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림업 및 농촌 현황

문서에서 연구 담당 (페이지 42-54)

2.1. 농지

키르기스스탄은 전체 국토의 80%가 해발 2,000m 이상의 산악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토의 평균 고도는 2,750m이다. 전체 토지 면적 대비 경작지 비율은 2013년 이후 2018년까지 6.7%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2018년 기준 농지 면적은 10만 5,413㎢으로 전 국토 대비 5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체 농지 면적 대 비 관개 면적은 2013년 이후 9.5% 정도의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표 2-11>.22) 1 인당 경지 면적은 0.2ha로 매우 영세한 규모이다. 전통적으로 산악지대에서 유목 을 영위하는 민족으로 농경지개발이 저조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표 2-11> 농업 면적 현황

구분 단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농 지

전체 농지 면적

대비 관개지 비중 % 9.5 9.5 9.5 9.5 9.5 9.5

전체 국토 면적

대비 농지 비중 % 55.0 55.0 55.0 55.0 55.0 55.0

농지 면적 ㎢ 105,567 105,571 105,562 105,411 105,401 105,413 경

작 지

전체 토지 면적

대비 경작지 비중 % 6.7 6.7 6.7 6.7 6.7 6.7

1인당 경작지 면적 ha 0.2 0.2 0.2 0.2 0.2 0.2

경작지 면적 ha 1,278,700 1,280,600 1,280,600 1,287,800 1,287,800 1,288,000 곡물 경작지 면적 ha 595,136 595,628 584,652 568,113 556,278 563,924 자료: World Bank Data 웹사이트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23)

22) World Bank Data(https://data.worldbank.org, 검색일: 2021. 5. 1.).

키르기스스탄은 호수, 강, 빙하, 저수지 등 풍부한 수자원을 갖고 있을 뿐만 아 니라,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산중 호수인 이식쿨(Issyk-Kul) 호수를 가진 수자원 이 풍부한 나라이다. 현재 키르기스스탄의 관개 잠재력은 230만 ha로 추정되고 있 으나 국가 재정 및 역량 부족의 문제로 인해 관개 시스템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FAO 2011). 그뿐만 아니라 농촌과 도시의 불균일한 수자원의 분포와 산업용수, 중금속, 가축 폐기물 등의 유출로 인한 농촌지역의 수질오염, 노 후화되고 미흡한 관개시설은 효과적인 농업생산을 저해하고 있는 요인들로 지적 되고 있다.24) 즉 농업 관개·배수 시스템 등 생산기반 미흡과 농업용수의 계획적 분 배, 수질정화 및 관리 등 물관리체계의 부재가 키르기스스탄 농업생산을 제약하 는 대표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독립 이전 키르기스스탄의 모든 토지는 국가 소유로 개인과 집단들에게는 토지 사용권만을 보장하였다. 하지만 낮은 농업생산성과 빈곤율의 증가로 인해 키르기 스스탄 정부는 토지개혁을 시행하게 된다. 1991년 키르기스스탄은 토지개혁을 통 해 농업투입에 대한 국가보조금을 폐지하고 농업시장 및 농산물 가격을 규제하였 다. 또한 기존의 집단 농장을 농민조합과 협동조합으로 개편하는 등 다양한 노력 을 시도하였으나, 큰 효과를 가져오지는 못하였다. 이후 1995년에서 2003년에 이 르기까지 키르기스스탄 정부는 주 및 집단 농장을 사유화하였으며, 농장의 규모 와 경험 및 능력 등에 기초하여 농지의 75%를 개인에게 분배하였고, 1998년 헌법 개정으로 농지의 사적 소유를 허용하기에 이르렀다.25) 이와 같은 노력으로 1996 년에서 1999년 키르기스스탄 농업 GDP는 60%나 증가하였고, 면화와 같은 고부 가가치 작물생산을 위한 토지 이용이 증가하게 되었다.26) 토지개혁의 결과로 키 르기스스탄은 상당 부분 농업생산성을 회복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성공적 토지개 혁의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캄치백 외 2016).

23) World Bank Data(https://data.worldbank.org, 검색일: 2021. 5. 1.).

