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국내 바이오클러스터의 전반적 현황

◦ 정부 주도로 조성된 전국 바이오 센터 및 클러스터는 약 38개소

-바이오 센터 31개소와 의료 클러스터 7개소(계획 중 3개소)가 조성되었으며 정부 부처별 로는 지식경제부 주관 31개소, 보건복지가족부 주관 2개소, 교육과학기술부 주관 1개소, 지자체 주관 4개소가 있음.

-총 사업비는 3조 1천 5백 억원으로 이 중 국비는 전체의 77.1%인 2조 4천 3백 억원에 달함.

◦ 그러나 정부부처의 제 각각 사업 추진에 따른 연계 부족 및 중복 투자 문제가 발생하여 이 를 조율하기 위해 990억원(정부 520억원)을 들여 별도의 ‘바이오 허브센터’를 구축

-오송 생명과학단지에 이어 첨단의료복합단지도 추가 조성될 예정이며, 특히 바이오산업 과 연계 및 허브 구축을 위한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조성할 예정

∙ KDI 예비타당성 조사결과, 2014년까지 약 1조5천 억원의 비용이 발생

구 분 지식경제부 주도 복지ㆍ교과부 등

지역전략산업 조성 지역혁신센터 조성 클러스터 조성(추진) 총 계

지 역 20개소 11개소 7개소 38개소

예산 총 사업비 512,624 130,892 2,506,600 3,150,116

국 비 256,824 72,118 2,105,900 24,348,742

자료:지식경제부, 보건복지가족부, ’08.10 임두성 의원실 재정리

<표 3-10> 바이오ㆍ의료관련 센터 및 클러스터 조성 현황

(단위:백만원)

2) 국내 의료 클러스터 현황

② 지역혁신센터(RIC5))

◦ 정부 지원이 종료된 RIC의 자립화 기반을 마련하고 이미 구축한 인프라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추진하는 사업으로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하여 장비 및 시설의 활용지원, 교육훈련, 창업지원, 기술지도, 마케팅, 네트워크 등으로 기업을 지원

-센터당 1억원 내외로 지원하며 정부지원금의 50%를 민간(주관기관 및 지자체 등)이 부담

-지식경제부가 사업추진계획을 수립하고,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이 사업추진 계획에 따른 세 부시행 및 사업관리를 담당

(2) 보건복지가족부

◦ 오송생명과학단지 내의 연구 및 기업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국세 및 지방세, 금융지원

◦ 국세지원

-대도시 외 지역으로 이전한 공장에 대한 법인세 과세 특례:당해 공장의 대지와 건물 을 양도하는 경우 양도차액에 대하여 법인세를 3년간 이연하고 그 후 3년간 분할하여 납부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외 지역으로 이전한 법인 본사에 대한 법인세 과세특례:당해 공 장의 대지와 건물을 양도하는 경우 양도차액에 대하여 법인세를 3년간 이연하고 그 후 3년간 분할하여 납부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외 지역으로 이전한 중소기업에 대한 소득세 및 법인세 감면:이 전 일이 속하는 과세연도와 그 후 4년간은 법인세 또는 소득세의 100%, 그 후 2년간은 50% 감면

-수도권외의 지역으로 이전한 법인의 공장 및 본사에 대한 임시특별세액 감면:이전일이 속하는 과세연도와 그 후 4년간은 법인세의 100%, 그 후 2년간은 50% 감면함. 또 공장 ㆍ본사의 양도차익에 대하여 법인세 납부를 3년간 이연하고 그 후 3년간 분할하여 납부

-창업(벤처) 중소기업:최초 소득이 발생한 과세연도부터 5년간 소득세 및 법인세를 50%

감면

5) Regional Innovation Center:종전의 지역기술혁신센터(TIC)와 지역협력연구센터(RRC)의 통합모델이며, TIC 및 RRC의 명칭을 각각 RIC(T)와 RIC(R)로 변경

◦ 지방세 지원

-연구 및 생산시설 신ㆍ증축 시 취득세ㆍ등록세ㆍ재산세, 기업부설 연구소 부동산 취득세 ㆍ등록세ㆍ재산세, 법인 및 공장의 지방 이전 시 취득세ㆍ등록세, 창업 후 2년 이내 취 득한 사업용 재산에 대한 취득세 및 등록세, 창업 후 5년간 사업용 재산에 대한 재산세 등 감면

◦ 금융 지원

-충청북도를 통하여 중소기업 창업 및 경쟁력 강화 자금(13억), 벤처ㆍ기술 우수 중소기 업 특별 지원 자금(3억), 경영안정자금(2억) 등을 지원

-한국산업단지공단을 통하여 산업단지활성화 자금(20억), 지역사회발전 사업 자금(20억) 등을 지원하며, 한국토지공사를 통하여 수도권 과밀 억제권6) 내 공장 부지를 단지 내로 이전할 경우 종전 부지와 이전 부지를 상계처리하고 장기 분할납부 등 편의를 제공하며, 중소기업진흥공단을 통하여 벤처기업 창업 및 육성자금(20억), 운전자금(5억원), 벤처/기 술 우수 중소기업 특별지원 자금(3억원) 등을 지원

(3) 교육과학기술부 및 대덕특구

◦ 대덕 연구 개발 특구 내 다양한 사업을 통하여 연구 및 기업 활동을 지원

① 전문클러스터 사업

◦ 공공 연구기관의 보유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업화 기술 개발 및 산학연 클러스터링 형성을 지원하여 연구 성과 및 우수 보유 기술에 대한 조기 산업화 및 시장 검증을 하고자 함.

