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가 현황

문서에서 연구 담당 (페이지 30-42)

1.1. 일반 현황

키르기스스탄(Kyrgyzstan 또는 Kyrgyz Republic)은 1991년 구소련으로부터 독립하였다. 중앙아시아에 있는 내륙국가로서 서쪽으로 우즈베키스탄, 남서쪽 으로 타지키스탄, 북쪽으로 카자흐스탄 그리고 동쪽으로는 중국과 국경을 인접하 고 있다<그림 2-1>.1) 키르기스스탄의 전체 국토 면적은 19만 9,951㎢이며, 국토 의 절반 이상이 해발 2,000m 이상의 산악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국토 면적의 약 8%만이 농업 경작 가능한 지역이다. 이러한 경작 가능한 지역에서는 주로 목 화, 담배, 채소 및 과일을 생산하고 있다. 키르기스스탄은 산악지대를 중심으로 석 탄, 우라늄, 금, 텅스텐 등의 다양한 광물이 매장되어 있다.

1) Map of World(https://www.mapsofworld.com/answers/geography/what-are-the-ke y-facts-of-kyrgyzstan/attachment/map-of-kyrgyzstan/, 검색일: 2021. 4. 26.).

<그림 2-1> 국가지도

자료: Map of World 웹사이트.2)

키르기스스탄의 인구는 2018년 기준 610만 명이며, 약 80여 개 민족으로 이루어 진 다민족 국가이다. 주요 민족은 키르기스스탄인으로 전체 인구의 73%를 차지하 고 있다. 다음으로, 우즈베키스탄인이 15%, 러시아인이 6%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 고 있다. 이외 기타 민족 중 약 0.3%의 고려인이 포함된다. 언어는 키르기스스탄어 와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종교는 이슬람교가 80% 이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밖에 러시아 정교(15%)와 개신교 (5%) 등이 있다.

키르기스스탄은 추이, 바트칸, 잘랄라바드, 나른, 오쉬, 이식쿨, 탈라드 총 7개의 주 와 비슈켁과 오쉬를 포함한 2개의 특별시로 지방 행정구역이 구성되어 있다. 수도는 비슈케크(Bishkek)로, 2018년 기준 약 10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표 2-1>.3)

2) Map of World(https://www.mapsofworld.com/answers/geography/what-are-the-ke y-facts-of-kyrgyzstan/attachment/map-of-kyrgyzstan/, 검색일: 2021. 4. 26.).

3) 외교부(https://www.mofa.go.kr/www/nation/m_3458/view.do?seq=124, 검색일: 2021.

4. 26.).

<표 2-1> 국가 개황

구분 내용

일반개황

국명 키르기스스탄공화국(약칭: 키르기스스탄, 영문: Kyrgyzstan)

면적 199,951㎢

수도 비슈케크(인구 100만 명)

위치

∙ 북위 39~44°, 동경 69~81°에 위치한 내륙국가

- 중앙아시아 중앙에 위치한 내륙국으로서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우즈 베키스탄 및 중국과 접경

인구

∙ 661만 명(2021년)

- 남성: 3,262,013명(49.3%) - 여성: 3,351,257명(50.7%) 행정구역 7개 주(oblast), 2개 특별시로 구성

민족(인종)

∙ 다민족 국가(80여 개 민족)

- 키르기스스탄인(73%), 우즈베키스탄인(15%), 러시아인(6%), 둥간족, 위구르, 타지키스탄, 터키 민족 등

- 고려인 1만 7,000여 명 거주 (전체 인구의 0.3%)

언어 키르기스스탄어(공식어), 러시아어(공용어)

종교 이슬람교(80%), 러시아 정교(15%), 개신교 등 기타(5%) 자료: 외교부 웹사이트,4) 한국수출입은행(2020), UNDESA(2019)를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

