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기본 계획

◦ 1983년 ‘생명과학 육성법’ 제정

◦ 1994년 ‘제1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 계획’(Biotech 2000) 수립

-연차별 생명공학 육성시행계획 수립ㆍ시행(’95~’06년)

◦ 2006년 ‘제2차 생명공학 육성기본계획’(Bio-Vision 2016) 수립

-과학기술부의 주관으로 8개 부처(교육인적자원부, 농림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보건 복지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가 공동으로 수립하였으며, 생명공학 종합정책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 것으로 8개 부처의 21개 관련 계획을 포괄하는 생명공학 분야 의 상위 계획

-국가 생명공학 육성 추진체계 혁신, 연구개발 선진화 기반 확충, 바이오산업의 발전 가

속화 및 글로벌화, 법/제도 정비 및 국민 수용성 제고 등의 4단계 핵심 전략을 채택

◦ ‘2008년 생명공학 육성시행계획’ 수립 추진

-생명공학육성법 제5조 및 동법 시행령을 법적 근거로 수립

-정부 조직 개편 등으로 인한 변경 사항 반영

∙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가족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국토해양부 등 생명공학 관련 부처가 기존 8개에서 6개로 조정

<그림 3-1> 정부 조직개편 이후 조직 및 사업 변화

2) 주요 유관 부처

◦ 중앙 부처

-교육과학기술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가족부, 환경부, 국토해양부 등 총 6곳

◦ 출연 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한국기 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 구원 등 총 9곳

자료:과학기술혁신본부 내부자료 재가공

<그림 3-2> 과학기술행정체계 출범에 따른 생명 분야 부처 간 역할

3) 정부 기관별 정책 내용

(1) 주요 정부부처의 정책

① 교육과학기술부 가. 연구개발 지원 체제

◦ 법ㆍ제도적 기반

-생명공학 육성기본계획 및 연차별 시행계획의 수립,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1) 설치ㆍ운 영, 8개 부처의 생명공학 육성 시책의 강구 등을 내용으로 하는 ‘유전공학 육성법’을 1983년 제정하였으며, 1995년 ‘생명공학 육성법’으로 개정

-1998년 뇌 연구의 효율적 육성 및 개발기술의 산업화 촉진을 위하여 ‘뇌 연구 촉진법’을 제정

◦ 생명공학 육성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1994년 제1차 Biotech 2000('94~'06년), 제2차 Bio-Vision 2016('07~'16년)을 수립ㆍ시행

1) 과학기술부장관 소속하 8개 부처 차관 및 민간 전문위원으로 구성

-또, 생명공학 육성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생명공학, 보건의료, 농ㆍ축산식품, 산업공정/환경 ㆍ해양, 바이오융합의 연구개발, 공공 R&D 인프라를 위한 시설 기반 구축, 인력양성 등 을 지원

나. 기초과학 진흥

◦ 한국학술진흥재단을 통한 기초연구 중점 지원, 학문후속세대 양성 지원, 신진교수 연구 지 원, 기초연구과제 지원, 우수학자 지원 등으로 우수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 사업을 시행

◦ 중점 연구소 지원 사업, 학술단체 지원 사업으로 대학부설연구소의 전문화 및 특성화를 위 한 지원, 국제적 수준의 학술회의 개최나 학술지 발행비 지원 사업 등을 수행

◦ 이 외에 남북학술교류지원 사업 등과 같은 특정 목적 사업과 국제교류 사업 등을 수행

다. 인력 양성

◦ 제2단계 BK21 사업(2006~2012년), 지방대학 혁신역량강화사업 등을 통하여 국가 전략 분 야의 인력 양성을 추진

② 지식경제부

가.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시책

◦ 산업화가 가능한 핵심 기술의 선점

-정부 주도의 바이오산업 선진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중점 지원이 필요한 생명공학 분 야 기술군을 선정하여 톱다운(Top-down) 방식으로 전략적 개발을 추진하려는 계획

-바이오 스타를 창출하기 위한 연구개발 프로젝트, 친환경 화석 연료 대체 기술인 산업 바이오 발전 시책 등을 추진

◦ 선진국 수준의 인프라 구축

-생물산업기술실용화 센터 건립 및 운영, 선진국 모델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표준화 추진 등을 통하여 산업화 기반을 다지는 인프라를 구축

-지역 특성화 사업과 연계된 바이오클러스터를 중점 육성

∙ 산업정책 차원의 9개 바이오벤처기업지원센터(BVC)와 지역균형발전 차원의 19개 바 이오지역특화센터가 경쟁적으로 설립되고 있음.

∙ 이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코리아 바이오 허브(Korea Bio-Hub)를 구축하여 전국 28개 환경도우미(Pervasive Lifecare Company)를 선정

◦ 연구개발 및 산업화

-건강상태 모니터링, 질병 스크리닝, 유해환경 감시 등 맞춤형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구현 하기 위하여 단계적으로 개발 추진

③ 농림수산식품부 가. 농림기술 개발사업

◦ 바이오 신소재, 분자마커, DNA Kit, 고부가가치 동식물 신품종개발 등이 포함되는 사업으 로 산학연 협동연구개발을 통한 기술의 실용화 촉진이 목표

나. 수의과학기술 개발사업

◦ 가축질병 방역기술 개발, 해외악성전염병 ㆍ특수전염병 및 신종 유해 화학 물질 등에 대한 검역ㆍ방역 기술 개발, 독성평가 등을 추진

다. 바이오그린 21사업

◦ 2001~2010년까지 약 3,300억 원의 연구비를 투자하여 고부가가치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것 이 목표

