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요구 스트레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57)

직무요구 스트레스 수준은 <표 Ⅳ-15>에서와 같이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이 98명(31.8%), 보통집단이 131명(42.5%), 높은 집단이 79명(25.6%)로 나타 났다.

빈도 백분율

낮은집단 98 31.8

보통집단 131 42.5

높은집단 79 25.6

합계 308 100.0

<표 Ⅳ-15> 직무요구 스트레스 수준

직무요구 스트레스 수준과 나무그림검사 반응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교차분석 을 실시하여 피어슨(Pearson) 카이제곱 값을 구하였다.

직무요구 스트레스와 나무그림검사 반응특성을 살펴보면 <표 Ⅳ-16>에서와 같 이 나무의 크기에서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 나무나크기가 보통이다 32명(32.7%),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보통집단에서 41명(31.3%), 직무요구 스트레스 가 높은 집단에서 26명(32.92%)순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 나지 않았다.

나무의 위치는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 지면의 중심에 56명(57.1%),

지면의 하단에 15명(15.3%), 지면의 상단에 17명(27.6%)이 그린 것으로 나타났고, 보통집단은 지면의 중심에 75명(57.3%), 지면의 하단에 10명(7.6%), 지면의 상단 에 46명(35.1%)이 그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집단은 지면의 중심에 48명 (60.8%), 지면의 하단에 9명(11.4%), 지면의 상단에 22명(27.8%)이 그린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나무의 방향에서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 지면의 중심에 53명 (54.1%)로, 보통집단이 76명(58.0%), 높은 집단이 43명(54.4%)순으로 지면의 중 심에 가장 많이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기저선의 유무에서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 기저선이 있다 52명 (53.1%), 보통집단이 69명(52.7%), 높은 집단이 45명(57.0%)순으로 나타났고, 기 저선이 없다는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보통집단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있지만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뿌리의 유무에서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 뿌리 없다 78명(79.6.%), 보통집단이 105명(80.2.%), 높은 집단이 60명(75.9%)순으로 나타났고, 뿌리 있다 는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에서 19명(24.1%)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가지의 유무에서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 가지가있다는 50명 (51.0%),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보통집단에서 63명(48.1%),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에서 40명(50.6%)순으로 나타났고, 가지가없다는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 48명(49.0%), 보통집단에서 68명(51.9%), 높은 집단에서 39명 (49.4%)순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나무기둥의 굵기에서는 나무기둥이 굵다는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 16명(16.3%), 보통집단 26명(19.8%), 높은 집단 9명(11.4%)순으로 나타났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가지의 표현정도에서 가지의 표현이 조금 있다는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 단이 24명(24.5%)로, 보통집단이 27명(20.6%)로, 높은 집단 15명(19.0%)으로 나 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관의 크기에서 수관의 크기가 보통이다는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이 39명(39.8%)로, 보통집단이 42명(32.1%)로, 높은 집단이 27명(34.2%)으로 나타났 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나무위치

중심 56 57.1 75 57.3 48 60.8

4.478

하단 15 15.3 10 7.6 9 11.4

상단 17 27.6 46 35.1 22 27.8

나무방향

좌측 31 31.6 47 35.9 28 35.4

4.386

중심 53 54.1 76 58.0 43 54.4

우측 14 14.3 8 6.1 8 10.1

일차원선 묘사

그렇다 4 4.1 8 6.1 5 6.3

아니다 94 95.9 123 93.9 74 93.7 .574 기저선 유,

없다 46 46.9 62 47.3 34 43.0

있다 52 53.1 69 52.7 45 57.0 .405

뿌리유무 없다 78 79.6 105 80.2 60 75.9

있다 20 20.4 26 19.8 19 24.1 .565 가지의 유

없다 48 49.0 68 51.9 39 49.4

있다 50 51.0 63 48.1 40 50.6 .231

나무기둥의 굵기

가늘다 8 8.2 11 8.4 8 10.1

5.448

조금가늘다 19 19.4 23 17.6 13 16.5

보통이다 24 24.5 39 29.8 28 35.4

조금굵다 31 31.6 32 24.4 21 26.6

굵다 16 16.3 26 19.8 9 11.4

가지의 표현정도

없다 48 49.0 67 51.1 36 45.6

3.356

조금있다 24 24.5 27 20.6 15 19.0

보통이다 17 17.3 24 18.3 19 24.1

조금울창하다 6 6.1 11 8.4 6 7.6

울창하다 3 3.1 2 1.5 3 3.8

수관의 크기

매우작다 11 11.2 19 14.5 13 16.5

4.600

작다 25 25.5 41 31.3 18 22.8

보통이다 39 39.8 42 32.1 27 34.2

조금크다 20 20.4 27 20.6 13 22.8

매우크다 3 3.1 2 1.5 3 3.8

수관의 모양

구름모양 40 40.8 55 42.0 27 34.2

3.080

혼잡한선 3 3.1 6 4.6 5 6.3

콩모양,원모양 20 20.4 21 16.0 14 17.7

가지로만구성 23 23.5 31 23.7 20 25.3

기타 12 12.2 18 13.7 13 16.5

내부추가묘 사

없다 72 73.5 90 68.7 62 78.5

2.416

있다 26 26.5 41 31.3 17 21.5

열매의 유무

없다 85 86.7 114 87.0 71 89.9

있다 13 13.3 17 13.0 8 10.1 .485

<표 Ⅳ-16> 직무요구 스트레스 수준별 나무그림 반응특성 (N=308)

수관의 모양에서 수관의 모양이 구름모양인 경우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 단이 40명(40.8%), 보통집단이 55명(42.0%), 높은 집단이 27명(34.2%)순으로 나 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관내부 추가묘사에서 추가 묘사가 없다는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 72명(73.5%), 보통집단이 90명(68.7%), 높은 집단 62명(78.5%)순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열매의 유무에서 열매가 없다는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 85명 (86.7%), 보통집단에서 114명(87.0%), 높은 집단이 71명(89.9%)순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결과 직무요구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