키르기스스탄은 뚜렷한 대륙성 기후를 띄며, 남서부 지역은 비교적 온난한 아열대성 기후를 갖고, 수도를 포함한 북부 저지대는 대륙성 기후로 한반도와 유 사한 기후적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높은 산악지형으로 이루어진 키르기스스탄은 주변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강풍을 동반한 높은 강우 량이 특징이며 날씨 변동이 잦다. 키르기스스탄은 연중 –9°C부터 32°C 정도의 기 온을 보이며, 덥고 건조한 여름(5월 중순~9월 중순)과 춥고 적설량이 많은 겨울로 구분된다. 하지만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산악지대의 만년설이 녹고 있으 며, 이로 인한 토양 유실이 가속화됨에 따라 국가적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4) 외교부(https://www.mofa.go.kr/www/nation/m_3458/view.do?seq=124, 검색일: 2021.

4. 26.).

1.2. 정치 현황 1.2.1. 정치체제

키르기스스탄은 1991년 8월 31일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1993년 헌법 을 수립하였다. 키르기스스탄은 독립 이후 CIS 국가 중 가장 먼저 시장경제를 도입 하였으며, 꾸준한 개방정책을 펼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다. 키르기스스탄의 정치 체제는 헌법상 국방 및 안보 담당 기관장에 대한 임명권의 권한이 대통령에게 속해 있는 이원집정부제 성격을 띠는 의원내각제이다<표 2-2>. 5)

국가수반인 대통령은 행정부와 사법부 등의 인사권과 입법권을 갖고, 6년 임기 의 단임제이다. 비례대표제(또는 정당명부제)에 따라 선출된 12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의회는 5년 임기로, 입법권 및 예산권, 인사권, 국제조약 비준권, 국민투표 결정권, 대통령 탄핵권 등의 권리를 갖는다.

<표 2-2> 정치 현황

구분 내용

정치

독립일

1991년 8월 31일

- 8월 31일 소련의 붕괴에 의해 독립을 하게 된다. 1993년 새 헌법을 제정 하고, 지금의 명칭을 사용하게 된다.

정체 의원내각제 (2021년 5월 5일, 대통령제 개헌)

의회 ∙ 의회형태: 단원제

∙ 국회 120석 (2021년 5월 5일, 90석 변경) 자료: 외교부 웹사이트6), 한국수출입은행(2020) 세계국가편람을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

키르기스스탄 행정부의 경우 총리를 중심으로 의회에 법령을 제안할 수 있는 권리와 의회 승인 예산 배분권, 외국과의 조약 체결권 등 정부 활동 및 행정기관 감

5) 외교부(https://www.mofa.go.kr/www/nation/m_3458/view.do?seq=124, 검색일: 2021.

4. 26.).

6) 외교부(https://www.mofa.go.kr/www/nation/m_3458/view.do?seq=124, 검색일: 2021.

4. 26.).

독권 등을 보유하고 있다. 사법부의 경우 대법원과 지방법원으로 구성되며, 지방 법원에는 각 시·도의 법원, 중재법원과 군사법원이 있다.

1.2.2. 대외관계

키르기스스탄은 국가의 안보와 경제성장을 위해 주변 국가들과 우호 협력관계 를 유지·발전시키기 위한 외교를 펼치고 있다. 특히 정치 안보 측면에서 다른 CIS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러시아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경제 분야에서는 중국과 의 활발한 교류·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이 밖에도 터키, EU 등과도 정치·경제 적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아탐바예프 대통령 집권 이후 러시아의 영향권으로 국가 안보가 편입되 면서 미국과의 우호 협력적 관계는 약화되었으며,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키르기스 스탄 직접투자는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주변 국가 들과의 관계는 역내 협력 강화 등 여러 방면에서 협력 확대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국경 문제와 수자원 이용 등에 대한 이슈가 있는 우즈베키스탄을 비롯한 타지키스 탄, 투르크메니스탄과의 협력 및 관계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우리나라와 키르기스스탄의 외교관계는 1992년 1월 31일 국교 수립 이후, 문화·관광·경제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꾸준한 양자 협정을 체결하며 양 국 간 교역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1.3. 경제 현황

키르기스스탄은 CIS 국가 중 최초로 WTO에 가입하는 등 일찍이 시장경제체제 를 도입한 나라이다. 그러나 과거 정치지도자들의 부정부패 등으로 인해 불안정한 정치적 상황의 지속과 주변 국가 대비 자원 부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7)

7) KOTRA 해외시장뉴스(https://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nationDet

<표 2-3> 무역협정 체결 현황

협정명 체결국가 체결일자 발효일자 비고

WTO WTO 회원국 1998. 12. 1. 1998. 12. 1. CIS 국가 최초로

WTO 가입

CIS 자유무역지대 협정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크라 이나,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몰도바

2011. 10. 18. 2011. 10. 18.

