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바이오산업은 그 특성상 새로운 지식 및 기술의 개발과 확보가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경 쟁이 매우 치열한 산업임.

-개별 기업들의 독자적 운영보다 기업의 사회적 네트워크 확보를 통한 연구개발 운영과 기술 확보 전략이 기업 발전의 주요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음.

1) 단기 정책:기술 코디네이터 발굴

◦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운영 과정에서 중개자 역할을 담당할 기술 코디네이터가 필 요함.

-기술과 경영 등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관 또는 네트워크 전문가를 기술 코디네 이터로 발굴해야 함.

-기술 코디네이터의 역할

∙ 네트워크 참여 주체들에 대한 역할 분담, 기업에 대한 이익 분배

∙ 정부 또는 서울시에 연구개발, 사업화 등에 대한 방향설정 건의

2) 중기 정책:주변지역 및 주변국과의 네트워크 강화

◦ 주변 지역 및 주변 국가와의 네트워크 역시 강화되어야 함.

-거점별 집적화가 이루어질 경우 수도권 지역과의 거점 간 연계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서울 인근에서 연계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도권 지역 내 거점으로는 첨단 의료 복합 단지가 조성되는 고양 메디 클러스터와 임상시험 센터가 위치해 있는 안산 지역 등 경기남부권역, 인천 송도 지역 등이 있음.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으면서 신흥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 등과의 협력 방안도 마련해야 함.

