태도 입력 화면

8) 재배품목 정보검색

① 품목 선택의 메뉴에는 [품목정보]와 [품목선택]을 제공한다. 여기서 품목 정보는 품목별로 입력된 데이터 베이스에서 경영자의 위험에 대한 태도, 즉 소득의 크기 와 변동 폭에 따른 선택 가능한 품목이 예시되며, 경영자는 이 가운데 재배 희망 작목을 선택하면 된다.

② [품목정보]에서는 한 품목만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 후 품목 정보보기를 선택하면 품목별 그래프와 각 품목별로 평균조수입, 경영비, 소득의 액수, 표준편차, 변이계 수를 그래프로 제공한다.

그림 8-15 품목 정보 선택 화면

그림 8-16 품목 정보 화면(예:고랭지감자)

9) 재배품목 선택

① [품목선택] 화면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품목을 선택한다. 앞에서 품목별 소득의 크 기와 변동 폭을 감안하여 적절한 품목에 마우스로 클릭하면 된다.

(다만, 이 프로그램에서 품목의 선택은 10개의 품목까지 한정하여 경영설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10개 이상의 품목을 선택하면, 초과하는 품목은 수 리계획 결과에 반영되지 않는다.)

그림 8-17 품목 선택 입력 화면

10) 경영설계 결과

① [영농설계 결과] 화면에서는 수리계획 기법에 의하여 분석된 경영계획의 총괄표와 품목별 재배면적이 제시된다. 즉, 재배 가능 품목에 대하여 예상 재배면적과 예상 수입, 비용, 소득 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② [영농설계 결과] 화면에서 ‘품목별 보기’를 선택하면 [품목별 영농설계 내역]으로 화면을 이동하며, 여기서는 재배 가능 품목에 대하여 10a당 비용과 소득뿐만 아니 라 전체 재배면적에 의한 품목 총소득을 알 수 있다.

그림 8-18 영농설계 총괄표 화면

11) 계수 수정

① [계수 수정] 화면에서는 이미 입력된 데이터 베이스에서 산출된 노동력 계수에 대 하여 경영주가 각 농장의 현실에 적합하게 수치를 수정하면서 수리계획 결과를 다시 얻도록 하기 위한 화면이다. 이미 입력된 계수는 농촌진흥청의 권장기술을 채용하는 농가의 평균치이기 때문에 자신의 영농기술 수준을 감안하여 적절히 수 정하면서 경영계획 결과를 시산할 수 있다.

그림 8-19 계수수정 화면

제 9 장

채소농가 소득안정화를 위한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