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논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78)

지면의 상단에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 다. 이는 정영심(2008)의 재미한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만족도를 알아보 는 연구에서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나무그림을 지면의 중심에 그렸고 만족 도가 낮을수록 나무그림을 지면의 상단에 그렸다는 보고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3)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나무그림 방향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나무그림 방향은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집단과 보통집단은 나무그림을 지면의 중심에 그렸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은 나무그림을 지면의 우측에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신현복(2008)의 피학대 아동과 일반아동의 연구에서 일반 아동은 나무그림을 지면중심에 그렸고, 피학대아동은 나무그림을 지면의 우측에 그 리는 경향을 보였다고 한 연구와 일치함을 알 수 있으나 이명희(2010)의 분노 표 현에 따른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통제형은 나무그림을 지면의중심에 억제형은 지 면의 하단에 그렸고, 표출형은 지면의 상단을 이용하였다고 하였다. 정계영(2008) 의 자살사고와 나무그림 반응특성 연구에서 자살사고가 높은 집단은 나무그림을 지면의 좌측에 그리는 경향이 있다고 하여 본 연구와는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이 는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비교하는데 한계를 갖는다.

(4)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나무그림 일차원선의 묘사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나무그림 일차원선의 묘사는 일차원선의 묘사가 아니다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직무스트레스 가 낮은 집단에서 95.0%, 높은 집단에서 93.2%, 보통집단에서 94.9%순으로 나타 났는데 이는 낮은 집단과 보통집단에서 각각5명이 높은 집단에서 7명이 일차원선 으로 나무그림을 묘사하여 중년남성 직장인의 대부분이 일차원선으로 묘사를 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정계영(2008)의 고등학생 자살사고 연구에서 자살사고 가 낮은 집단에서 일차원선묘사가 아니다 83.3% 높은 집단에서는 56.7%로 나타났 고 일차원 선 묘사는 자살사고가 낮은 집단에서 5명 높은 집단은 17명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5)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기저선 유무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기저선 유무는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기저선을 그렸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기저선을 그리지 않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나무그림 뿌리의 유무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뿌리의 유무는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집 단이 나무뿌리가 없다 77명(72.0%), 보통집단이 86명(87.8%), 높은 집단이 80명 (77.7%)순으로 나타났고, 나무뿌리가 있다는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이 30명 (28.0%)로 보통집단이 12명(12.2%)로 높은 집단은 23명(22.3%)순으로 나타나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뿌리가 있다는 것은 무의식적 충동을 알아 차렸거나 정신적 에너지가 강한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집단 과 높은 집단 보통집단 순으로 나타났는데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은 자신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다는 것을 무의식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뿌리가 없다는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불안정감 의존할 곳이 없는 불안이나 자신감 의 결여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통집단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자신들의 스트 레스 정도를 인지하고 대처하고자 노력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뿌리는 땅에 그 나무가 설 수 있도록 든든히 기반 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상 징적으로 자신에 대한 내적 안정감 자기 자신의 근본적인 모습에 대한 이해와 관 련될 수 있는 것으로 Buck(1954)은 뿌리를 그리지 않는 경우 현실 속에서의 자기 자신에 대한 불안정감, 자신 없음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이희경(2004)의 나무그림 검사와 자기개념검사의 관계연구에서 문제해결능력이 낮을수록 뿌리를 강조하였고 문제 해결력이 높을수록 뿌리를 강조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하여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정영심(2007)의 재미한 인 청소년의 나무그림의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하위영역별 관계연구에서 뿌 리의 유무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뿌리표현에서 24%가 표현하고 76%는 표현하지 않았는데, 본 연구에서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 은 집단의 뿌리 없다가 22.3%, 있다가 77.7%로 비슷한 결과가 나왔고, 이연주 (2004)의 초등학생 나무그림의 발달적 특성에서 뿌리를 발달적 측면에서 보았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와는 비교 할 수 없었다. 정계영(2008)의 고등학생 자살사고 에 따른 나무그림검사 반응특성연구에서 기저선 또는 뿌리의 유무에서 자살사고가 높은 집단에서 없다 73.3% 있다 26.7%로 나타났지만 유의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 고, 표현정도에서는 본 연구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배진주(2010)의 대학생의 정신 건강과 나무그림 검사의 반응특성연구에서도 뿌리의 유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아 본 연구 결과와는 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대상이 아동과 청소

년, 대학생이여서 중년남성 직장인과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7)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나무그림 가지의 유무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가지의 유무는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가지를 그리지 않았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가지를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계영(2008)의 고등학생 자살사고 연구에서도 가지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아 본 연구와 일치함을 알 수 있 다.

