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울 시 여 성 노 동 시 장 의 특 성 과 정 책 적 시 사 점

참고문헌

강서여성인력개발센터·강서여성새로일하기센터, 2018, 「4차 산업혁명시대 여성일자리 해법」, 강서여 성인력개발센터·강서여성새로일하기센터.

국미애·고혜원 외, 2014, 「서울시 여성일자리 종합계획 수립 연구」, 서울여성가족재단.

국미애·이화용, 2017, 「서울시 여성의 경력단절 경로 및 영향요인 분석: 30~40대 여성을 중심으로」, 서울여성가족재단.

국미애·이현주, 2015, 「서울시 경력단절여성의 일 경험 분석을 통한 지속고용지원방안 연구」, 서울여성 가족재단.

금재호·윤자영, 2011, 「외환위기 이후 여성 노동시장의 변화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금재호·전용일·조준모, 2007, 「한국형 니트(NEET)개념을 통한 한국형 청년실업의 경제학적 고찰」, 노동부.

김기헌, 2005, “니트(NEET): 일본청년무업자의 특징과 실태”, 「국제노동브리프」, 3(5), 한국노동연구원.

김기헌, 2017, “한국 청년 니트(NEET)의 정의와 결정요인”, 「KLI 패널 워킹페이퍼」, 제8호, No.8, 한국노동연구원.

김광석, 2015, “청년 니트족(NEET) 특징과 시사점”, 「현안과 과제」, 15(3), 현대경제연구원.

김범식·김묵한·황민영, 2014, 「서울시 괜찮은 일자리 실태분석과 정책방향」, 서울연구원.

김범식·조달호·황민영, 2010, 「서울시 가계의 소득 및 소비 특성 분석」,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영옥·민현주·김복순, 2008,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추이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영옥·이선행·김민수, 2011, 「2000년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와 미래전략」,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유선, 2017, “한국의 청년 니트 특징과 경제적 비용”, 「KLSI ISSUE PAPER」, 제10호, 한국노동사회 연구소.

김은비·이인수·조대연, 2017, “선진 4개국의 직업교육정책 및 고용정책 비교분석을 통한 청년 니트 (NEET)의 교육행정 지원방안: 미국, 영국, 독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취업진로연구」, 제7권 제4호(통권 20호), 한국취업진로학회.

162

참 고 문 헌

김종숙·민무숙·김영옥·신선미·김난주·권소영, 2013, 「여성고용률 제고를 위한 전략개발」, 한국여성정 책연구원.

김종욱, 2017, “최근 청년층 니트(NEET)의 특징과 변화”, 「월간 노동리뷰」, 2017년 4월호, 한국노동연 구원.

김지유, 2018, “사례연구 2 – 영국 니트(NEET)족 예방 SIB 사업”, 「소셜임팩트본드 매거진」, 2018년 2월호, 팬임팩트코리아.

김태홍·양인숙·배호중·금재호·이상준, 2012, 「여성일자리(Ⅲ): 여성고용구조와 정책과제」, 한국여성정 책연구원.

남재량, 2006, “청년 니트(NEET)의 실태와 결정요인 및 탈출요인 연구”, 「제7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노동연구원.

남재량, 2012, “고졸 NEET와 대졸 NEET”, 「노동리뷰」, 통권 16호, 한국노동연구원.

남재량·김세움, 2013, 「우리나라 청년 니트(NEET)의 특징 및 노동시장 성과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문진수, 2012, 「사회혁신채권(Social Impact Bond)의 서울시 사회경제정책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토」, 작은 연구 좋은 서울 08, 서울연구원.

민승규 외, 2006,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박진희·김두순·이재성, 2015, “최근 청년노동시장 현황과 과제”, 「한국고용정보원 개원 9주년 기념

‘청년고용 이렇게 풀자; 청년고용 현황과 정책제언’ 세미나 자료집」.

서울특별시, 2014, 「경제비전 2030 서울형 창조경제모델」, 서울특별시.

신하영·서정은, 2018, 「여성인력개발기관 종사자 근로실태 및 처우개선 방안」,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여유진·김수정·김은지·최준영, 2013, 「여성고용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오은진·김난주·임채윤, 2012, 「경력단절여성의 직업역량 진단 및 경력형성 지원 방안」, 한국여성정책연 구원.

