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창순. “보건의료정보학” 현문사. 2003

권선국(Seon Kook Kweon), 신영록(Young Lok Shin), 신현석(Hyun Suk Shin), 라영찬(Young Chan La), 김기형(Ki Hyung Kim)(1992). 원저 : 지역주민의 단골의사 이용실태와 의료태도.

가정의학회지, 13(7), pp.627-635.

권순만, 의료기관 기능재정립 방안 학계 및 관계기관 의견, 의료기관 기능재 정립 TF 회의자료, 보건복지부, 2010

권오안. “병원정보시스템상의 정보보안에 관한 고찰” .2007

김계현, 이정찬, 김한나, 의료기관 기능 재정립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연 구, 국가정책연구, 25권 4호, 2011

김도윤. “의료정보화의 현황 및 문제점” 2003

김성희, 오창훈, 서영성, 김대현, 신동학(1999). 원저 : 가정의들의 일차 의료에 대한 신념 및 수행분석. 가정의학회지, 20(12), pp.1741-1751.

김신효. 의료정보화 및 보안기술의 표준화, 2006

김연표ㆍ고승우ㆍ황진숙ㆍ황환식ㆍ박훈기, 일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에서의 진료의뢰양상에 따른 환자 만족도 조사, 가정의학회지 2008 May;

29(05): 325~329

김용욱 外. “Essential Elements of EHR System" 군자출판사. 2006 김재용, 김혜영, 김화영, 민경완, 박석원, 박이병, 박정현, 등. 우리나라 당뇨

병환자의 외래이용지속성이 건강결과(health outcome)와 의료비에 미 치는 영향: 건강보험 자료분석 결과. 당뇨병 2006, 30(5):377-387 김진현·조홍준. 상용 치료원(Regular Source of Care) 보유가 예방서비

스 제공 및 질병관리에 미치는 영향. 가정의학회지 2007 Apr;

28(04): 278~285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 “Web-PACS를 이용한 국가결핵관리체계 개선 및 민간 의료기관과 협력방안 연구”, 2006

민혜영, 이일학, 이미진, 김영재, 김소윤, 신영태, 우리나라 일차의료 활성화 를 위한 모델 구축 – 의료이용자의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실천 전략 -, 의료정책연구소, 2009

민혜영, 이정찬, 진료의뢰 및 회송제도 개선방안, 의료정책연구소, 2010 박종선 외. “의료정보통신” 현문사. 2005

보건복지가족부, 2008년도 주요 만성질환관리사업 안내, 2007. 한국보건사 회연구원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대형병원 쏠림현상 심각, 2011.3.15.

봉승원·김태훈·김신실·김영식, 주치의제도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인식도 조 사, 가정의학회지 2006 May; 27(05): 370~375

부수일 외. “보건의료정보학” 계축문화사. 2003

송수연, 수도권 병상 쏠림? NO 빅 5쏠림 YES, 2012.1.30. 전문지 청년의

사 기사,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UpJGSYdB _ggJ:www.docdocdoc.co.kr/news/newsview.php%3Fnewscd%3D20 12012700030+%EC%88%98%EB%8F%84%EA%B6%8C+%EB%

B3%91%EC%83%81&cd=2&hl=en&ct=clnk&gl=kr

신의철, 의료제공체계의 구조적 합리화: 통합의료체계에 대한 고찰, 대한보 건연구, 33권, 2007

신호성, 박은자, 채수미, 이상영, 김철환, 김관환 외, 의료서비스 질 및 효율

참고문헌127

성 증대를 위한 통합적 의료전달 시스템 구축 방안, 한국보건사회연 구원, 2009

양용민·최현림·김병성·원장원·김원화, 일개 종합 전문 요양 병원에서 의료 전 달 체계 변화 후 가정의학과에서 일부 진료 과목으로의 의뢰 변화, 가정의학회지 2003 Oct; 24(10): 934~941

엄기성. “의료정보학의 입문” 2001

왕경해. “국내의료기관의 정보화 현황 관련 및 요인 분석” 2006

윤홍주 ( Hong Joo Yoon ), 진성희 ( Seong Hee Jin ), 정유석 ( Yoo Seock Cheong ), 유선미 ( Sun Mi Yoo ), 박일환 ( Eal Whan Park )(2003). 원저 : 외래에서 단순 의뢰서 발급에 대한 가정의학과 전공의의 인식. 가정의학회지, 24(3), pp.254-259.