24) USAID(https://www.land-links.org/country-profile/kyrgyzstan/, 검색일: 2021. 5. 20.).

25) USAID(https://www.land-links.org/country-profile/kyrgyzstan/, 검색일: 2021. 5. 20.).

26) New Agriculturist(http://www.new-ag.info/en/country/profile.php?a=1740, 검색일: 2021. 5. 20.).

2.2. 농업·농촌 인구

키르기스스탄 인구는 약 645만 명(2019년 기준) 정도로, 그중 절반이 넘는 63.4%인 410만 명이 농촌에 거주하고 있다. 반면 도시 인구는 236만 명(36.6%)으 로 집계되고 있다<표 2-12>.27) 그러나 키르기스스탄의 연평균 농촌 인구 증가율 은 도시 인구 증가율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2014년 이후부 터 2019년까지 농촌 인구 성장률은 1.6~1.8%, 도시인구 성장률은 2.5~2.7% 정도 를 기록하며 전체적으로는 계속해서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표 2-12> 농촌 및 도시 인구 현황

구분 단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총인구 명 5,835,500 5,956,900 6,079,500 6,198,200 6,322,800 6,456,900 농촌 인구 명 3,756,020 3,825,700 3,894,285 3,958,480 4,024,399 4,093,812 총인구 대비

농촌 인구 비중 % 64.4 64.2 64.1 63.9 63.6 63.4

연평균 농촌 인구

성장률 % 1.8 1.8 1.8 1.6 1.7 1.7

도시 인구 명 2,079,480 2,131,200 2,185,215 2,239,720 2,298,401 2,362,388 총인구 대비

도시 인구 비중 % 35.6 35.8 35.9 36.1 36.4 36.6

연평균 도시 인구

성장률 % 2.3 2.5 2.5 2.5 2.6 2.7

자료: World Bank Data 웹사이트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28)

27) World Bank Data(https://data.worldbank.org, 검색일: 2021. 5. 1.).

28) World Bank Data(https://data.worldbank.org, 검색일: 2021. 5. 1.).

전체 키르기스스탄 인구 중 35% 이상은 빈곤선이나 그 아래에 놓여있으며, 구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국가들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로 남겨져 있다(FAO 2015). 특히 농촌지역은 도시지역에 비해 식량안보에 취약한 상황이 다. 이러한 가난하고 소외된 계층의 대부분은 농촌지역에서 농업을 생계로 하고 있다(FAO 2020).

키르기스스탄에서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는 <표 2-13>29)에 나타난 바와 같다.

총 노동 인구 대비 농업종사자 비율은 2000년 53.1%로 최대치를 기록한 이래 계 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농업종사자 비율이 2014년 31.6%에서 2019년 19.3%로 약 12%p 이상 감소하는 등 농업 인구이탈 및 농촌 인구 성장세 둔화가 심화되고 있다.

키르기스스탄의 농촌 사회는 낮은 농업생산성과 부족한 농업기술, 제한된 시장 접근성 등으로 인해 다양한 농업 서비스로부터의 기회가 제한되어 있으며, 기후 변화에 더욱 취약한 농업 조건에 놓여있다. 그뿐만 아니라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 해 가뭄, 산사태, 홍수와 강 침식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위와 같은 자연재 해로 인해 키르기스스탄 농촌 사회의 생계는 점점 악화되고 있다(IFAD 2020).

<표 2-13> 농업인구 현황

구분 단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총인구 명 5,835,500 5,956,900 6,079,500 6,198,200 6,322,800 6,456,900 총 노동 인구 명 2,507,775 2,545,405 2,548,381 2,530,554 2,526,202 2,565,016 총 노동 인구

대비 농업 종사자 비율

% 31.6 29.3 26.8 23.0 20.4 19.3

자료: World Bank Data 웹사이트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30)

29) World Bank Data(https://data.worldbank.org, 검색일: 2021. 5. 1.).

30) World Bank Data(https://data.worldbank.org, 검색일: 2021. 5. 1.).

