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업별 노동력 수요전망

앞서 살펴본 직업세계의 변화를 수량적으로 확인해보자. 우리는 여기서 종래 의 직업분류상 정신노동이 주된 직무로 구성되는 전문기술직의 뚜렷한 증가와 보건관련 직업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지식기반경제로의 진전에 따라 지식 기반산업의 고용증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1. 한미일 직업구조 비교

우선 현재의 직업구조를 한국, 미국, 일본과 비교해 보면 우리 나라의 산업발 전의 정도가 미국과 일본의 그것에 비해 낙후되어 있는 만큼 양국의 직업구조와 일정한 시차를 가지며 발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전문기술적 직업의 경우 1986년 미국 15.6%, 일본 1985년 10.5%, 한국 1997년 15.1%으로 미국이 엔지니어 및 전문직 중심구조이며 한국의 준전문가 비중이 높 다. 미국의 전문직이 서비스 및 정보산업중심의 구조에서 보다 전문적 기술영역 의 직업발전이 이루어진 반면 일본과 한국은 제조업부문의 기술직 분포가 상대 적 강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무 및 관리적 직업의 경우 미국 1986년 28.2%, 일본 1985년 22.4%, 한국 14.7%으로 한국의 매우 낮은 사무 및 관리적 직업비중의 특징이 있으며 일본의 경우도 미국의 그것에 비해 상당한 격차를 갖고 있다.

서비스관련직업은 미국 1986년 25.9%, 일본 1985년 22.4%, 한국 1997년 23.1%

의 수준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한국이 상대적으로 높은 서비스직의 분포를 보이고 있는 것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우리 나라가 최종수요형 서비스산업 특 히 도소매 음숙박업 같은 단순서비스산업의 비중이 높은데 기인한다.

우리나라의 직업구조는 생산 및 단순 농업부문직업종사자가 많고 사무 및 관 리적 부분이 적은 일본형과 유사하나 서비스(단순서비스중심으로 추정)종사자의 상대적인 점유비중이 일본보다 높은 형상이다. 일본과 미국의 경우와 비교할 때 우리나라의 직업구조는 전문가(기술자 포함) 및 관리적 직업의 증가로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직업은 사실상의 고학력 및 고자격의 인력으로 향후 직업 구조의 고도화방향으로 진전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표 4>참조).

<표 4> 한미일 직업구조

<미 국> (단위 : 천명, %)

1986 1996 2006 1986 1996 2006

전체 111,375 132,353 150,927 100 100 100

전문직 13,589 18,173 22,998 12.2 13.7 15.2

기술및 준전문가 3,724 4,618 5,558 3.3 3.5 3.7

행정관리 10,568 13,542 15,866 9.5 10.2 10.5

사무 20,871 24,019 25,825 18.7 18.1 17.1

판매 11,496 14,633 16,897 10.3 11.1 11.2

서비스 17,427 21,294 25,147 15.6 16.1 16.7

농림어업 3,661 3,785 3,823 3.3 2.9 2.5

기능근로자 13,832 14,446 15,448 12.4 10.9 10.2 조작 및 단순공 16,206 17,843 19,365 14.6 13.5 12.8

<일본>

1985 1995 2005 1985 1995 2005 전체 58,217 64,270 65,600 100.0 100.0 100.0 전문적 기술적직업 6,095 8,344 11,133 10.5 13.0 17.0

관리 2,304 3,373 3,816 4.0 5.2 5.8

사무 10,740 13,159 14,231 18.4 20.5 21.7

판매 8,109 8,582 8,531 13.9 13.4 13.0

보안 792 765 697 1.4 1.2 1.1

서비스 4,136 5,301 5,500 7.1 8.2 8.4

농림 어업 5,373 3,610 2,158 9.2 5.6 3.3

채광, 채석 61 33 16 0.1 0.1 0.0

운수 통신 2,376 2,589 2,291 4.1 4.0 3.5

기능공 생산공정 18,127 18,438 17,162 31.1 28.7 26.2

불명 104 86 64 0.2 0.1 0.1

<한국>

1993 1995 1997 1993 1995 1997 계 19,253 20,377 21,048 100.0 100.0 100.0

전문가 886 971 997 4.6 4.8 4.7

기술공 및 준전문가 1,490 1,840 2,184 7.7 9.0 10.4

입법공무원, 고위 523 525 531 2.7 2.6 2.5

사무직원 2,414 2,510 2,574 12.5 12.3 12.2

서비스근로자 및 4,029 4,464 4,857 20.9 21.9 23.1 농업 및 어업 숙 2,546 2,389 2,213 13.2 11.7 10.5 기능원 및 관련기 2,801 3,219 3,163 14.5 15.8 15.0 장치, 기계조작원 2,451 2,175 2,173 12.7 10.7 10.3 단순노무직근로자 2,112 2,284 2,355 11.0 11.2 11.2 자료 : 한국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년보, 1997

일본 - 노동성, 노동력수급의 장기예측, 1995

미국 - 노동성 통계국 website(www.bls.gov) database에서 인용함.

2. 직업구조 전망

향후 1차 산업의 비중은 감소하고 3차 산업의 비중은 급격히 증가될 것이다.

즉, 컴퓨터, 통신, 소프트웨어와 같은 정보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산업 의 정보화가 이루어지며, 연구개발, 엔지니어링, 디자인, 마케팅과 같은 서비스의 비중이 높아지는 경제의 소프트화가 진행될 것이다. 이에 따라 직업별 노동력 수요도 변하며 가장 높은 성장을 보이는 직업군이 전문직이며 다음으로 관리적 직업과 준전문가 직업의 고용이 높게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2000년대 전반기 중에는 IMF 위기극복과 더불어 전반적인 직업별 고용이 전체 예측기간 보다 높으나 역시 전문가 직업, 관리적 직업 및 준전문가의 증가가 높다. 생산 직의 경우도 제조업 부문의 회복 예상과 같이해 기능근로자를 중심으로 다소 높 은 고용증가가 예상된다. 그러나 이같은 직업별 고용변동은 직업별 취업구조로 보아 예측기간 중 획기적인 변동이 없이 직업구조는 장기적으로 서서히 변함을 볼 수 있다(<그림 2> 참조).

