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창의적 독서지도의 원리와 전략

2. 창의적 독서학습 전략

글이 작가에 의한 개성적 창조의 산물이라면, 이를 읽는 것 또한 독자의 개성적 재창조이다. 창의적으로 읽기 위해서는 독서의 전 과정에서 그 의미를 재구성하고 확장하며 통합해 나가는 데 역동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독서활동은 독자와 텍스트와 독서맥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정신세계를 창출하는 인지적이며 사회적인 활동일 뿐 아니라 교육의 질을 높이고, 나아가 삶의 질을 높이는 일과 직결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독서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가 작품을 단순히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차원이 아니라 자기 주도적으로 독 서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학습전략 방안이 필요하다.

1) 읽기 전 독자 사고의 활성화 전략

첫째, 텍스트를 효과적으로 읽기 위해서는 읽는 것과 관련된 배경지식이나 경험을 떠올리게 하는 것이 좋다. 연상하기는 읽기 이해의 첫 단계에서 선행지식을 회상하 고 그것을 활성화함으로써 글 속에 들어 있는 정보와의 교섭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과정이다. 이러한 배경지식은 모호한 단어의 해석, 문장간의 추론, 예측, 정교화를 돕는다.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거나 연상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예를 들면 그 글

13) 한철우(2001), 「과정중심 독서지도」, 교학사, p.119.

과 관련하여 머리 속에 떠오르는 것을 브레인스토밍해 볼 수 있다. 서사적인 글에서 는 특히 장면이나 인물을 보고 관련장면을 상상해 보게 하거나, 글의 어떤 내용을 자신의 일상생활이나 이전에 읽었던 다른 글과 비교해 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배경지식을 활성화시켰을 때, 학생들은 그 책에 대해 보다 흥미를 갖게 되고 내용을 쉽고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된다.

둘째, 독서 전에 글의 내용이 무엇인지 추측해 본 다음, 글을 읽으면서 추측한 내 용과 글의 실제 내용을 비교하게 한다. 그리고 끝까지 읽고 난 뒤에 저자가 말한 내 용에 대한 각자의 해석을 입증해 보게 하는 절차를 거치는 예측의 과정도 스키마를 활성화하는 또 다른 방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수좋은 날」을 읽기 전에 제목 을 보고 앞으로 전개될 내용을 예측해 본다. 이러한 예측을 바탕으로 읽어 가면서 자신이 처음에 예측한 내용과 맞는지, 어떤 점에서 차이가 어떻게 나는지, 제목을 바탕으로 추측할 수 있는 내용과 실제 전개 내용에 차이를 둠으로써 얻는 효과는 무엇인지 이러한 차이를 통해 보이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는 어떤 것인지 등에 대해 서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보다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읽을 수 있게 된다.

학생들에게 제시된 과제를 미리 한번 살펴보면서 예측하게 하는 것은 학생들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학생들의 독서동기를 자극할 수 있다. 학생들이 다양하게 예측한 것에 대해 토의를 하는 것은 서로의 합리적인 사고과정들을 보여주는 효과 가 있다.14) 모든 시간에 정확한 예상을 한다는 것은 중요한 일이 아니다. 많은 훌륭 한 예측들은 필자의 의도와 부합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필자는 때 때로 아무도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포함하여 독자들을 놀라게 하고 싶어한다. 무엇 보다 중요한 점은 그 예측이 맞든 틀리든, 자신의 예측들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일이다. 또한 예측해 보는 활동은 자연스럽게 자신의 경험이나 지식을 끌어오게 되 는데, 이를 활용하여 글의 내용과 자신의 삶을 더욱 적극적으로 연결짓게 한다.

셋째, 여행을 하기 전에 미리 정보를 얻기 위해 지도를 살펴보며 준비하는 것이

14) 이 내용을 교수・학습하기 위한 방안으로 먼저 교사는 질문을 통해 학생들이 어느 정도로 추론능력 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여 보는 것이 좋다. 둘째, 교사는 추론하기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추론과정 을 시범 보인다. 셋째, 학생들의 추론을 촉진할 수 있도록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킨다. 백지상태에서 는 추론하기가 불가능하거나 무의미하다. 넷째, 글을 읽으며 내용을 앞이나 뒤의 사건과 관련지으 며, 그에 따른 근거를 말하는 활동을 실시한다.

즐거운 여행의 길잡이가 되듯, 책을 읽기 전에 미리보기를 하는 것은 내용을 이해하 고 기억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책을 사거나 읽기 전에 앞뒷면, 제목, 저자의 이름, 두께 등을 미리 살펴보거나 편 지를 받고 뜯어보기 전에 주소와 발신자, 봉투의 크기와 무게, 용지의 형식, 필체 등 을 미리 보고 상당부분 그 내용을 파악하는 것도 미리보기의 한 형태이다.

제목이나 그림을 보고 글의 단락을 인지한 후 각 단락의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을 읽고 글 속에 있는 이름이나 수, 날짜, 눈에 띠는 단어들을 주목한다. 이것은 글의 장 르, 문맥, 제재, 난이도, 글 조직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한다.