이 란, 정유석, 박일환 등. 가정의는 어떤 환자를 얼마나 의뢰하는가? -천안 진료중심연구망 연구-가정의학회지 2007 Apr; 28(04): 286~291 이동진(Dong Jin Lee), 서문성(Mun Seong Seo), 천경수(Kyeong Soo

Cheon), 오미경(Mi Gyeong Oh), 주성수(Seong Su Joo), 김미림 (Mi Rim Kim) 외(2001). 원저 : 개원가에서의 전화 의료상담 실태 의사 - 환자의 인식도 - 강릉시 지역 일차의료 개원의와 환자를 대상 으로 -. 가정의학회지, 22(12), pp.1779-1786.

이재호(Jae Ho Lee), 김철환(Cheol Hwan Kim), 강규석(Kyu Suck Kang)(2001). 원저 : 주치의제도와 그 주요 쟁점 서비스에 관한 설 문조사 - 개원 가정의를 대상으로 -. 가정의학회지, 22(7), pp.1021-1033.

이재호, 강길원, 김경우, 김철환, 은상준, 최용준, 함상근(2009). 만성질환 관 리를 위한 제도 실행방안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이현복, 정현진, 서남규, 운성웅, 고영, 통합의료체계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

전석호. “정보화와 뉴미디어” 태영출판사 . 2003

정현주(Hyun Joo Jung), 이가영(Ga Young Lee), 박태진(Tae Jin Park), 김병성(Byung Sung Kim), 한은정(Eun Jung Han), 백진주(Jin Ju Bak) 외(1997). 원저 : 외래 환자들의 주치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들 - 일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가정 의학회지, 18(7), pp.731-738.

정현진, 황라일, 서수라, 김철웅 (2007). 유럽의 일차의료현황과 주치의 제도 개혁 - 한국에의 함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조홍준(Hong Jun Cho), 심재용(Jae Yong Shim), 이혜리(Hye Ree Lee), 이선희(Sun Hee Lee)(2002). 원저 : 국민은 주치의제도에 대해 어떻 게 생각하나. 가정의학회지, 23(2), pp.171-178.

채영문. “의료정보학의 입문” 바아이티 출판 . 2001

최기춘, 이용갑, 고민창, 정형진, 문성웅(2007). 2006년 외국의 보건의료 체계와 의료보장제도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최의근, 박영배, 오세일, 채인호, 김철호, 손대원, 오병희, 이명묵, 최윤식. 제 2 형 당뇨병 환자의 임상 인자들과 관상동맥 병변과의 연관성.

Korean Circulation J 2002;32(2):106-117

최진우, 이백휴, 김한나, 수도권 의료집중 완화를 위한 병상공급 개선방안 연구, 의료정책연구소, 2010

최혜원, 국가보건의료정보체계 구축방안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 원 보건정보학과, 2006

한국전산원. “정보화의 삶과 질 .한국전산원” 2007

황선욱·최창진, 일차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의 환자 중심적 태도, 가정의 학회지 2006 Dec; 27(12): 998~1004

Abelson R. Medicare finds how hard it is to save money. New York Times, 2008-04-07. Retrieved 2008-12-07.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on the diagnosis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people with diabetes:

참고문헌129

10–11 February 1998, Miami, Florida. Diabetes Care. 1998;

21:1551-9.

Baggs JG, Ryan SA, Phelps CE, Richeson JF, Johnson JE.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patient outcomes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Heart Lung. 1992 Jan;21(1):18-24.

Baggs JG, Ryan SA. ICU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 nursing satisfaction. Nurs Econ. 1990 Nov-Dec;8(6):386-92.

Baggs JG.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collaboration and satisfaction about care decisions. J Adv Nurs. 1994 Jul;20(1):176-82.

Barr VJ, Robinson S, Marin-Link B, Underhill L, Dotts A, Ravensdale D, Salivaras S.1. The expanded Chronic Care Model: an integration of concepts and strategies from population health promotion and the Chronic Care Model. Hosp Q.

2003;7(1):73-82.

