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바이오산업의 주체들이 재편되면서 기업 간 전략적 제휴가 활발하게 이루어짐.

-바이오의약 산업 내 주요 제약기업들의 경우 매출의 30~60%를 불러오는 특허가 향후 5 년 내에 만료되어 기업 간 M&A 및 전략적 제휴가 핵심 이슈로 부각

-또 최근 제약 산업의 R&D 생산성 하락이 심각한 수준

∙ 미국 제약 산업의 경우, 연구개발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신약 승인건수는 1996 년 이후 현저히 하락(Datamonitor, 2004)

-이에 따라 개별 기업 간 경쟁이 아닌 기업 네트워크 간 총체적 경쟁 양상이 나타남.

∙ 기술개발 및 사업 전개에 있어서 개별 기술 및 기업의 통합ㆍ활용 역량이 중요

-지분 인수, 마일스톤 방식의 R&D 자금 지원, 신약 개발 성공 시 공동 마케팅, 판매 수 익의 배분 등의 방식으로 기업 간 제휴가 이루어지고 있음.

◦ 기업성장의 핵심전략으로 M&A를 활용

-기업 성장 방법으로 M&A가 일반화되면서, 바이오 제약 분야의 연간 M&A 금액이 300 억 달러에 육박

-요소 기술 및 유망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프리미엄도 큰 폭으로 증가

∙ 바이오기업의 M&A 가치(프리미엄)가 2005년의 경우 일반 바이오기술 분야 96억 달 러, 제약 분야 158억 달러로 연간 총 254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06년에는 각 분 야의 증가로 총 299억 달러를 기록

-2005년 이후 글로벌 제약사의 바이오제약 기업 인수가 급증한 가운데 미국 기업의 99%, 유럽 기업의 87%가 2년 내 M&A 또는 전략적 제휴를 고려(E&Y 2007 Biotech CEO Survey)

◦ 전략적 제휴의 한 형태인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체제 가속화

-신약 개발에 필요한 아이디어와 기술을 외부에서 받아들이고 동시에 개발된 기술을 외 부로 내보내기도 하는 체제

-이에 따라 제약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 한 기업에서 연구부터 판매까지 수행하는 FIPCO(Fully Integrated Pharmaceutical Company) 모형에서 대학ㆍ바이오기업ㆍ제약 기업 등이 가상적으로 통합된 VIPCO(Virtually Integrated Pharmaceutical Company)

모형으로 급격하게 변할 것으로 보임.

자료:Burrill & Co.

<그림 2-6> FIPCO와 VIPCO 모형

1 2

3

제3장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

▫ 국내 바이오산업에 대한 중앙정부와 서울시의 지원 정책을 살펴본 결과,

-중앙정부 차원에서 기초기술 개발을 위한 R&D 지원 등과 같은 가치사슬 초기 단계에 대한 투자 가 이루어지고 있음.

-따라서 서울시 차원에서는 중복 투자를 줄이고 효율적인 지원을 위하여 기초 연구개발보다 사업 화(상업화) 분야에 비중을 높여야 함.

▫ 해외 주요국의 바이오산업 육성 사례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국가에서 활성화된 네트워크 형태를 찾아볼 수 있으며, 내부에는 이를 위한 선도 기관 (대학, 연구기관, 대기업 등)이 존재

-세계 유수 기업의 사업 영역이 세계화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적극적 유치가 매우 중요

-많은 국가에서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공공부문의 참여를 찾아 볼 수 있는데, 이들은 공기업 등 과 같은 형태로 산업 내 하나의 행위자로 활동

제1절 국내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