2.3. 농업 성장과 교역

1988년부터 2019년까지 키르기스스탄 농업이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평균은 27.6%로, 2018년에 11.7%로 최저치를, 1996년에 46.3%로 최고치를 기록 했다. 2019년 기준 농업이 차지하는 국가 GDP는 12.1%로 전년(2018년) 대비 0.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31)

키르기스스탄의 산업 분야별 수출입 비중을 보면, 2019년 기준 농업분야에서 수 출과 수입의 비율은 각각 2.3%, 0.8%로 나타난다. 농업분야 수출의 경우 2000년 8.7% 대비 6.4%p 감소하였으며, 수입의 경우 1%p 정도 감소하여 농업분야 수출 및 수입이 전체적으로 하향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표 2-14>.32) 농업과는 반대로 제 조업 및 광업의 수출 비중은 2000년 대비 상당 부분 증가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광업의 경우 2000년 대비 약 2배 이상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조업 상품은 2019년 기준 키르기스스탄의 수입의 70% 이상을 차지하여, 가공 및 제조분야가 취 약하여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14>.33)

<표 2-14> 산업별 상품 수출 비중

단위: %

수출 수입

구분 2000년 2010년 2019년 구분 2000년 2010년 2019년

농업 8.7 2.6 2.3 농업 1.8 1.2 0.8

식품 10.4 14.5 12.8 식품 14.4 16.9 13.3

연료 16.4 7.4 6.0 연료 23.2 26.5 14.0

제조업 18.2 18.6 22.2 제조업 58.0 53.9 70.9

광업 6.9 2.1 13.9 광업 1.3 0.9 0.9

자료: World Bank 웹사이트.34)

31) Global Economy(https://www.theglobaleconomy.com/Kyrgyzstan/Share_of_agricult ure/, 검색일: 2021. 5. 20.).

32) World Bank Data(https://www.worldbank.org, 검색일: 2021. 5. 1).

33) World Bank Data(https://www.worldbank.org, 검색일: 2021. 5. 1).

34) World Bank Data(https://www.worldbank.org, 검색일: 2021. 5. 1).

키르기스스탄의 2019년 기준 농산물 수출 상위 품목으로는 두과작물, 원예작 물, 유제품이 있으며, 수산물과 축산물, 산(生)동물이 그 뒤를 잇는다. 동일 연도 2019년 기준 키르기스스탄의 수입 상위 품목으로는 원예작물, 곡물, 축산물, 유지 작물이 상위 품목을 차지하고 있다<표 2-15>.35) 키르기스스탄의 전반적인 농산 물 수출입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18년도에 수출입액의 성장 속도가 주춤하다 가 2019년도에 이르러 농산물 품목 전반에 걸쳐 수출액과 수입액 모두 교역액 규 모가 급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표 2-15> 농산물 수출입 변화 추이

단위: 천 달러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수출

두과작물 45,100 54,609 52,954 54,342 81,308 원예작물 36,039 24,732 52,093 36,373 50,545 유제품 18,872 22,405 40,239 33,509 49,385

수산물 7 227 1,331 1,491 4,842

축산물 189 1,296 1,809 5,966 4,632

산동물 4,761 1,674 8,512 5,704 4,004

기호작물 13,466 3,762 4,567 3,429 2,637

뿌리나 괴경 1,845 1,343 4,850 653 2,503

설탕 653 851 1,399 10,764 1,001

고무 113 132 216 570 745

곡물 150 1,636 523 533 738

유지작물 446 727 501 803 417

수자원 11 18 4 15 26

기타(목화, 울 가죽 등) 41,159 37,517 47,692 56,389 51,611

수입

원예작물 51,860 46,868 77,089 123,283 352,547 곡물 91,680 52,136 66,916 47,215 67,588 축산물 109,888 58,885 35,086 36,744 49,297 유지작물 57,783 44,700 53,305 48,760 49,219 기호작물 11,277 11,768 16,236 18,224 20,373 유제품 13,552 10,500 59,376 59,627 14,195 설탕 31,734 34,764 25,520 23,092 13,425

수산물 6,960 4,199 5,542 5,393 6,308

두과작물 577 663 725 1,255 5,817

고무 2,207 1,710 2,092 2,017 2,921

산동물 1,030 500 1,451 891 1,816

뿌리나 괴경 660 303 2,146 1,199 573

수자원 60 67 120 357 389

기타(목화, 울 가죽 등) 11,235 9,253 15,690 29,554 92,793 자료: Chatham House 웹사이트.36)

35) Chatham House(https://resourcetrade.earth/data, 검색일: 2021. 5. 2).