목 차

제1장 연구의 개요 ··· 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5

제3절 연구의 분석틀 및 연구 FLOW ··· 6

제2장 바이오산업의 현황 ···11

제1절 바이오산업의 일반 현황 ··· 11

1. 세계 바이오산업 현황 ··· 11

2. 국내 바이오산업 현황 ··· 17

제2절 바이오산업의 메가트렌드 ··· 19

1. 산업 주체 간 네트워크의 중요성 확대 ··· 19

2. 아시아 지역 바이오산업의 급성장 ··· 21

3. Green Bio의 중요성 확대 ··· 23

4. 바이오산업 내 주체들의 재편 ··· 26

제3장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 ··· 31

제1절 국내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 ··· 31

1. 중앙정부 차원 ··· 31

2. 서울시 차원 ··· 43

제2절 바이오산업 육성 사례 ··· 47

1. 해외의 사례 ··· 47

2. 국내의 사례 ··· 54

제4장 서울 바이오산업 현황 ··· 63

제1절 서울 바이오산업 실태 ··· 63

1. 바이오산업 활동 현황 ··· 64

2. 기업 일반 현황 ··· 65

3. 바이오산업 인력 현황 ··· 69

4. 바이오산업 투자 현황 ··· 70

5. 바이오산업 매출액 현황 ··· 72

제2절 전국과 서울의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 비교 ··· 73

1. 바이오산업 활동 현황 ··· 73

2. 기업 일반 현황 ··· 74

3. 바이오산업 인력 현황 ··· 77

4. 바이오산업 투자 현황 ··· 77

5. 바이오산업 매출액 현황 ··· 78

제3절 바이오산업 지원 인프라 ··· 79

1. 특허 및 법률 서비스 지원 ··· 79

2. 기술사업화 지원 ··· 80

3. 자금 지원 ··· 80

4. 정책지원기관-창업 및 입지지원 ··· 81

5. 임상대행기관 ··· 81

제4절 서울시 바이오산업 현황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 82

1. 설문조사의 개요 및 특징 ··· 82

2. 설문조사의 결과 ··· 84

제5장 서울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 ··· 95

제1절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의 기본 방향 ··· 95

1. 서울 바이오산업에 관한 SWOT 분석 ··· 95

2.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의 기본 방향 ··· 97

제2절 서울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 ··· 101

1. 장기 발전 전략 수립 ··· 102

2. 거점별 집적화 ··· 112

3. 네트워크의 활성화 ··· 116

참고문헌 ···121

부 록 ··· 127

영문요약 ···153

표 목 차

<표 1-1> 전국 및 서울의 경제 성장률 추이 ··· 3

<표 1-2> 경쟁력 구성요소 ··· 6

<표 1-3> 바이오산업의 경쟁력 현황 파악을 위해 활용하는 분석방법 ··· 7

<표 2-1> 바이오산업 국가별 시장현황(2005년 상장기업 기준) ··· 12

<표 2-2> 세계 생명공학 시장규모 현황 및 전망표 ··· 13

<표 2-3> 바이오 제약 기업 순위(2006년) ··· 16

<표 2-4> 유망 바이오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 ··· 17

<표 2-5> 국내 바이오산업 수급 추이 ··· 17

<표 2-6> 기관별 국내 바이오산업 시장 현황 및 전망(2000~2020년) ··· 19

<표 3-1> 28개 지역 바이오센터 구축 현황 ··· 35

<표 3-2> 마린바이오 21 사업의 단계별 목표 ··· 38

<표 3-3> 부처별 생명공학 투자(’94~’07년) ··· 40

<표 3-4> 미래 유망 기술(6T)별 국가 연구개발 사업비(’03~’07년) ··· 41

<표 3-5> 부처별 연구개발 사업비(’07~’08년) ··· 42

<표 3-6> 서울의 기술기반 구축사업 업종 및 선정 근거 ··· 44

<표 3-7> 서울시 R&D지원의 주요사업과 예산 ··· 45

<표 3-8> 서울시 기술기반 구축사업 지원 분야 및 규모 ··· 46

<표 3-9> 바이오넥서스 외국기업 참여현황 ··· 53

<표 3-10> 바이오ㆍ의료관련 센터 및 클러스터 조성 현황 ··· 54

<표 3-11> 국내 유사 바이오관련 클러스터 단지 조성 현황 ··· 55

<표 4-1> 바이오산업 활동 분야 ··· 64

<표 4-2> 서울시 바이오산업 활동 분포 ··· 64

<표 4-3> 바이오업체의 주 업종 분포(한국표준산업 분류 기준) ··· 65

<표 4-4> 서울 바이오산업체의 바이오비즈니스 추진 유형 분포 ··· 66

<표 4-5> 바이오산업체의 주력 업종별 창립연도 분포 ··· 67

<표 4-6> 바이오산업체의 주력 업종별 총 종사자 규모 분포 ··· 67

<표 4-7> 혁신 인증 기업 현황 ··· 68

<표 4-8> 생명공학기술 개발 및 이용을 위한 연구 수행 형태 ··· 68

<표 4-9> 주력 업종별 자본금 규모 ··· 69

<표 4-40> 정책 환경에 관한 설문 ··· 90

<표 4-41> 인적 및 기업 지원에 관한 설문 ··· 90

<표 4-42> 네트워크 및 파트너십에 관한 설문 ··· 91

<표 5-1> SWOT 분석 ··· 96

<표 5-2> 연구 분석틀을 바탕으로 한 SWOT 분석 재편 ··· 97

<표 5-3> 성장가능성 높은 바이오의약품(중복응답 허용) ··· 107

그림목차

1 2

3 FLOW

1

<그림 1-1> 주요 국가 및 수도의 경제 성장률 비교(국가:’00~’05, 수도:’01~’05)

제1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000년대 들어 서울 경제는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면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음.

-2001년 이후 서울의 평균 경제 성장률은 3.2%로 전국 평균인 4.7%에 크게 미치지 못하 고 있음.

∙ 특히 일시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던 2002년(8%)을 제외하면 평균 성장률은 2.3%에 불과(전국 평균 성장률은 4.3%)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평균

서울 3.3 8.0 0.3 0.8 1.3 3.0 5.2 3.2

전국 3.8 7.0 3.0 4.7 4.2 4.9 5.0 4.7

<표 1-1> 전국 및 서울의 경제 성장률 추이(%)

◦ 세계 주요 선진국 및 경쟁국은 수도(또는 대표 도시)가 국가의 경제성장을 이끌어 나가고 있음.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은 수도(또는 대표 도시)의 경제 성장률이 국가 경제 성장률을 크 게 앞지르고 있음.