(8)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나무그림 기둥의 굵기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나무그림 기둥의 굵기는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나무기둥의 굵기가 보통이거나 조금 굵다, 굵다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계영(2008)의 고등학생 자살사고 연구에서 도 자살사고가 낮은 경우 나무그림 기둥을 굵게 그렸고 자살사고사 높을수록 가늘 게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9)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나무그림 가지의 표현정도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나무그림 가지의 표현정도는 직무스트레 스가 낮을수록 가지가 없다, 조금 있다, 보통이다, 조금 울창하다, 울창하다 순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10)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나무그림 수관의 크기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나무그림 수관의 크기는 모든 직무스트 레스수준에서 비슷하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신현 복(2008)의 연구에서 피학대아동은 수관을 작게 그렸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 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11)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나무그림 수관의 모양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나무그림 수관의 모양은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구름모양, 가지로만 구성, 콩모양 공모양순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배진주(2010)의 대학생 정신건강과 나무그림 반 응특성에서 수관의 모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 다.

(12)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나무그림 수관 내 추가묘사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나무그림 수관 내 추가묘사는 직무스트

레스가 높을수록 수관 내 추가 묘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13)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나무그림 열매의 유무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나무그림 열매의 유무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열매 없다가 많이 나타났고 열매 있다는 보통집단과 낮은 집단이 같 이 나타났고, 열매가 없는 경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별 스트레스 수준과 나무 그림 반응특성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7개 하위영역별 스트레스 수준과 나무그림의 반응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직무요구 스트레스 수준별 나무그림 반응특성

직무요구 스트레스는 수준별 나무그림 반응특성연구에서 직무요구 스트레스 수 준이 낮은 집단 98명(31.8%), 보통집단 131명(42.5%), 높은 집단 79명(25.6%)순 으로 나타났다. 직무요구 평균은 70.7로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나무그림 반응특성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모든 직장인이 직무요구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2) 직무자율성결여 스트레스 주준별 나무그림 반응특성

직무자율성결여 스트레스 수준별 나무그림 반응특성은 직무자율성결여 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집단 135명(43.8%), 보통집단이 90명(29.02%), 높은 집단 83명 (26.9%)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자율성결여 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관계갈등 스트레스 수준별 나무그림 반응특성

관계갈등 스트레스 수준별 나무그림 반응특성을 살펴보면 관계갈등 스트레스 수준 은 낮은 집단 157명(51.0%), 보통집단 97명(31.5%), 높은 집단 54명(17.5%)순으

로 낮은 집단이 51.0%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관계갈등 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 특성에서 나무의 크기, 나무기둥의 굵기, 수관의 크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나무크기가 조금크다는 관계갈등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 39.5%, 나무크기가 보통이다 33.1%로 나타났고, 관계갈등 스트레스 보통집단은 나무크기다 조금크다 24.7%, 나무크기가 보통이다는 30.9%로 나타나 나무크기 표현에 따라 동료의지 지, 상사의지지, 전반적지지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무기둥 굵기의 표현정도에 따라 관계갈등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 나무의 굵기가 보통이다 35.0%, 조금 굵다 24.8%, 굵다 19.1%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 으며, 나무기둥의 굵기 표현에 따라 동료의지지, 상사의지지, 전반적지지등에 차이 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관의 크기와 관계갈등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 수관의 크기가 보통이다는 38.2%, 높은 집단이 33.3%, 보통집단이 30.9%순으로 나타났으며, 수관의 표현정 도에 따라 동료의지지, 상사의지지, 전반적지지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정계영(2008)의 고등학생 자살사고에 따른 나무그림 검사 반응 특성 연 구에서 나무의 크기, 나무기둥의 굵기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고, 지면의 좌우 위치에 따라 수관내부 추가묘사에 따라 유 의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 본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희경(2010) 의 나무그림 검사와 자기개념검사의 관계에서 총자지개념과 자기존중감이 높을수 록 수관이 울창하게 나타났으며, 문제 해결 능력이 높을수록 수관이 울창하게 나타 났고, 대인신뢰감이 낮을수록 수관을 동그랗게 그렸다고 하여 본 연구와 같은 결과 를 보이고 있다. 김연수(2010)의 중학생 나무그림검사와 직업흥미검사연구에서 줄 기와 수관의 비, 옹이 갯수, 주변 환경묘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본 연구내용과 일치하는 줄기와 수관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이고 있고, 직업흥미 변별 도에 따른 나무그림 반응의 차이에서 나무의 크기, 나무의 좌우 위치, 줄기와 수관 의 비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고, 나무의 지면 좌우 위치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중학생과 중년 남성 직장인과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직무불안정 스트레스 수준별 나무그림 반응특성

직무불안정 스트레스 수준별 나무그림 반응특성에서는 직무불안정 스트레스 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