유라시아경제연합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

스, 아르메니아 2015. 8. 12. 2015. 8. 12. 유라시아경제연 합 가입 자료: KOTRA 알마티 무역관 자료 종합을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8)

키르기스스탄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약 3~4%의 꾸준한 경제성장 추세를 보이다가, 2020년 –12%를 기록하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등 국가 경제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다. 2020년 기준 GDP는 약 75억 달러로 OECD 국가 신용등급(0~7등급 분류) 중 7등급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1인당 GDP의 경 우 2020년 기준 1,148달러로 주변국인 타지키스탄(873달러)에 비해 높게 나타나 고 있으나, 우즈베키스탄(1,742달러)과 카자흐스탄(9,750달러)에 비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국수출입은행 2020).

<표 2-4> 주요 경제지표

ailView.do?natnSn=84&commItemSn=406&area=1, 검색일: 2021. 5. 10.).

8) KOTRA 알마티 무역관 자료 종합(https://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

nationDetailView.do?natnSn=84&commItemSn=410, 검색일: 2021. 4. 28.).

구분 경제지표 단위 2017 2018 2019 2020

국내경제

GDP 억 달러 77 83 85 75

1인당 GDP 달러 1,255 1,322 1,323 1,148

경제성장률 % 4.7 3.5 4.5 -12.0

재정수지/GDP % -3.7 -0.6 -0.1 -7.3

소비자물가상승률 % 3.2 1.5 1.1 8.0

정부채무/GDP % 56.0 56.3 55.7 55.7

(계속)

구분 경제지표 단위 2017 2018 2019 2020

대외경제

환율(달러당, 연중) С 68.9 68.8 69.8 76.5

경상수지 백만 달러 -536 -962 -947 -1,232

경상수지/GDP % -7.0 -11.6 -11.2 -16.5

상품수지 백만 달러 -2,410 -2,994 -2,564 -1,631

수출 백만 달러 1,749 1,905 2,004 1,496

수입 백만 달러 4,159 4,898 4,569 3,127

무역수지 백만 달러 -2,410.3 -2,993.8 -2,564.4

-외환보유액 백만 달러 1,718 1,559 1,576 1,631

자료: 한국수출입은행(2020)을 토대로 저자 작성.

키르기스스탄은 환율상승과 소비 위축, 글로벌 경제침체의 여파 등으로 경제발 전이 전반적으로 더딘 상황이며, 2017년 기준 전체 인구 대비 빈곤층 비율은 25.6%로 집계된다(외교부 2019). 외채 현황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무역수지는 만성적인 적자구조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 국수출입은행 2020).

키르기스스탄의 주요 산업은 서비스업으로 2019년 기준 전체 GDP의 50.2%를 차지하고 있으며, 공업(27.6%), 제조업(14.3%), 농업(12.1%)이 그 뒤를 잇는다.

산업별 경제성장의 경우, 농업과 서비스업은 2016년 이후 꾸준히 각 2%, 3%대의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제조업 및 공업의 경우, 5~8%의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표 2-5>.9)

<표 2-5> 산업별 경제성장 및 구조

9) World Bank Data(https://data.worldbank.org, 검색일: 2021. 5. 1.).

