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식행정

문서에서 례 차 (페이지 171-174)

가. 지식행정의 의의

‘지식행정’이란 정책의 품질 및 행정서비스의 향상을 추구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하는데, 지식의 창출·공유·활용 과정을 조직 차원에서 체계적 으로 관리하는 것을 포괄한다.

※ 참고 : 전문가들이 정의한 지식경영의 개념

∙ 지식의 창출, 저장, 공유, 활용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기업에게 고부가가치를 창출 하는 경영(지식경영 개론, 유태식)

∙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이것을 전 조직으로 확산하며, 그것을 다시 상품, 서비스로 형상화하는 것(Nonaka & Takeuchi)

∙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는 자산인 지식을 인식하고, 이를 조직 구성원이 의사결정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자산화하려는 것(Prusak)

나. 추진 배경

1) 지식정보화사회로의 패러다임 변화

“새로운 경제사회에서 지식은 유일하고도 의미 있는 자원”(P.Drucker),

“지식은 최고급 권력의 원천이며 권력이동의 핵심”(A.Toffler) 등과 같이 세계적인 석학들이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행정기관의 지식 창출과 관리 능력은 조직의 생존과 발전을 좌우할 전망이다.

2) 행정의 생산성 및 창의성 향상의 기반

지식행정은 업무지식의 입수·활용 경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신속한 문제해결을 가능하게 하여 행정의 생산성 및 전문성을 높인다.

․전문가 검색, 요청, 답변에 과다한 시간 ‧ 비용 소요

․지식요청을 할 수 있는 전문가는 매우 제한적

지 식

⇒ 행 정

․언제, 어디서나, 즉시 필요한 지식을 최소의 비용으로 검색 ‧ 활용

․시공간, 부서의 경계를 넘어 실시간 필요지식 및 전문가 활용

󰃚 포스코 : 새로운 업무 발생시 필요지식 입수 ‧ 활용 경로(’08년) 개선 ∙ 지식경영 도입 이전(’02년) : 직장동료 40%, 문서시스템 29%

∙ 지식경영 도입 이후(’09년) : KMS/CoP 68%, 직장동료 24%

또한, 지식행정을 통하여 창의적 업무수행이 가능해짐으로써 정책의 품질개선 등 행정서비스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 지식경영을 통하여 정보조사, 입수를 위한 낭비적 요소를 감소시킴으로써 창의적 업무가 30% 정도 증가된 것으로 분석된 바 있음(국제회계법인 Earnst & Young)

다. 연도별 주요 시책

1)

2000년 : 정부 차원의 지식관리 개념 도입

2)

2001년 : 「전자정부법」에 지식관리의 제도적 근거 마련(행정기관별로 지식관리 시스템(KMS) 구축 시작

3)

2003년 : 정부 지식관리 활성화 지침 수립 및 시행

4)

2007년 : 제7차 정부혁신세계포럼에서 지식관리 워크숍 개최(비엔나)

5)

2008년 : 범정부 지식행정 포털 정부통합지식행정시스템(GKMC) 개통 및

행정백과사전 「국정피디아」 구축 서비스

6)

2011년 : 표준 KMS 개발 보급,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에 행정기관의 지식행정 활성화 추진 의무 규정

라. 지식행정의 구성요소

지식행정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로는 크게 ‘기반요소’와 ‘활동 요소’로 나눌 수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기반요소

구 분 주요 내용

전 략 기관의 전략 · 목표와 지식행정 전략과의 연계,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지식 창출 등

제 도 지식행정의 체계적 추진과 성과창출을 위한 법적 기반 및 지식행정 활동과 성과에 대한 평가 · 보상 체계 등

조 직 범정부적 지식행정 추진체계 및 기관별 지식행정 전담인력 등

정보기술 지식행정시스템, 지식행정시스템과 유관 시스템과의 연계 등

문 화 지식행정에 대한 인식, 구성원의 능동적 자율적 참여 등

리더십 기관장의 지식행정에 대한 열정, 지원 등

2) 활동요소

구 분 주요 내용

필요지식 창출

새로운 문제 발생 시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해결에 필요한 지식을 창출 하고 이를 실행하는 활동

보유지식 관리

창출된 지식을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해 조직 내외부와 공유하는 활동

문서에서 례 차 (페이지 171-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