-농업생물자원다양성연구단, 동물유전체개발연구단, 분자육종연구단, 기능성

④ 보건복지가족부

가.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 보건의료기술진흥법을 기반으로 1995~2006년까지 12년간 정부의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

-사업추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기존 7개 사업을 3개 사업으로 재편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바이오신약, 바이오이종장기, 바이오칩 분야 육성

-바이오산업화 기술개발 사업:보건산업기술의 핵심전략산업화 추진

-미래보건 기술개발사업:BT, NT 등을 활용한 미래보건 의료 핵심기술 개발

나. 한방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 1998년부터 ‘2020프로젝트’를 추진하였으며, 기초연구단계(’98~’02년), 연구심화단계(’03~’07 년), 실용화단계(’08~’12년) 등의 3단계 목표 수립

-한방바이오퓨전 연구사업, 골관절 및 뇌질환 분야 등 특정질환센터 지원

다. 질병관리 연구사업

◦ 국내 발생 전염병 및 만성질환에 대한 예방, 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 연구와 질환과 관련된 유전체의 분석으로 질병을 예측하는 유전체 사업 등을 담당

⑤ 환경부

◦ 환경생명공학기술(Enviro Biotechnology, EBT)

-환경기술은 환경의 자정능력을 향상시키고 사람과 자연에 대한 환경 피해 유발 요 인을 억제ㆍ제거하며, 환경 오염을 사전에 예방ㆍ저감하고 오염 및 훼손된 환경을 복원하는 등 환경의 보전 및 관리에 필요한 기술을 의미

-EBT는 환경 오염을 저감ㆍ예감ㆍ복원시키기 위하여 생물과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이용 하는 BT를 ET에 접목하거나 융합하는 기술로 BT의 기본적 핵심 기술2) 중 생물공정기 술, 미생물 이용 기술이 주로 활용

◦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 사업(ET21 사업) 추진(’01~’10년)

-유전자 변형 생물체의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및 안전 관리 사업, 제3차 전국 자연 환경조사 사업 등을 시행

-ET21 사업 가운데 생명공학 관련 사업 예산은 총 예산의 약 20%

2) 유전자 변형 기술(유전 공학), 세포 융합 기술(세포공학), 세포 대량 배양기술(세포배양공학), 생물공정기술(효소공 학), 미생물 이용기술(미생물 공학)

⑥ 국토해양부 가. 추진 현황

◦ 기본 계획 및 사업 시행

-1996년 ‘해양개발기본계획’, 2000년 ‘해양 한국(Ocean Korea) 21 계획’, 2004년 ‘해양과 학기술(Marine Technology, MT) 개발 계획’ 등을 수립

-마린바이오 21 사업, 수산생명공학기술 개발, 유전자변형 수산물의 안전성 평가 연구 등 을 시행

나. 마린바이오 21 사업

구 분 목 표 내 용

1단계

(’04~’06년) 원천기술 개발 해양생물의 기능ㆍ구조분석기술 개발 2단계

(’07~’09년) 응용기술 개발 해양생물 자원의 활용기술 개발 3단계

(’10~’13년) 산업화기술 개발 해양 유래 소재, 물질 상품화기술 개발

<표 3-2> 마린바이오 21 사업의 단계별 목표

◦ 주요 중점 과제

-해양ㆍ극한생물 분자유전체 연구, 해양바이오프로세스 연구, 해양 천연물 신약연구

-기존의 극지유용생물자원연구, 남서태평양 해양생물자원개발 사업, 해양 생물 이용 유용 신물질 개발 사업, 수산생명공학기술개발 사업 등을 편입

(2) 정부 출연 기관의 정책

◦ 한국식품연구원

-바이오식품소재기반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 한국생명연구원

-연구개발 수행

∙ 생명공학 연구 성과물 등록사업, 바이오융합연구사업, 생물 정보 연구 성과물 등록 사 업, 유전체 정보생산 연구사업, 생명공학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사업, 바이오산업 지원 사업, 국가영장류센터 운영사업, 국가생물자원 정보관리센터 구축사업 등

-시설 및 기반 구축

∙ 바이오신약 연구센터 건설

◦ 한국화학연구원

-글로벌신약 후보물질 도출을 위한 연구개발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대형장비를 이용한 막단백질 분석기술 개발, Bio-NMR 첨단 기술 개발 및 응용사업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hemoinformatics 연구, 복합기술을 이용한 뇌기능 연구, Metabolomics 응용기술 연구, 근골격계 조직재생기술 개발, 도핑콘트롤에 관한 연구, 표적지향형 신규항암제 후보물질 개발, 실시간 분자영성 Smart Sensor기술 개발

◦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의 과학화 및 표준화를 위한 기반 연구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의료ㆍ복지 측정표준 개발

◦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유래 항암소재 및 유용효소개발 연구사업, 해양으로부터 생체 소재 뱅크 구축 및 생 명 소재 개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건강관리 모듈/시스템 개발 사업

4) 예산 투입 현황

자료:2008년 생명공학기초통계 자료 가공

<그림 3-4> 전체 생명공학 투자액 대비 부처별 점유율 (2007년)

(2) 생명공학 중 연구개발 분야3) 투자 현황

① 미래 유망 기술(6T)별 국가 연구개발 사업비(단위:억)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49,036 59,847 72,218 80,393 87,704

49,036 59,847 72,218 80,393 87,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