미리보기는 빨리 읽는 능력과 관계가 있다. 정보를 가정하고 자신이 이미 알고 있 는 정보와 내용을 연관시켜 봄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능력이 다. 학생들은 이러한 능력을 길러서 자신들에게 소개된 책 중에서 필요한 것을 골라 읽을 수 있게 된다. 글을 전부 읽지 않고도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은 독자의 사고를 활성화시키고 능동적인 읽기 자세를 갖게 한다.

2) 읽기 중 독서전략

첫째, ‘중심생각 찾기’로 이는 비판적 읽기, 창조적 읽기를 비롯한 다양한 읽기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읽기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글의 중심생각은 핵심어 찾기에서부터 시작된다. 글에서 중요한 내용과 관련된 단 어는 반복해서 사용되는데, 이것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제재이며 일반적으로 제 목으로 드러나게 된다. 제목의 효과와 기능에 대한 지식도 중심내용 찾기에서 중요 한 기반지식이다. 또한 제재에 대한 일반적인 진술을 찾는 것도 글의 중심생각을 찾 는 방법의 하나이다.

둘째, 글을 읽는 과정에서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면서 읽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 다. 전체 구조를 예측하는 것은 읽기 전에도 필요한 활동인데, 글을 읽어 나가면서 도 계속해서 전체 구조를 파악하면서 읽도록 한다.

글 구조에 대한 논의는 다양하지만 특히 설명적인 글은 보통 다음 다섯 가지 구 조로 되어 있다. 시간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는 시간 순서구조, 일련의 사실이나 생 각을 순서대로 나열한 열거구조, 둘 이상의 사람, 사물, 사건 사이의 유사점이나 차

이점을 서술한 비교-대조구조, 어떤 사건이 원인과 결과를 밝혀 놓은 인과관계 구조, 어떤 문제와 해결책을 제시한 문제-해결구조 등이 그것이다. 글을 읽어 나가는 과정 에서 계속 구조를 파악하게 함으로써 보다 쉽고 체계적으로 글을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읽기는 어떤 종류의 질문을 제기하고 이 질문에 대해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 이다. 글을 읽기 전에 제목이나 삽화 등을 보고 이 글에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지 예측해 보는 것도 필요하지만, 글을 읽는 동안에도 계속적으로 이들 질문을 유지 하고 질문에 대한 답을 찾게 하는 것은 더 중요하다. 질문하기를 통해 학생들은 읽 고 있는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되고 계속적으로 글에 관심을 갖고 읽 게 될 것이다.

넷째, 필자는 쓰고 싶은 내용이나 사실을 모두 글로 표현하지 않는다. 따라서 독 자는 글을 읽을 때에 필자가 생략한 내용을 보충해 가며 읽어야 한다. 즉 주어진 글 을 정확하고 깊이 있게 읽기 위해서는 행간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명시 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앞뒤 상황을 고려하여 그 글의 의미를 추론해 낼 수 있어야 한다. 추론의 수준을 나눈다면 표면적 추론과 심층적 추론으로 나눌 수 있다. 앞의 것은 어느 정도 의미가 표면에 드러나 있는 문장, 그리고 앞이나 뒤의 문장을 보고 추론할 수 있는 것이고, 후자의 것은 표면에 드러나 있지 않고 글의 전 체 상황을 고려해 보아야만 알 수 있는 추론을 말한다.

추론의 종류로는 인물이나 장소, 배경에 대한 추론, 문장 간의 생략된 추론, 단어 의 의미 추론, 이어질 내용의 추론 등이 있을 것이다. 어떤 종류의 추론이 필요한가 는 글의 종류나 글을 읽는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진다. 단, 추론을 할 때는 항상 그 추론의 근거가 있어야 한다.15)

다섯째, ‘메모하기’ 방법이 있다. 글을 읽어 나가면서 적절히 표시를 하면 좀더 체 계적으로 이해할 가능성이 높다. 중요 내용에 밑줄을 긋거나 괄호를 하면서 읽으면 중요한 내용이 한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전체의 주제와 내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 고, 밑줄을 긋는 것 이외에 그 글의 내용과 관련하여 떠오르는 생각을 여백에 간단

15) 가령, “아침에 기상 예보를 들었다. 나는 장화를 신고 외출하기로 했다.”라는 두 문장 사이에서 독 자들은 ‘비가 내릴 것’이라는 정보가 생략되어 있지만, 자신이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쉽게 추론 하여 이해할 수 있다. 추론의 또 다른 근거는 문맥을 포함한 글의 단서가 있다. “기말 고사를 쳤 다. 수학이 제일 어려웠다.”라는 글에서 독자들은 ‘수학’을 앞에서 말한 ‘기말 고사’의 한 종류로 해

15) 가령, “아침에 기상 예보를 들었다. 나는 장화를 신고 외출하기로 했다.”라는 두 문장 사이에서 독 자들은 ‘비가 내릴 것’이라는 정보가 생략되어 있지만, 자신이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쉽게 추론 하여 이해할 수 있다. 추론의 또 다른 근거는 문맥을 포함한 글의 단서가 있다. “기말 고사를 쳤 다. 수학이 제일 어려웠다.”라는 글에서 독자들은 ‘수학’을 앞에서 말한 ‘기말 고사’의 한 종류로 해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