구분 단위 2015 2016 2017 2018 2019

분야별 경제성장 연평균 성장률(%)

농업 % 6.2 2.9 2.2 2.6 2.6

제조업 % -6.2 5.8 6.7 5.1 8.3

서비스업 % 3.6 3.0 3.3 3.3 3.3

공업 % 3.2 6.9 10.0 5.8 8.4

(계속)

구분 단위 2015 2016 2017 2018 2019

경제구조 전체 GDP 중 %

농업 % 14.1 12.8 12.5 11.7 12.1

제조업 % 14.1 15.4 15.0 14.3 14.3

서비스업 % 52.1 50.1 49.9 49.8 50.2

공업 % 25.1 26.5 27.3 27.5 27.6

자료: World Bank Data 웹사이트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10)

키르기스스탄과의 주요 교역 대상국은 다음<표 2-6>11)과 같다. 수출의 경우, 2019년 기준 영국이 약 8억 달러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터키, 러시아, 리투아니 아, 독일이 그 뒤를 잇는다. 반면, 수입의 경우 러시아가 약 14억 달러 이상으로 압 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터키,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이 그 뒤를 잇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9년 기준 수입액은 1억 달러 정도이다. 이 는 키르기스스탄 수입 교역 대상국 5위로 수입 교역에서 한국이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2-6> 10대 교역 대상국(2019년 기준)

단위: 천 달러

No 수출 수입

국가명 금액 국가명 금액

1 영국 796,755 러시아 1,430,642

2 터키 67,698 터키 428,585

3 러시아 47,196 우즈베키스탄 416,787

4 리투아니아 46,155 카자흐스탄 198,616

5 독일 17,666 대한민국 105,164

6 카자흐스탄 12,925 독일 63,686

7 우즈베키스탄 7,606 리투아니아 35,056

8 불가리아 6,200 홍콩 34,594

9 미국 5,229 네덜란드 32,346

10 스위스 3,866 프랑스 31,431

자료: UN Comtrade를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

10) World Bank Data(https://data.worldbank.org, 검색일: 2021. 5. 1.).

11) UN Comtrade(https://comtrade.un.org/, 검색일: 2021. 4. 28.).

산악지대를 중심으로 광물자원이 많은 키르기스스탄은 금속, 광물 품목이 수출 상위 품목으로 나타나며, 광물성 연료 에너지와 보일러 기계류, 전자기기 등이 수 입 상위 품목을 차지하고 있다<표 2-7>.12) 주요 수출 품목에는 채소와 과실·견과 류 등도 포함되어 있다. 2019년 기준 수출액은 각각 9,000만 달러, 4,300만 달러 정 도로 집계되고 있다.

<표 2-7> 키르기스스탄의 주요 수출입 품목(2019년 기준)

단위: 천 달러

No 수출 수입

품목 금액 품목 금액

1 귀석·반귀석,귀금속 853,535 광물성 연료 에너지 700,913

2 광·슬랙·회 162,695 보일러 기계류 498,443

3 광물성 연료 에너지 119,946 전기기기TV·VTR 368,114

4 채소 89,743 신발류 255,325

5 의류(편물제) 74,806 철강 191,110

6 동과 그 제품 63,991 의료용품 189,172

7 일반차량 48,796 일반차량 172,158

8 낙농품·조란·천연 47,472 플라스틱과 그 제품 159,818

9 과실·견과류 42,808 인조스테이플 섬유 153,413

10 면·면사 면직물 37,191 의류(편물제) 144,319

자료: UN Comtrade를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13)

키르기스스탄 정부는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확대에 중점을 두고 국가 경 제 활성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외국인직접투자 분야별 비중은 다음과 같다. 외국 인직접투자 분야는 가공업이 4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광업이 13.5%, 전문·학술·기술업이 12.4%로 그 뒤를 잇고 있다<그림 2-2>.

키르기스스탄은 외국인직접투자 제한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국가와 투자 관련 협정을 맺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키르기스스탄과 경제 협력협정(2008), 투자보장협정(2008년), 이중과세방지협정(2013년), 무상원조를 위한 기본협정(2014년) 등을 체결하였다.

12) UN Comtrade(https://comtrade.un.org/, 검색일: 2021. 4. 28.).

13) UN Comtrade(https://comtrade.un.org/, 검색일: 2021. 4. 28.).

문서에서 연구 담당 (페이지 3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