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요 개발협력과제

문서에서 연구 담당 (페이지 72-76)

해외 공여기관과 국제기구의 對키르기스스탄 농립업분야 개발협력 현황 및 지 원전략을 살펴보면, 주로 농업인들의 빈곤을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농촌성장을 위 하여 농업생산 및 가공기술 교육, 기후변화에 취약한 농업 시스템 보완을 통한 소 득손실 위험 감소, 농산물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농축산 가공업 육성, 수출강화 및 운송품질 개선을 위한 인프라 향상, 농업기업 육성 및 환경 개선 추진 등 다양한 분 야를 통해 키르기스스탄 농업발전을 지원하고 있다.

은 대표적 축산국가임에 따라 가축에 필요한 사료작물의 생산을 위해 토지의 대부 분을 목초지로 이용하고 있으며, 그 밖에 주식인 밀을 생산 상위 품목으로 분류하 고 있다. 하지만 키르기스스탄의 전반적인 농산물 품목별 생산성은 다소 정체되 거나 감소하고 있음에 따라, 적정한 재배 종자 선택, 농업기술 및 기계 이용, 농민 역량강화에 대한 국가적 정책추진을 통해 국가 농업생산성 회복이 시급한 상황이 다. 최근 키르기스스탄 정부는 국가 식량안보 영양 프로그램에서 식량안보에 취 약한 농촌거주민들의 경제적 접근성을 보장하고, 식생활의 질과 다양성을 증대하 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나아가 식량작물과 사료작물 위주의 농업생산성 을 다양화하여, 농산물 품질 및 안전성을 관리하고자 하는 정부 차원의 다양한 시 도 및 움직임이 이뤄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주요 공여국 및 국제사회 또한 키르기스스탄의 기아와 빈곤을 해결 하기 위해 농업부문에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특히 농업생산성의 향상을 위한 관개시설 등 농업 인프라 구축 지원, 빈곤탈출 및 영양증진을 위한 국민영양 프로 그램 등 농민 역량강화에 초점을 맞추는 모습이다.

이러한 농업 현황, 키르기스스탄의 농업개발전략, 국제사회의 지원동향 등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6가지의 주요 개발협력과제를 도출하였다.

∙ 관개·배수 등 농업기반시설 지원을 통한 생산성 증대

∙ 농지제도, 농업연구, 농민교육 등 농업정책 컨설팅 지원

∙ 축산부문의 고부가가치화

∙ 채소 및 과일 등 원예작물의 가치사슬 향상

∙ 농산물 품질 향상 및 가공역량 제고를 통한 수출 확대

∙ 협동조합, 신용금고 등 농업의 시장경제 전환 및 금융접근성 지원

다음 장에서는 위와 같은 주요 개발협력과제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중점 협력 분야를 선정하고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4장

중점 협력 분야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제4장

중점 협력 분야

본 장에서는 우리나라의 對키르기스스탄 농림업 국제개발협력 중점 협력 분야 를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키르기스스탄의 농산물 가치사슬 단계별 AHP 분석 을 통한 협력 우선순위, 농산물 가치사슬분석을 통한 키르기스스탄 농업의 문제 점 및 개선방안, 우리나라 농림업의 비교우위 및 전문성과의 부합성 등 다각적인 방면으로 농림업 분야 국제개발협력의 수원국과 공여국 간의 수원수요와 공급을 매칭하여 선정하였다.

문서에서 연구 담당 (페이지 7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