윤정혜, 2016, 「여성 노동시장 현황과 고용서비스의 취업 성과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이규용·박성재·이해춘·고진수, 2008, 「여성일자리 지원사업 평가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이정아·이철·최정은, 2017, 「여성 노동시장 취약계층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이충한, 2018, 「비노동사회를 사는 청년, 니트」, 마이너리티 리포트 02, 서울연구원.

장민선·최환용·김기헌·하형석·유민상·조성호, 2017, 「입법상 연령기준과 정책 연계성 확보를 위한 연 구」, 한국법제연구원.

전병유, 2007, “한국 노동시장의 양극화에 관한 연구: 중간일자리 및 중간임금계층을 중심으로”, 「한국경 제의 분석」, 13권 2호, 한국금융연구원.

163

서 울 시 여 성 노 동 시 장 의 특 성 과 정 책 적 시 사 점 전병유·김혜원·신동균, 2006,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전병유·신동균·신관호·이성균·남기곤, 2007,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경제적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정연순·변정현·황여정·宮本みち子, 2013, 「취업지원을 위한 청년 니트 실태조사」, 고용노동부·한국고 용정보원.

조선주·박수범·장윤선, 2014, 「여성 경력단절의 사회적 비용 조사」, 국회예산정책처.

청년미래 특별위원회, 2018. 05, 「청년미래 특별위원회 활동결과보고서」, 국회 청년미래 특별위원회.

채창균·민주홍·양정승·정지운, 2015, “청년 니트(NEET)의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The HRD Review」, 18권 6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채창균·오호영·정재호·김기헌·남기곤, 2008, 「유휴청년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최나리, 2008, 「20대 여성 청년층의 취업현실」,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최윤선·심혜인, 2014, 「경기도 여성고용 확대를 위한 실천과제」,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황덕순·윤자영·전병유·윤정향, 2013,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방안 연구: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황종률, 2010,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양극화」, 국회예산정책처.

Anker, R., Chernyshev, I., Egger, P., Mehran, F., Ritter, J., 2003, “Measuring decent work with statistical indicators”, International Labour Review, 142(2): 147-178.

Eurofound, 2012, NEETs – Young people 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

Characteristics, costs and policy responses in Europe,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Luxembourg.

Carcillo, S. et al., 2015, “NEET Youth in the Aftermath of the Crisis: Challenges and Policies”, OECD Social, Employment and Migration Working Papers, No.164, OECD Publishing. http://dx.doi.org/10.1787/5js6363503f6-en.

Esteban, J., D., Ray, 1994, “On the Measurement of Polarization”, Econometrica, Vol.

62, No.4.

European Commission, 2011a, Youth neither in employment nor education and training (NEET) Presentation of data for the 27 Member States, EMCO Contribution.

Furlong, A., 2007, “The zone of precariety and discourses of vulnerability: NEET in the UK”, Journal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No.381.

ILO, 2015, “What does NEETs mean and why is the concept so easily misinterpreted?”, Technical Brief, No.1, http://www.ilo.org/wcmsp5/groups/public/@dgreports/@dcomm/

164

참 고 문 헌

documents/publication/wcms_343153.pdf.

Istance, D., Rees, G. and Williamson, H., 1994, Young people not in education, training or employment in South Glamorgan, South Glamorgan Training and Enterprise Council, Cardiff.

OECD, 2014, Education at a Glance 2014: OECD Indicators, OECD Publishing, http://dx.doi.org/10.1787/eag-2014-en.

OECD, 2016, “The NEET challenge: What can be done for jobless and disengaged youth?”, Society at a Glance 2016: OECD Social Indicators, OECD Publishing.

OECD, 2018, OECD Economic Survey of Korea 2018, OECD.

OECD·World Bank, 2017, A policy framework to help guide the G20 in its development of policy options to foster more inclusive growth, OECD·World Bank.

Social Exclusion Unit, 1999, Bridging the gap: New opportunities for 16–18 year-olds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Stationery Office, London.

Wolfson M., 1994, “When Inequalities Diverge”,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84.

Wolfson M., and G. Rowe, 2001, “On Measuring Inequalities in Health”,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79(6).

165

서 울 시 여 성 노 동 시 장 의 특 성 과 정 책 적 시 사 점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