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동 및 북아프리카 원전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문서에서 에너지 포커스 에너지경제연구원 (페이지 71-83)

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UAE의 경우를 보면, 가스의 수출입과 가스소비량의 극적인 변화를 잘 이해할 수 있다. [그 림 4]는 UAE가 원전도입을 결정하게 된 가스수급상 의 배경을 잘 표현하고 있는 것 같다. 2008년에 가스 의 순수입이 급증하였고, 특히 2010년에 가스의 수출 량은 급감하였다.

다시 말하면, UAE의 경우 증가하는 전력수요를 충 당하기 위한 발전원으로서 가스소비량이 급증하는 추 세를 보이고 있으며, 가스수출을 줄이고 있으나 한계 에 이르고 있는 모습이다. 이러한 가스수급상의 배경 이 2009년말 UAE 원전도입의 큰 이유로 작용했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3. 중동 및 북아프리카 원전도입에 영향을

2020년까지 증가하여 1,444 TWh가 될 것으로 전망 하고 있다.

2) 세일가스의 등장이 MENA지역의 가스수급에 미치는 영향

최근 북미에서 활발하게 개발·생산되어 세계 천연 가스 시장의 지각변동을 가져오고 있는 세일가스는 중동지역의 가스수출입 및 가스가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본고의 초점인 MENA지역 원전도입 에 대한 전망 분석을 위해서는 세일가스의 영향을 고 려해야 할 것이다.

세일가스가 MENA지역의 가스수급에 미치는 영향 은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첫째는 향후 북미지역의 세일가스 중 상당량은 액화되어 LNG 형태로 아시아나 유럽으로 수출될 것으로 예상 되기 때문에, MENA지역내 가스수급 상황이 개선될 지 여부에 관한 것이다. 유럽과 아시아의 중동가스 의 존도가 낮아진다면, MENA 역내의 가스수급은 어느 정도 여유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둘째는 MENA지역의 가스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다. 중동지역이 아시아 지역 다음으로 가스소비량의 증가율이 높은 이유는 이 지역의 가스가격과 전기요 금이 정부 보조금으로 인해 지나치게 낮은 수준으로 억제되어 있기 때문이다.11)

우선 첫 번째 이슈에 대해서 살펴보자.12)세일가스

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이전에 카타르는 미국 시장 을 겨냥하여 대규모의 LNG 생산설비 증설목표를 세 우고 있었다. 이후 미국시장 판매가 좌절되면서 세계 3대 지역시장 현물가격 변화에 맞추어 스팟물량의 형 태로 수출물량을 조절하고 있는 상황에서 신규 장기 계약을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13)

MENA의 가스생산은 2011년 기준으로 2010년에 비해 약 9% 증가하였다. 이 증가분은 다른 지역에 대 한 수출기여 보다는 역내 비중을 높이는데 많이 기여 한 것으로 파악된다. MENA지역의 수출국 중에서는 새로 지은 액화설비를 통해 LNG 수출을 증가시킨 카 타르와 예맨에서만 가스생산이 크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사우디와 쿠웨이트에서는 리비 아의 석유공급 중단으로 인한 삭감분을 보전하기 위 해 석유생산을 늘리면서, 수반가스(associated gas) 생산이 늘어났고, 이 두 국가는 최근 비수반가스 (non-associated gas) 개발로 상류부문 가스전략을 변경하고 있는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반면 알제리(역내 2위 가스수출국), 이집트(역내 3위 가스 수출국)은 생산감소, 수출감소를 경험하고 있다.

최근 세일가스의 등장은 카타르가 전 세계 LNG 시 장에서 담당해 온 역할을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 된다.

“카타르는 전 세계(global) LNG시장에서 다른 나라 와 심한 경쟁상태에 직면해 있으며, 지역(local) 공급 최근 중동 및 북아프리카지역 원전도입의 여건변화와 시사점

동향초점

11) Gas Matters, “Changing dynamics return gas to pre-crisis growth trajectory,”June 2012(p. 18).

12) Gas Matters, “Middle East and North Africa-the growing tension between export aspiration and domestic needs,”July-August 2012(p. 20).

13) 이는 카타르의 수출계약 가격정책이 장기적으로 바뀔 수밖에 없을 것임을 시사함. 카타르의 현실에서 보면 거대한 규모의 가스전인 North Field 개발·생산이 최 소한 2016년까지는 연기될 전망임.