2.4. 농업생산

2019년도 기준 키르기스스탄의 농산물 생산량은 감자, 사탕수수, 옥수수, 밀, 보리 등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키르기스스탄의 주식인 밀을 비롯한 사료작물들이 농업생산 상위 품목을 차지하고 있다. 키르기스스탄은 토지의 많은 부분을 목초 지로 이용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축산국가임에 따라 가축에 필요한 사료작물의 생산이 상대적으로 많이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밖의 감자, 사탕수수, 옥수수, 밀, 보리 등 식량 및 사료작물의 경우 사탕수수 를 제외하고 2015년에서 2019년에 이르기까지 꾸준하게 생산량의 상위 품목에 있으며, 토마토, 수박, 양파, 당근, 사과, 양배추, 오이 등의 원예작물이 그 뒤를 잇 는다<표 2-16>.37)

키르기스스탄의 생산량 상위 15위 농산물 중 옥수수의 경우 2015년 기준 약 64 만 톤에서 2019년 기준 약 71만 톤으로 약 7만 톤가량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사탕 수수는 약 18만 톤에서 약 74만 톤으로 생산량이 약 56만 톤 대폭 증가하였고, 보 리는 약 37만 톤에서 약 46만 톤으로 증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양파, 사과, 오이, 콩 등의 생산량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밀의 경우 2015년 기준 약 70만 톤에서 2019년 기준 약 60만 톤으로 10만 톤가량 생산량이 감소하였으며, 수박의 경우 2015년에서 2019년에 이르기까지 약 24만 톤에서 약 22만 톤으로 2만 톤가량 생산량이 줄었다. 양배추 또한 약 14만 톤에서 약 13만 톤으로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16> 주요 농산물 생산량 변화 추이

단위: 톤

36) Chatham House(https://resourcetrade.earth/data, 검색일: 2021. 5. 2).

37) FAO STAT(http://www.fao.org/faostat/en/#data/, 검색일: 2021. 5. 3.).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감자 1,416,370 1,388,369 1,416,011 1,446,610 1,373,800

밀 704,601 661,514 600,997 615,926 601,216

옥수수 641,944 648,744 653,351 692,877 711,786

(계속)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사탕수수 183,226 705,183 712,278 773,034 741,128 보리 370,191 415,266 424,412 429,306 465,864 토마토 226,709 234,718 228,952 224,737 240,734 수박 248,557 223,004 230,948 218,096 220,160 양파 192,255 185,344 202,432 209,794 201,186 당근 188,644 181,004 183,819 176,548 182,133 사과 128,000 139,901 150,801 148,456 151,207 양배추 147,480 145,424 147,190 147,019 133,609 기타 채소류 121,797 137,957 127,707 116,741 117,159 오이 110,356 117,131 118,282 119,569 130,007

콩 93,400 99,062 98,161 101,461 104,771

목화씨 44,128 52,111 65,349 74,718 58,022

자료: FAO STAT 웹사이트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38)

키르기스스탄 농업생산 면적 상위 15개 농산물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15 년에서 2019년에 이르기까지 보리(17만 ha에서 20만 ha), 콩(5만 ha에서 5만 7,000ha), 두과작물(5만 ha에서 6만 ha), 목화(1만 4,000ha에서 2만 4,000ha), 벼 (8,000ha에서 1만 1,000ha), 살구(8,000ha에서 9,000ha) 등 해당 작물의 생산 면적 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밀의 경우 2015년 기준 29만 ha 에서 2019년 기준 23만 ha로, 해바라기는 2만 7천 ha에서 1만 1,000 ha로, 수박의 경우 1만1,000ha에서 9,000ha로 해당 농산물의 생산 면적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표 2-17>. 39)특히 육류와 함께 주식인 밀은 생산 면적의 감소와 함께 생산량 또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2-17> 주요 농산물 생산 면적 변화 추이

단위: ha

38) FAO STAT(http://www.fao.org/faostat/en/#data/, 검색일: 2021. 5. 3.).