-반면 한국과 일본의 경우, 수도의 경제 성장률이 국가 경제 성장률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2005년 기준, 단위:백만원)

<그림 1-2> 주요 국가 및 수도의 평균 소득 비교

◦ 이 같은 서울 경제의 저성장은 서비스 산업 부진, IT 버블 붕괴 및 벤처 기업의 냉각 등에 서 기인

-서울 경제에서 서비스 산업의 비중은 80~90%에 이르기 때문에 서비스 산업의 부진은 곧바로 서울 경제 전체의 부진으로 이어짐.

∙ 2001년 이후 서울의 서비스 산업 성장률은 3%대로 전국 제조업 평균 성장률인 6%대 에 비하여 크게 뒤쳐지고 있는 상황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벤처 기업의 창업이 급감하면서 첨단 산업 경기의 부진으로 이어짐.

∙ 서울의 전체 산업에서 IT 관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30% 이상임.

◦ 이에 따라 서울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할 시점이며, 가장 유력 한 대안의 하나로 바이오산업 육성을 들 수 있음.

-우수한 인ㆍ물적 자원 보유, 대규모 신규 부지 확보의 어려움에 따른 전통 제조업 유치 의 한계 등 여러 장단점을 감안할 때, 서울 경제가 저성장 기조에서 탈피할 수 있는 대 안으로 바이오산업이 주목받고 있음.

◦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바이오산업의 현황, 국내외 바이오산업 육성 사례, 바이오산업의 발 전 트렌드 등을 살펴보고, 서울시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특히 서울시 바이오산업의 사업여건, 역량, 보유 자원 등을 감안하여 서울시에서 집중 육성 해야 할 부문을 선정하고 육성 방안을 제시하려고 함.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이 연구의 범위는 서울의 바이오산업을 주요 대상으로 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자료에서 서울에 입지한 171개 기업을 추출하여 서울시 바이 오산업의 실태를 분석

-서울시 바이오산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바이오산업 전체 현황도 함께 살펴보며 서울과 전국의 현황을 비교 분석

◦ 바이오산업 실태조사에서 적용한 바이오산업 분류체계 안을 활용

-바이오산업이란 생명체가 가지는 유전, 번식, 성장, 자기 제어 및 물질대사 등의 기능과 정보를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인류에게 필요한 유용 물질과 서비스를 상업적으로 가공ㆍ생산하는 산업군을 의미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과 한국바이오협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분류 안에 따라 바이오산 업을 8개 항목으로 대분류

◦ 연구 방법으로 문헌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활용

-문헌 조사에서는 바이오산업 관련 국내외 선행 분석 자료를 활용하고, 정부 및 서울시 등 공공 부문에서 발간한 자료도 참고

-바이오산업 관련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인터뷰 등을 실시하며, 전문가 초 청 자문회의, 세미나 등을 개최

제3절 연구의 분석틀 및 연구 FLOW

◦ 이 연구에서는 ‘산업 육성’을 ‘산업의 경쟁력 향상’의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경쟁력 현황을 파악하고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서울시 바이오산업의 육성은 궁극적으로 서울시 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 안을 마련하는 것임.

-산업 경쟁력은 (세계)시장에서 해당 산업이 ‘일정 수준 이상의 수익성을 획득’하며, ‘지속 적인 성장을 도모’함으로써 경쟁 상대보다 ‘우월한 시장지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정의(삼 성경제연구소, 2002).

∙ 특정 산업 또는 산업에 속한 기업이 (세계)시장에서 경쟁국 또는 경쟁 기업보다 많은 부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 이 연구에서는 경쟁력 분석을 위해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3가지로 구분

-경쟁력 결정 요인에는 입력(I:Input), 프로세스(P:Process), 환경(또는 외부성, E:

Externality) 요인이 있음.

∙ 이는 Buckley(1988) 등의 경쟁력 측정을 기초로 하여 최봉 外(2002)가 제시한 모형 을 근간으로 하였음.

-즉, 투입자원(입력 요인)과 투입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여부 요인(프로세스), 외부 요인과 특정 산업을 둘러싼 산업 여건(환경 요인)이 경쟁력에 영향을 미침.

-즉, 투입자원(입력 요인)과 투입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여부 요인(프로세스), 외부 요인과 특정 산업을 둘러싼 산업 여건(환경 요인)이 경쟁력에 영향을 미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