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본 연구는 국내 외식업 운영 동향, 거시경제 환경 변화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내 외식업 산업 위치 분석, 한·일 외식업 업태 비교·분석 등을 수행하였음. 분석 결과, 국내 외식업 경영성과의 안정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시사점들을 도출하였으며,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 향후 외식업은 업종별로 비알콜음료점업과 일식, 치킨 전문점 업 종 규모는 성장하지만, 무도 유흥주점업, 기타 주점업 등의 업종 규모는 축소될 전망임.

○ 최근 3년간 업체당 매출액 및 사업체 수의 변화를 외식업 업종별로 분석하 고 유형화할 경우 업종별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음. 외식업 사업체 수 증감 률이 평균보다 높으면서 업체당 매출액 증감률도 평균보다 높은 업종은 비 알콜음료점업과 일식, 치킨 전문점, 제과점업으로 나타났음. 사업체 수 증감 률이 평균보다 낮고 업체당 매출액 증감률도 평균보다 낮은 유형의 업종은 무도 유흥주점업, 출장 및 이동 음식점업, 일반 유흥주점업임.

- 이러한 추세가 이어진다면 당분간 비알콜음료점업과 일식 등의 업종 규 모가 더 커지는 한편, 무도 유흥주점업, 출장 및 이동 음식점업 등의 업 종 규모는 축소될 것으로 전망할 수 있음.

○ 외식 업체 업종별·규모별 사업체 수 변화를 살펴보면 업종별로 규모화 양상 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변화될 가능성이 높음. 대표적으로 한식 업종은 중·대 규모화로 진행되고 있는 한편, 일식은 소규모화로 진행되는 특징을 보 여주고 있어 업종별로 규모화 양상도 달라질 가능성이 높음.

□ 국내 외식업 산업 규모는 국내총생산이 상승할 경우 성장할 가능 성이 높지만, 음식 서비스 소비자물가가 상승할 경우 외식산업 성 장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음.

○ 거시경제의 대표적인 변수인 국내총생산과 외식산업 성장(매출액) 간에는 서로 양(+)의 영향을 주지만, 음식 서비스 소비자물가는 국내총생산 및 음식 점 부가가치에 대해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

○ 향후 국내총생산 및 가계 총 처분가능소득이 증가할 경우 외식산업의 성장 변수(매출액)가 증가할 가능성이 큼. 국내총생산이 증가할 경우 외식산업이 성장하며, 음식 서비스 소비자물가 상승은 외식산업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 으로 해석할 수 있음.

□ 국내 외식 업체 수가 너무 많아 경쟁이 치열한 여건이며, 경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식업 진입을 조절하는 제도적 장치 가 필요함.

○ 우리나라 외식 업체 수는 65만 개 수준으로 이탈리아, 프랑스, 대만보다 두 배 이상이며, 인구 1만 명당 외식 업체 수도 중국과 일본의 두 배 수준임.

○ 국내 외식 업체 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업종 경쟁이 매우 치열한 여건이며, 과도한 경쟁 환경은 외식업 폐업을 높이는 요인으로도 작용함. 따 라서 외식 업체의 경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식업 진입 수요자들에 게 경영여건 정보제공, 일정 기간 교육 이수 등 외식업 진입을 조절하는 수 단이 필요함.

□ 한국 외식업이 일본 트렌드를 따라간다고 가정하면, 향후 성장 분 야는 카페/바, 배달/테이크아웃 전문점, 노점/키오스크 등이며, 카 페/바 체인이 늘어날 가능성이 큼. 또한, 온라인 주문을 통한 외식 산업 시장규모 확대와 편의점을 통한 간편식 및 패스트푸드 비중 이 높을 것으로 전망됨.

○ 일본 경제 수준이 한국보다 몇 년 앞서고 한국과 식생활이 비슷하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한국 외식업은 일본 외식 업체 트렌드를 따라갈 가능성이 높음.

- 이러한 가정하에 한국 외식 업체 변화를 전망한다면 카페/바의 사업체 수는 현재보다 증가할 가능성이 높고, 풀서비스 레스토랑을 제외한 배달/

테이크아웃 전문점, 패스트푸드, 셀프서비스 레스토랑, 노점/키오스크 비 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일본의 외식업별 체인 사업체 수는 패스트푸드, 카페/바, 배달·테이크 아웃 전문점 순서로 많음. 한국도 노점/키오스크, 카페/바 업태에서 체인 사업체 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음.

- 일본에서 외식률이 감소하고 있지만, 테이크아웃 도시락가게 및 반찬가 게에서 요리제품을 구입하는 중식(中食) 시장이 성장하고 있음. 이러한 추세를 고려한다면, 한국도 빠르게 증가하던 외식률은 둔화하는 한편, 중 식을 포함한 외부화율이 일정한 비중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 한국 외식산업의 온라인 주문 매출액 및 매출액 비중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최신 IT 기술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서비스를 시작할 사업자가 늘어나고 온라인 주문을 통한 외식산업 시장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한편, 1인 가구 및 모바일 거래 확대 추세는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자 식 품 공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편의점을 통한 간편식 및 패스트푸드 소비자가 늘어날 전망임.

- 일본의 소비자 식품 서비스 분야의 기업들은 쉽고 빠른 식사를 찾는 소 비자를 겨냥한 제품을 공급하면서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음.

참고문헌

이동소. 2014. “세계 외식산업의 현황과 전망.” 세계농업 제168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Chen, M. H. 2007. Macro and Non-Macro Explanatory Factors of Chinese Hotel Stock Return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6(4): 991-1004.

Chen, M. H., Agrusa, J., Krumwiede, D. and Lu, H. J. 2012. Macroeconomic Influences On Japanese Hotel Stock Returns.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 Management 21(1): 81-99.

Chiang, L. C. and Kee, H. T. 2009. Macroeconomic and Non-Macroeconomic.

Euromonitor. 2018. 일본 외식보고서(2018) . Euromonitor. 2018. 한국 외식보고서(2018) .

Variables Link to Singapore Hotel Stock Returns. “2009 Oxford Business & Economics Conference Program”. Oxford University: 1-12.

Wong, K. K. F. and Song, H. 2006. “Do Macroeconomic Variables Contain Any Useful Information for Predicting Changes in Hospitality Stock Indices?”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30(1): 16-33.

국세청 홈페이지. <http://www.nts.go.kr>. 검색일: 2018. 6. 27.

통계분류포털 홈페이지. <kssc.kostat.go.kr>. 검색일: 2018. 8. 10.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 <http://kosis.kr>. 검색일: 2018. 8. 21.

Euromonitor 홈페이지. <http://www.euromonitor.com>. 검색일: 2018. 7. 28 Worldbank 홈페이지. <https://data.worldbank.org>. 검색일: 2018.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