10.33

3.92 10.51

12.23 2.52

11.19

15.03

23.08

10.37 4.74

8.51 9.37

9.18

16.43

24.70 13.77 10.70 3.42 관리자

전문가

기술공

사무직

서비스 및 판매 농업 어업

기능근로자 기계조작원

단순노무

1997 2010

<그림 2> 직장별 취업구조 변화 전망(1997-2010)

3. 특수범주별 노동력 수요전망 1) 지식기반산업과 노동력 수요

새로운 세기의 산업구조는 지식기반산업중심으로 전환된다 하였다. 지식산업 의 고용전망을 보면 빠른 속도로 이 부분의 고용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13)

고용창출 유망산업은 1990년대 초반이후 미국에서 고용증대가 두드러졌던 산 업과 같은 산업으로 신기술, 신품종을 이용하는 영농창업(1차 산업), 컴퓨터․통 신장비제조업을 포함한 첨단기술/벤처산업(2차 산업), 컴퓨터 및 정보통신서비스, 기업관련서비스, 교육서비스, 문화산업,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영농서비스, 인력 공급서비스, 민영우편 및 배달업(3차 산업) 등이다.14)

지식기반산업부문의 고용증가는 곧 이 부문의 직업구조의 변화가 앞으로의 직 업변화를 주도한다 할 수 있으며 지식기반산업의 직업구조는 지존의 직업분류로 보아 전문직과 관리적 직업 그리고 고위 기술적 직업중심이란 특징이 있다.

00 500 1000 1500 2000 2500

(천명) 1997 제조

soc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천명)

1997 서비스업

13) 최근 산업연구원의 작업인 ‘유망산업과 고용창출전략’자료의 산업분류에 의했다.

0.0

0.5 1.0 1.5 2.0 2.5 3.0 3.5 4.0

(천명) 2010 제조업

soc

0 0.5 1 1.5 2 2.5 3 3.5 4 4.5 5 (천명) 2010년 서비스업

<그림 3> 지식기반산업의 발전전망과 직업구조의 변화전망

2) 노동력의 질적 수준에 따른 수요전망

직업구조의 고도화는 곧 노동력의 질적 수준의 제고이다. OECD의 대분류직업 의 교육수준을 중심으로 한 노동력 질적 구분15)에 따라 최근 우리나라의 직업구 조의 변화를 보면 화이트칼라의 전반적인 증가 속에 화이트칼라 고숙련 직종의 증가가 뚜렷하고 블루칼라 직업의 증가가 둔화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블루칼라 직업 중 농업부문 종사자의 큰 감소를 감안한다면 생산직의 고숙련 기능자의 증 가가 앞으로의 제조업 성장을 주도함을 알 수 있다.

15) OECD 작업에 의한 분류 : - 화이트칼라 고숙련(white collar high skill)/ 1. 입법공 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2. 전문가, 3. 기술공 및 준전문가/ -화이트칼라 저숙련 (white collar low skill) 4. 사무직원, 5. 서비스근로자 및 상점과 시장판매 근로자/ -블루칼라 고숙련(blue collar high skill) 6. 농업 및 어업숙련 근로자,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블루칼라저숙련 (blue collar low skill) 8.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9. 단순노무직 근로자

<그림 4> OECD 분류에 의한 직업구조의 변화

3) 유망직업에 관한 약간의 논의

국내 취업 관련 DB를 운영하고 있는 매일경제신문사, 한국경제신문사, 리크 루트사의 자료 및 취업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유망한 화이트칼라직종을 선정하고 이를 한국노동연구원이 정리하여 제공하고 있다. 선정된 직업은 우리 의 예상과 같이 정보관련 직업, 국제화관련 직업, 그리고 서비스관련 직업 등이 중심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직업의 전망과 관련해 유념해야할 사항이 있다. 이 자료의 제공처인 취업DB 기관에서 파악하는 기준은 대체로 직업의 성장률이지 이 부문의 실제 취업 가능수(job opportunity)가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아무리 빠른 성장을 하는 유망직업이라도 그 직업의 절대적 크기인 수요량이 적다면 유망직업일 수만은 없다. 선진국의 유망직종의 소개에서는 이같은 문제 가 해결될 수 있도록 성장률이 높은 직종과 양적 성장이 큰 직업을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다.

<표 6> 전문기관 유망직종 수요예측 결과

직 종 구 분 직 종 직 종 구 분 직 종

국제관련 직종

국제회의 전문가 선물거래중개사 통상 전문가 국제특허 전문가 외환딜러

국제금융 전문가 용선계약 전문가

물류 관리사 전문바이어

서비스관련 직종

상하수도 전문인 소각 전문인 이미지 컨설턴트 컴퓨터 닥터 114 안내원 뉴스클리닉 취업상담원 감정평가사 손해사정인 정보화관련 직종

인터넷 웹 마스터 정보기술 중개인 사이버 기상캐스터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네트워크 전문가

마케팅 유통관련 직종

전문 판매인 유통분야 경매사 보험 중개인 머천다이저

기타

코스트 관리사 귀금속 세공사 품질관리사 중기운전 기능자 자료: 한국노동연구원, 21세기의 화이트칼라 유망직종 50선,1998, p. 101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