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금까지 농가부채대책의 한계

농가부채대책 추진현황과 문제

2. 지금까지 농가부채대책의 한계

지금까지 연이은 농가부채대책에도 불구하고 농가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 는 등 농가부채문제의 해소가능성은 높지 않음.

- 농가부채대책으로 인하여 농가의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하여 농가경영을 개선하는 성과는 얻었지만 모든 농가를 대상으로 하여 추진한 결과 문제 점도 지적되고 있음.

- 부채가 많은 농가는 상환유예나 금리인하를 해주었지만 정작 부채대책이 절실한 고액연체농가는 재무구조가 너무 부실해서 경영정상화를 도모하 기가 어렵기 때문에 지원에서 누락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였음.

부채문제는 단순히 부채액의 과다나 현재의 부채규모를 어떻게 줄이는가에 해답이 있는 것이 아니라 농가의 경영이 정상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데 그 방안이 부족하였음.

2.1. 많은 예산 소요

2.2. 소득분배의 왜곡

2004년 농가부채대책의 실시에 의한 지원규모별 농가분포를 보면 1천만 원

농가부채대책으로 자금지원한 농가를 그룹하여 금리보전효과를 분석하면, 1 억 원 이상인 농가의 비중은 2.1%인 반면에 1천만 원 미만인 농가의 비중은 45.1%임.

- 이들 농가의 부채대책 지원금액의 비중은 각각 10.8%와 12.5%임.

- 그에 따라 호당 평균 지원금액을 보면 전체 지원기간의 효과를 모두 합하면 1억 원 이상인 농가는 5,943만 원인 반면 1천만 원 미만인 농 가는 304만 원임. 두 농가그룹은 지원효과에서 약 20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러한 점이 농가부채대책의 소득분배 왜곡효과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2.3. 도산위기 농가 회생지원이 부족

농가부채대책의 또 다른 한계점은 많은 지원에도 불구하고 정작 부채대책이 필요한 연체상태에 있는 농가는 지원에서 제외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됨.

- 농업생산자금 이외의 대출금이 지원대상에서 제외되어 이를 해결하지 못 함으로써 연체상태가 해결되지 않아 농업생산자금에 대해 부채대책지원 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함.

- 경매 등의 절차과정에서 법적비용이 추가되거나 채권은행이 동의하지 않 아 부채대책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이런 농가는 부채대책에도 불구하고 농지의 강제처분 등 퇴출위협을 받 고 있음.

- 농신보로 전환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퇴출위협을 받고 있음. 이러한 과정 속에서 시장가치 이하로 자산이 처분되어 부채청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농하여도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어려운 실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