Berenson RA, Hammons T, Gans DN, Zuckerman S, Merrell K, Underwood WS, Williams AF (2009).A house is not a home:

keeping patients at the center of practice redesign. Health Aff (Millwood). 2008 Sep-Oct;27(5):1219-30.

Bonomi AE, Wagner EH, Glasgow RE, VonKorff M.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care (ACIC): a practical tool to measure quality improvement. Health Serv Res. 2002 Jun;37(3):791-820.

Cassady CE, Starfield B, Hurtado MP, Berk RA, Nanda JP, Friedenberg LA. Measuring consumer experiences with primary care. Pediatrics. 2000 Apr;105(4 Pt 2):998-1003.

Coleman EA, Mahoney E, Parry C. Assessing the quality of

preparation for posthospital care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the care transitions measure. Med Care. 2005 Mar;43(3):246-55.

Coleman K, Austin BT, Brach C, Wagner EH. Evidence On The Chronic Care Model In The New Millennium. Health Aff 2009;

28(1):75-85

Cooley WC, McAllister JW, Sherrieb K, Clark RE. The Medical Home Index: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practice-level measure of implementation of the Medical Home model. Ambul Pediatr. 2003 Jul-Aug;3(4):173-80.

Cromwell J, et al. Evaluation of Medicare Health Support chronic disease pilot program. Health Care Financing Review 2008 Fall;30(1):47-60. Retrieved 2008-12-07.

Fletcher RH, O'Malley MS, Fletcher SW, Earp JA, Alexander JP.

Measuring the continuity and coordination of medical care in a system involving multiple providers. Med Care. 1984 May;22(5):403-11.

Flocke SA. Measuring attributes of primary care: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J Fam Pract. 1997 Jul;45(1):64-74.

Glasgow RE, Wagner EH, Schaefer J, Mahoney LD, Reid RJ, Greene S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tient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Care (PACIC). Med Care. 2005 May;43(5):436-44.

Grimmer K, Moss J. The development, validity and application of a new instrument to assess the quality of discharge planning activities from the community perspective. Int J Qual Health Care. 2001 Apr;13(2):109-16.

Hojat M, Fields SK, Veloski JJ, Griffiths M, Cohen MJ, Plumb JD.

참고문헌131

Psychometric properties of an attitude scale measuring physician-nurse collaboration. Eval Health Prof. 1999 Jun;22(2):208-20.

Mattke S, et al. Evidence for the effect of disease management: is

$1 billion a year a good investment? American Journal of Managed Care 2007 Dec;13(12):670-6

McGuiness C, Sibthorpe B.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measure of coordination of health care. Int J Qual Health Care.

2003 Aug;15(4):309-18

Morita T, Hirai K, Sakaguchi Y, Maeyama E, Tsuneto S, Shima Y.

Measuring the quality of structure and process in end-of-life care from the bereaved family perspective. J Pain Symptom Manage. 2004 Jun;27(6):492-501.

OECD 2006. Improved health system performance through better care coordination.

Radwin L, Alster K, Rubin KM.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Oncology Patient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Scale. Oncol Nurs Forum. 2003 Mar-Apr;30(2):283-90.

Safran DG, Kosinski M, Tarlov AR, et al. The Primary Care Assessment Survey: tests of data quality and measurement performance. Med Care. 1998 May;36(5):728-39.

Shortell SM, Rousseau DM, Gillies RR, Devers KJ, Simons TL.

Organizational assessment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construct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CU nurse-physician questionnaire. Med Care. 1991 Aug;29(8):709-26.

Starfield B, Steinwachs D, Morris I, Bause G, Siebert S, Westin C.

Concordance between medical records and observations regarding

information on coordination of care. Med Care. 1979 Jul;17(7):758-66.

Temkin-Greener H, Gross D, Kunitz SJ, Mukamel D. Measuring interdisciplinary team performance in a long-term care setting.

Med Care. 2004 May;42(5):472-81.

Weiss SJ, Davis HP.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llaborative Practice Scales. Nurs Res. 1985 Sep-Oct;34(5):299-305.

Zillich AJ, Doucette WR, Carter BL, Kreiter CD.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physician-pharmacist collaboration from the physician perspective. Value Health. 2005 Jan-Feb;8(1):59-66

K I H A S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