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업형태별 경로분석

앞서 회귀분석을 통한 가설검증시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동이 기업의 사회적 지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성별, 연령, 직위, 그리고 업종을 통제변수로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표 27>에서 보듯이 기업의 공유가치창출(경제적·사회적·협력적 가치) 활동은 직위 와 업종에 대체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업의 CSV의 가치차원활동 과 관련한 연구에서 기업의 공유가치 창출은 동일한 CSV 전략이라고 하더라도 기업형 태와 업종, 규모에 따라 경영비전 및 경영방침, 추진방향 등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결 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Porter & Kramer는 공유가치를 하나의 기업 전략으로 파악하 면서, CSV전략은 산업 및 지역, 기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하였다. 이정기·

이장우(2016)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는 상호의존적 성격을 갖고 있지만 두 가치 의 창출되는 결과는 기업마다 다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각 기업이 처한 환 경 뿐만 아니라 추구하는 비즈니스모델, 실행방식 등이 다르기 때문에, 두 가치가 창출 되는 순서 또는 두 가치의 비중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본 분석에서도 독립변수인 기업의 공유가치창출(경제적·사회적·협력적 가치) 활 동이 매개변수인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과 조직몰입, 종속변수인 발언행동과 혁신행동 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기업 형태에 따라 공기업(199명)과 사기업(188명)으로 구분하 여, 경로효과가 달라지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공기업의 경우 사회적 가치(β=.342, p<.001)와 협력적 가치(β=.196, p<.05) 는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은 조직몰입(β=.786, p<.001), 발언행동(β=.529, p<.001), 혁신행동(β=.498, p<.001)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조직몰입은 발언행동(β

=.500, p<.001)과 혁신행동(β=.513, p<.001)에, 발언행동은 혁신행동(β=.651, p<.0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적 가치는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β=.029, p>.05).

<표 42> 기업형태별 경로분석 결과

경로 β t 값 p

공기업

경제적 가치 →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 .029 .413 .680 사회적 가치 →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 .342 3.858*** .000 협력적 가치 →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 .196 2.359* .019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 → 조직몰입 .786 13.064*** .000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 → 발언행동 .529 7.208*** .000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 → 혁신행동 .498 7.031*** .000

조직몰입 → 발언행동 .500 8.111*** .000

조직몰입 → 혁신행동 .513 8.849****** .000

발언행동 → 혁신행동 .651 12.797*** .000

사기업

경제적 가치 →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 .244 2.816** .005 사회적 가치 →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 .284 2.488* .014 협력적 가치 →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 .233 2.278* .024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 → 조직몰입 .768 14.535*** .000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 → 발언행동 .451 7.454*** .000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 → 혁신행동 .448 7.868*** .000

조직몰입 → 발언행동 .436 7.597*** .000

조직몰입 → 혁신행동 .529 10.815*** .000

발언행동 → 혁신행동 .658 12.683*** .000

주1) * p<.05, ** p<.01, *** p<.001

주2) 성별의 경우 남성=0, 여성=1로 더미변환, 연령대는 20대, 30대=0, 40대 이상은 1로 더 미변환, 직위의 경우 평사원, 대리=0, 과장 이상은 1로 더미변환하여 통제변수로 포함함

반면, 사기업의 경우 경제적 가치(β=.244, p<.01)와 사회적 가치(β=.284, p<.05), 협력적 가치(β=.233, p<.05)는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기업의 사회적 지위인식은 조직몰입(β=.768, p<.001), 발언행동(β=.451, p<.001), 혁신행동(β=.448, p<.001)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조직 몰입은 발언행동(β=436, p<.001)과 혁신행동(β=.529, p<.001)에, 발언행동은 혁신행동(β

=.658, p<.0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경로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기업 경로결과

유의한 경로 유의하지 않는 경로

CSV 활동

.342(3.858)

.196(2.359) .029(.413)

.651(12.797)

.513(8.849) .500(8.111)

.786(13.064)

.498(7.031) .529(7.208)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협력적 가치

기업의 조직몰입 사회적 지위

인식

발언행동

혁신행동

사기업 경로결과

CSV 활동

.284(2.488)

.233(2.278) .244(2.816)

.658(12.683)

.529(10.815) .436(7.597)

.768(14.535)

.448(7.868) .451(7.454)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협력적 가치

기업의 조직몰입 사회적 지위

인식

발언행동

혁신행동

<그림 9> 기업형태별 경로결과 차이(괄호 안은 t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