◦ 사업 내용 및 지원 유형

-사전기획

∙ 대덕 특구의 기술자원을 활용한 유망 사업화 아이템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수 립하고 클러스터링 확대를 위한 기획을 약 6개월간 5천만 원 이내에서 지원

6) 과밀억제권역 (수도권정비 계획법 제6조 제1항)

:서울시, 인천광역시(일부지역 제외), 의정부시, 구리시, 남양주시(일부지역), 하남시, 고양시, 수원시, 성남시, 안양 시, 부천시, 광명시, 과천시, 의왕시, 군포시, 시흥시(반월특수지역 제외)

-사업화(신규과제)

∙ 특구 내 첨단기술 분야의 클러스터를 촉진하며 제품생산ㆍ판매를 통하여 신성장산업 을 창출할 수 있는 우수보유기술 사업화 활동 및 시장검증을 지원하며, NT, BT, 융복 합(New IT 산업, 그린에너지, 신성장 동력 분야) 등 약 5개 분야에 대하여 2년간 20 억 원 이내에서 지원

-사업화(계속과제)

∙ 기존에 사업화 지원을 받고 있는 3개 과제에 대하여 다음연도 사업화 및 시장 검증을 지원하며 2년간 약 20억 원 이내에서 지원

② 특구사업화 기술개발 사업

◦ 특구가 보유한 유망 사업화 대상 기술을 발굴하여 조기 사업화가 가능하도록 산학연 컨소 시엄을 구성하여 사업화 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공공 기술의 사업화를 촉진

◦ 특구 내 출연 연구 기관 및 대학 등의 사업화 주체가 보유한 유망 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해 기술개발 비용을 지원

-시작품 개발, 국내외 표준ㆍ인증,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 양산 기술 개발, 연구개발 서비 스 아웃 소싱 등 상용화 제품 개발 분야를 지원

-목표 고객 수요별 커스터마이징 및 성능테스트, 기술가치 평가 및 거래소요비용, 연구소 기업 설립 지원 등 기술 및 제품의 마케팅 분야를 지원

◦ 정부출연금의 경우 총 지원규모는 35억원 정도이며, 사업 기간은 최대 12개월 이내로 과제 당 최대 2억원 이내에서 지원

③ 우수기술 발굴 및 이전 사업

◦ 특구 내 공공 연구기관 TLO7)와 민간 사업화 전문회사가 공동으로 연구 현장에서의 우수 기술 발굴부터 기술마케팅까지 전 주기적 사업화 활동을 직접 수행함으로써 공공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

◦ 특구 내 출연 연구기관 및 대학의 TLO와 민간 사업화 전문 회사 간 컨소시엄, 공공 연구

7) Technology Licensing Office

기관 TLO는 기술이전 및 거래, 사업화 전략 수립, 기술 마케팅 활동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전략적 제휴를 맺은 민간 사업화 전문회사 이외의 제3의 민간회사, 공공 기관 TLO당 3개 이내의 민간 사업화 전문 회사 간 전략적 제휴기관 등을 대상으로 지원

◦ 총 지원규모는 21억원 이내이며 인건비, 직접비, 위탁비 및 간접비 등의 형태로 지원

1 2 3 4

4

제4장 서울 바이오산업 현황

▫ 앞서 살펴본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및 해외 사례, 산업의 메가트렌드 등에서 시사점을 도출 ㆍ적용하기 위하여 서울시 바이오산업에 대한 구체적 현황 파악이 요구됨. 이에 따라

-󰡔2006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서울시 바이오산업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서울시 바이오산업 현황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계 및 연구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서 서울시 바이오산업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 및 전망 도출

▫ 󰡔2006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서울시 바이오산업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의 경우 바이오의약 분야에 종사하는 기업이 많았으며,

-특히, 한 분야가 아닌 두 분야 이상에 종사하는 기업이 상당수를 차지

-또, 기업 활동이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제조 및 생산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다양한 단 계에 대한 지원을 고려해야 함.

▫ 또 서울시 바이오산업 현황에 관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바이오의약 분야가 역량과 성장가능성이 가장 큰 산업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시의 경우 생산 및 거주 환경, 연관 산업 등은 발달하였으나

-특화된 발전 전략이 부재하고 기술 수준이나 마케팅 역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제1절 서울 바이오산업 실태

◦ 전국을 대상으로 󰡔2006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에 입지 한 171개 기업을 추출하여 서울시 바이오산업 실태를 분석

◦ 서울시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분석 결과는 바이오산업활동과 생명공학기술 이용 현황, 기업 일반 현황, 바이오산업 인력 현황, 바이오산업 투자 현황, 바이오산업 매출 현황 등 크게 5 개 부문으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