자로서의 중요성이 커질 것이다. 북미 세일가스의 공 급량 중에서 상당부분이 액화되어 유럽과 아시아·태 평양 지역으로 수출될 것이며, 호주에서 거대한 신규 LNG 프로젝트가 진행되면 2018/19년경에 호주는 카 타르 보다 더 큰 LNG 생산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14)

이 인용문에 의하면, 카타르는 GCC 지역내 국가에 대한 공급자 역할이 점점 중요해 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GCC 6개국(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사우디, UAE) 중에서 카타르가 유일하게 가 스 여유분을 갖고 있는 나라이다.

MENA지역의 가스수요는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가스수요 증가율(약 9%)이 높았다. 2020년까지 이런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MENA는 수출 기지라기 보다는 수입중심지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아 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스 소비증가율이 약 10%

에 이르고 있는 이집트와 GCC 국가들의 가스소비를 역내 공급력 증가로 충당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 되기 때문이다.15)물론 카타르의 공급력 증가가 변수 로 작용하게 될 것이나, 공급력 증가를 위해서는 충분 한 수익성 확보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는 세계시장 가스가격 수준이 어느 정도 유지되어야 가능하게 된 다. 이런 의미에서 세계시장의 가스가격에 대한 전망

과 MENA 국가들의 가스가격 정책이 중요한 요소라 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이슈인 세일가스가 MENA지역의 가스가 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자. 대부분의 MENA 국가의 가스와 전기요금은 정부보조금 정책 에 의해 인위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16)이로 인해 가스와 전기에 대한 과도한 소비가 조장되고 있 으며 왜곡된 자원배분을 가져오고 있다는 분석이 있 다. Gas Matters에 따르면, 2011년 가스수요는 아시 아 지역 다음으로 중동지역이 높았는데, 중동지역의 가스수요가 급증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낮은 가스 가격을 유지하기 위한 중동지역 정부의 보조금 정책 때문이라고 본다.17)

또한 낮은 가스가격은 잠재적 가스전 개발에도 영 향을 미치게 된다. MENA지역을 전체적으로 볼 때, 가스공급의 잠재력이 덜 개발된 상태로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너무 낮은 국내 가격 때문에 공급자에게 개 발 인센티브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그림 6]은 전 세계의 3대 지역 가스시장에서 형성 되고 있는 가스가격의 추이를 나타낸 것인데, 최근 들 어 3대 시장의 가격이 점점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모 습을 보이고 있다.18)2012년 현재의 최근 가격동향을 묘사하면 다음과 같다.19)

2012 겨울호 ENERGY FOCUS

14) Gas Matters, “Qatar’s gas supply role: shifting focus from global to local,”February 2012(p. 24-25).

15) Gas Matters, “Changing dynamics return gas to pre-crisis growth trajectory,”June 2012(p. 20).

16) 예를 들어, 가스가격은 사우디 $0.75/MMBtu, 쿠웨이트 $0.8/MMBtu, 카타르와 UAE $1/MMBtu, 알제리 $0.7/MMBtu, 이집트 $1.25~3/MMBtu 등으로서 생 산비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임.

17) Gas Matters, “Changing dynamics return gas to pre-crisis growth trajectory,”June 2012(p. 18) 재인용.

18) 전 세계 가스시장은 아시아, 유럽, 북미 등으로 분절화된 시장(segmented market)의 모습을 보임. 세계 석유시장이 어느 정도 단일시장(uniform market)의 형 태를 띠는 것과는 다름. 그 이유는 자연 상태의 가스는 기체의 형태를 띠므로 채취, 저장, 수송이 어렵고, 수송을 위해서는 액화라는 중간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추 가적인 비용이 발생함. 또한 가스생산국과 인접한 국가에서는 PNG 연결이 용이한 반면, 지리적인 위치에 따라서 LNG 형태의 수입만이 가능한 곳도 존재하게 됨.

이러한 요인(거래비용, transactions cost)들로 인해 자연스럽게 분절화된 지역시장이 형성됨. 만일 지역시장 간의 가격차이가 거래비용을 초과하게 되면, 차익거 래(arbitrage)의 가능성이 존재하게 되며, 가격차이를 줄이는 방향으로의 압력이 작용할 것임.