39) FAO STAT(http://www.fao.org/faostat/en/#data/, 검색일: 2021. 5. 3.).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밀 297,289 270,439 249,860 253,804 239,594

보리 173,933 184,615 192,702 191,854 205,071

(계속)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옥수수 102,348 101,717 101,370 105,063 106,243

감자 84,488 82,155 83,033 84,428 79,208

콩 50,085 54,595 53,958 55,627 57,293

두과작물 54,669 53,953 55,475 58,221 62,000

해바라기씨 27,989 22,804 18,999 15,496 11,778

사과 26,500 27,796 27,061 27,188 27,437

목화씨 14,259 16,588 20,558 23,045 24,421

잇꽃씨 13,824 14,191 13,272 12,573 12,414

토마토 11,386 11,655 11,496 11,580 11,914

사탕수수 5,048 11,315 17,304 16,261 14,397

수박 11,295 10,198 10,586 9,910 9,893

벼 8,611 9,904 10,704 11,346 11,304

살구 8,000 8,434 8,782 8,951 9,126

자료: FAO STAT 웹사이트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40)

키르기스스탄의 주요 농산물의 생산 면적 대비 생산량에 대한 2015년부터 2019 년에 이르기까지의 생산성 변화 추이는 다음 <표 2-18>41)과 같다. 변화 추이 결과에 따르면, 사탕수수를 제외한 대부분 농산물의 경우 생산성이 감소하거나, 큰 증가 없 이 2015년 대비 2019년도의 생산성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키르기스 스탄의 전반적인 농산물 생산성이 다소 정체되어 있거나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2-18> 주요 농산물 생산성 변화 추이

단위: kg/ha

40) FAO STAT(http://www.fao.org/faostat/en/#data/, 검색일: 2021. 5. 3.).

41) FAO STAT(http://www.fao.org/faostat/en/#data/, 검색일: 2021. 5. 3.).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사탕수수 362,968 623,228 411,626 475,391 514,779

감귤류 250,000 283,333 276,667 246,667 223,333

수박 220,059 218,674 218,164 220,077 222,541

양배추 217,876 219,375 222,207 237,434 227,033

당근 229,020 229,119 232,329 228,128 228,868

양파 212,155 216,220 221,916 229,936 228,257

(계속)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토마토 199,112 201,388 199,158 194,073 202,060

기타 채소류 191,414 210,236 211,261 200,448 201,685

오이 203,534 199,236 198,260 201,058 202,977

감자 167,642 168,994 170,536 171,342 173,442

마늘 137,224 138,706 147,164 136,588 159,376

호박 110,000 127,835 124,917 113,191 108,395

고추 121,429 126,317 121,420 116,960 115,277

리크 100,000 103,793 104,545 105,882 106,857

키위 100,000 100,714 104,048 101,905 102,857

자료: FAO STAT 웹사이트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42)

키르기스스탄 농업이 직면한 주요한 문제 중에는 낮은 농업생산성이 있으며, 이는 낮은 품질의 종자, 농업 적정기술 및 기계 투입의 미비, 숙련도가 낮은 농민 등이 원인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키르기스스탄의 주요 농산물 생산성 향상을 위 해 적절한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캄치백 외 2016; 월드허브 주식회사 2017).

키르기스스탄의 축산업 가축 사육두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5년에서 2019년에 이르기까지 총 가축 사육두수는 약 135만 두가량 증가하였 으며, 2019년 기준 전체 가축 사육두수 1,383만 두 기준으로 양의 사육두수가 약 546만 두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닭(482만 두), 소(168만 두), 염소(80만 두), 말(52 만 두)이 그 뒤를 잇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19>.43)

그중에서도 양의 경우 키르기스스탄 축산업의 핵심 축종으로서 국가 전체 축산 사육두수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오리, 거위 의 가금류를 비롯하여 염소, 돼지를 제외한 주요 축종별 사육두수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42) FAO STAT(http://www.fao.org/faostat/en/#data/, 검색일: 2021. 5. 3.).

43) FAO STAT(http://www.fao.org/faostat/en/#data/, 검색일: 2021. 5. 3.).

문서에서 연구 담당 (페이지 4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