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주민의 산림 관리 성과와 사례

부탄의 지역림 현황을 살펴보면, 2009년 12월 200개, 2011년 3월 31일 300 개, 2012년 6월 말 431개로 성장하였고, 2013년 5월 17일 500번째 지역림이 등 록하였다고 한다. 이들은 전체 산림의 5%가량을 관리하고 있다.

지역림의 수가 많다고 해서 정책을 성공적이라 평가할 수는 없다. 지역임업 정책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빈곤 퇴치이기 때문에 지역임업이 실질적으로 경 제적인 편익을 제공하고 있는지 증명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지역임업의 경제 적 성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미비하다. 대신 지역임업 사례를 통해 지 역임업이 지역주민들에게 어떤 편익을 제공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3.1. 푸나카(Punakha) 지역의 사례

푸나카 지역은 부탄의 지역림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지역림의 수도 23개로 두 번째로 많은 지역이다. 이 중에서도 와쿠 담치(Waku Damchi), 망기징카 (Mangizingkha), 럼섬(Lumsum), 야게이(Yargay) 지역림은 가장 오래되고 다양 한 생계수단을 마련한 지역이다.

푸나카의 지역림 관리단체는 관리위원회를 선출하여 모든 활동에 관한 의사 결정을 책임지도록 하고 있다. 구성원들은 목재와 비목재 임산물의 판매 등 수 익활동, 정부 보조금과 기부, 규정을 어기는 구성원에 부과하는 벌금으로 공동

자료: Dechen Choden et al.(2013).

그림 3-5. 푸나카 지역의 주요 지역림의 위치

기금을 조성한다. 또한 이들은 산불 통제, 불법벌채 감시, 비목재 임산물 수집, 수자원 보호, 재조림, 야생동물 보호 등 다양한 산림 관리 활동에도 적극 참여 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축산업을 통해 소득을 창출하고 있으며, 전체 소득에서 지역림을 통한 소득의 비율은 매우 낮다<표 3-1>. 야게이 지역림에는 산림 소득이 전혀 없다. 그러나 임산물 판매를 통한 소득 창출 이외에 자급자 족을 위한 소비량이 많고, 직접적인 이용가치 외에도 생태관광과 연계한 소득 을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산림 소득은 와쿠 담치에서 가장 많으며, 비 목재 임산물의 판매 소득이 가장 많다. 망기징카와 럼섬 지역림은 목재 생산과 판매 소득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와쿠 담치 망기징카 럼섬 야게이

농업 소득 578,822 342,487 189,755 251,400

- 작 물 563,413 320,211 174,209 1589,342

- 축 산 15,409 22,276 15,546 92,058

비농업소득 4,810 4,750 5,821 510

산림소득 1,501 681 377 0

- 목 재 152 373 154

- 비목재임산물 591 20 38

- 나무막대 353 139 65

- 땔 감 260 112 38

- 나무기둥 154 38 81

가계지출 95,932 41,811 94,204 120,918

순소득 489,200 306,107 101,748 130,992

자료: Choden et al.(2013).

표 3-1. 지역림 관리단체 구성원의 소득 구조

단위: Nu/household/year

3.2. 텐드렐강(Tendrelgang) 지역림

유시팽(Yusipang) 마을은 부탄의 수도인 팀푸(Thimphu)의 챙(Chang) 게오그 (Gewog)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 이 마을은 해발 2,282~2,430m에 자리하고 있 으며,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28가구가 거주한다. 텐드렐강 지역림은 유시 팽 마을 28가구에서 12가구가 참여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한 가구의 구성원 은 4~5명이며, 가구당 1명씩 참여하여 12명이 관리한다. 지역림 구성원의 대부 분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주된 소득원은 감자나 사과, 채소 등이다. 이 지 역림은 팀푸로부터 12㎞ 정도 떨어져 있으며, 지역림을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 에 시내가 있어 지리적 경계가 명확히 구분된다.

지역림의 규모는 30㏊이며, 기저면적은 ㏊당 14㎡이다. 전반적인 산림 상태

자료: <http://www.election-bhutan.org.bt/2011/finaldelimitation/Thimphu.pdf>; Tendrelgang CFMG (2010).

그림 3-6. 텐드렐강 CF의 위치와 토지이용도

는 양호하며, 70% 이상의 임목밀도를 유지하고 있다. 모수(seed trees)의 밀도 는 중간 수준이다. 주로 부탄소나무(Blue pine), 참나무(Oak), 가문비나무 (Spruce)로 구성되으며, 진달래속 식물(Rhododendron), 포플러(Populus), 헴록 (Hemlock), 대나무(Bamboo)와 관속식물인 라이오니아(Lyonia), 배나무(Pyrus), 매자나무(Berberis), 양치식물(Ferns) 등이 자생하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종류의 야생 동물이 서식하며 다양한 동물군과 식물군을 보 유하고 있다. 식생구조가 유사해서 구획을 나누지 않고 단일 블록으로 경영하고 있으며, 1985년에 산불이 발생하여 임령은 어린 편이다. CFMG 구성원이 선호 하는 수종은 부탄소나무인데, 목재, 땔감, 울타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가문비나무를 유용하게 생각하며, 다른 나무들은 비교적 선호도나 유용성이 낮다. CFMG 구성원이 가장 선호하는 임산물은 목재 이며, 그 다음은 땔감이다. 땔감은 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인기가

운영 목적 활동 우선순위 구체적 방법

그림 3-7. 텐드렐강 CF의 전경과 CFMG 활동

대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게 되었다. 자원에 대한 소유권과 이용권을 이양받아 CFMG는 필요에 따라 지역림 임산물을 취득할 수 있게 되었다.

지역림 운영 목적의 하나는 소득을 창출하는 것인데 아직 뚜렷한 성과를 거 두지 못했다. 하지만 CFMG에서 소득 창출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고,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많은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CFMG는 수익 창출 방안의 하나로 방문객들로부터 입장료를 받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