“아시아 시장에서 일본가격은 JCC에 연동되어 있 으며 2012년에도 유가상승 흐름과 함께 오르는 추세 를 보이고 있다. 특히,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 의 추가적인 가스수요 때문에 한때 LNG 현물가격은

$17/mmbtu 까지 오르기도 하였다. 유럽 시장을 보 면, 브랜트 연동(약 30% 정도)된 EU가격은 지정학적 불안요인 등의 영향으로 2012년 평균 $13/mmbtu 정도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NBP). 북미시장은 비전 통가스 생산증가로 인해 Henry Hub 가격이 2012년 3월 $2.2/mmbtu까지 떨어지기도 하였다.”

세일가스 생산의 증가로 인한 북미시장의 가격하락 은 장기적으로는 특히 아시아 시장의 가격에 하방압

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북미시장과 아 시아시장간의 가격차이가 양시장을 지역적으로 분절 화시키는 구조적인 거래비용(transactions cost)보 다 크게 된다면 어떤 형태로든 균형상태로 되돌리려 는 압력이 작용하게 될 것이다.20)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북미 세일가스의 생산증가 가 MENA지역 내의 가스수급 및 가스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논리적인 추론을 해 볼 수 있다. 세일가스의 증가로 인해, 세계 수출시장 가 격이 떨어지게 되면 카타르 등의 잠재적 공급국의 가 스전 개발이 지연 내지 축소될 우려가 존재하며, 이것 과 MENA지역 내의 낮은 가스소비가격 유지를 위한 보조금 정책과 맞물려 역내 수급 불균형 현상이 지속 최근 중동 및 북아프리카지역 원전도입의 여건변화와 시사점

동향초점

[그림 6] 세계 가스 및 석유 가격 추이

자료: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2012)

19) Gas Matters, “Changing dynamics return gas to pre-crisis growth trajectory,”June 2012(p. 23).

20) 이것은 아시아시장 주요국들의 가시적 협력의 성과로 나타날 수도 있고, 기존 거래관행의 틀 속에서 그 가격격차(arbitrage)를 해소하는 새로운 방안이 등장할 수 도 있을 것임.

세계 481.7 565.2 83.6 17

유럽 192.4 224.7 32.3 17

아시아 161.7 193.5 31.9 20

북미&캐리비언 92.2 102.8 10.6 12

중남미 19.5 23.4 3.9 20

오세아니아 5.7 6.8 1.1 19

MENA 1.3 1.8 0.5 43

아프리카 1.9 2.0 0.1 4

(북아프리카 제외)

기타 지역 7.1 10.1 3.1 44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겠다.

MENA지역 국가들의 가스보조금 정책이 지속되는 한, 역내 가스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며, 카타르를 제외한 역내 대부분의 국가들은 가스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을 전망이다. 또한 EIA 2012년 단 기에너지전망 보고서의 예측대로 장기적으로 볼 때, 세일가스로 인해 가스가격의 하방압력이 지속되고, 이에 따라 카타르 혹은 여타 지역21)에 전통가스전 개 발이 지연되게 된다면 MENA지역내 가스수급은 지 속적으로 순수입의 형태를 유지하게 될 가능성이 높 다고 보여진다. 물론 그 수입가격 수준은 전 세계 시 장수급 상황에 좌우될 것이다.

나. 신재생에너지의 개발과 현황

MENA지역은 앞서 언급한대로, 빠르게 증가하는 전력수요량에 대비하는 한 방안으로서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신재생에너 지 전원개발의 규모와 추진속도 등은 대체 전원인 원 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가 된다. 본고에서는 MENA지역의 신재생에너지원 현황과 향후 전망을 살 펴보고 원전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기로 한다.

<표 2>에서 보면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원 전력설비 용량은 2011년 한 해 동안 84GW(약 17%)가 증가하 여 총 565GW를 기록하였다. 전체 신규설비의 약

2012 겨울호 ENERGY FOCUS

21) MENA에 가까운 동부아프리카 가스전에서 개발되고 있는 가스전이 새로운 공급원이 될 가능성도 있음.

<표 2> 세계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

구 분 증가율(%)

2010 2011 2011

총 설비용량(GW) 신규설비용량(GW)

자료: Bloomberg New Energy Finance(2012)

문서에서 에너지 포커스 에너지경제연구원 (페이지 7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