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장에서는 우리나라 농업분야 기술협력사업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제1절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기술협력의 개념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기술협력을 정의하고 국내외 기술협력사업의 추이 를 살펴보았다. 제2절에서는 농업분야 기술협력사업을 유형화하였으며, 제 3절에서는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주요 공여국의 기술협 력사업에 대한 예산 투입 대비 효율성과 예산 규모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국내 농업분야 기술협력사업의 추진 사례 분석을 통해 사 업 추진과 평가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사업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이 를 바탕으로 기술협력사업의 성과 제고를 위한 기본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제5장에서는 주요 공여국의 기술협력사업 추진 사례와 평가 사례 를 검토하였다. 사업의 추진 단계별로 주요 공여국과 국제기구에서 추진하 고 있는 사례를 바탕으로 기술협력사업의 추진 전략과 M&E 방안 제시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6장에서는 국내 기술협력사업의 추진 사례에 서 나타난 문제점과 해외 기술협력사업 추진 사례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바 탕으로 농업분야 기술협력사업의 성과 제고를 위한 기본 방향 및 추진 전 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업 추진 단계별 추진 방안과 기술협력 유형별 성 과 지표와 M&E 방법을 제시하였다.

10 서론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농업분야 TC의 유형별 특성

TC의 사업 효율성 분석

국내 TC사업의 추진 사례

해외의 TC추진 및 M&E 사례

TC 성과 제고 방안 제시

농업분야 TC의 유형화 및 특성 (사업 목적, 사업 내용, 성과물 등)

주요 공여국의 기술협력사업 효율성 분석 (통계자료 분석)

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한계점과 애로 사항 발굴 (사업의 유형별, 사업 추진 단계별 사례 분석)

TC 성과 제고 방안 마련을 위한 해외 사례 검토

TC 성과 제고를 위한 기본 방향 및 추진 전략 제시 (사업 추진 단계별/유형별 추진 방안)

1. 기술협력사업의 유형과 사업 추이

1.1. 기술협력사업의 개념

역량개발(Capacity Development)은 사회 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 인(그룹), 조직, 시스템(제도) 영역의 능력을 강화·지속시키는 과정(Stein-Erik et al. 2014)이며, 기술협력은 이러한 역량개발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 이다(Hradsky 2010; 한국국제협력단 2011b). 기술협력(Technical Cooperation)의 개념은 프로젝트사업에 포함되는 단순 기술이전(skill transfer)의 범위에서 벗어나 개도국의 역량개발(Capacity Development)을 위한 교육․훈련, 전문 가 파견, 자문 등의 지원으로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Iwona et al. 2009;

Hradsky 2010; European Commission 2008; Cabral et al. 2010).

우리나라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기술협력의 개념을 “기술 수준, 기술적 노하우 및 생산능력의 향상을 통한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지원 사업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교육 훈련, 전문가 파견, 정책 및 기술 자문, 조사 및 연 구 지원 등의 활동”이 이에 포함된다(www.odakorea.go.kr: 2017. 10. 5.).

우리나라 정부(국무조정실)는 초청 연수, 장학 지원, 봉사단 파견, 기타 기 술협력1 등 4개 유형을 기술협력의 범위에 포함시키고 있다. ‘정책자문과

1

기타 기술협력은 개발컨설팅 , 초청 연수, 장학 지원, 봉사단 파견 이외의 기술

우리나라 농업분야 기술협력사업의 유형 및 특성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