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직효과성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51)

사회자본 만큼이나 '조직효과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역시 구체적 으로 무엇을 의미하느냐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있다. 정우일(2005)은 조직효 과성에 대해 정의를 내리는 사람의 수만큼 다양하다고 한다. 1950년대만 하더 라도 조직의 효과성 하면 조직목표의 성취도로 어렵지 않게 이해되었으나 1960년대에서 1980년대에 걸치면서 조직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이루어졌다. 또한 조직효과성에 대한 개념은 조직의 성격과 목적 그리고 영역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고 있어 모든 조직에 공통되는 효과성 에 대해 일치된 정의는 내리지 못하고 있다(도운섭, 2004). 이처럼 조직효과성 의 정의가 다양한 데도 불구하고 학자들 간에 한 가지 동의가 있다. 그것은 모 든 조직이론 학자들은 조직이 효과적이냐 하는 것은 가치판단의 문제이며 모든 조직에 적용하여야 하는 보편적인 기준이 없다는 것도 인정한다는 것이다(정우

일, 2005). 조직은 사조직, 공공조직, 비영리조직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형태의 조직 내에서도 그들이 하는 일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조직효과성을 일률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어느 조직에서 의 효과성이 다른 조직에서는 다른 것을 의미할 수도 있는 것이다.

사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에서는 조직효과성을 재무적인 측면에서 파악 하여 조직의 매출액이나 연평균 성장률, 비용대비 수익률 등과 같은 객관적인 지표를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해 공공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에서는 구성원들의 몰입도나 만족도와 같은 주관적 인식을 토대로 조직효과성을 파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조직효과성은 조직의 능률성, 조직성과 등과 혼용되어 쓰이기도 하고 구별되 어 쓰이기도 한다. 민진(2003)은 조직의 능률성은 조직에서 선택된 산출과 선 택된 투입의 비율을 의미하나, 조직의 효과성은 산출보다 영향과 이해관계자의 합의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양자를 구별하고 있다. 조직효과성은 사후적 성질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과정적․사전적 의미가 내포되나 조직성과는 전적으로 사후 적 성질을 가지므로 이 둘은 구별된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도운섭(2004)은 대부분의 연구들에서는 조직성과를 효과성, 즉 목표의 달성도로 인식하여 조직 성과를 측정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효과성이 궁극적인 영향 또는 효과에 기초 하여 행정조직의 목표를 얼마나 실질적으로 구현하고 있는가를 보여줌으로써 행정기관의 성과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박중훈, 1999; 권경득·

임정빈, 2003). 대부분의 경영학 분야 연구들에서는 조직유효성과 효과성을 동 일한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어 조직성과 혹은 조직유효성은 조직효과성과 동일 한 개념으로 이해된다.

이와 같이 상반된 시각들에도 불구하고 조직효과성의 개념은 좁은 의미의 효 과성인 ‘조직목표의 달성도’라고 하는 일반적 관념에서 출발한다는 데에 대 부분 동의하고 있다(민진, 2003). 다만 연구 목적이나 대상에 따라 조직효과성 을 측정하기 위해 조작적 정의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조직효과성에 대한 학

자들의 주요 개념적 정의를 정리하면 <표 4>와 같다.

표 4. 조직효과성에 대한 정의들

연 구 자 개 념 정 의

A. Etzioni

(1964) 조직이 그 목표를 달성하는 정도 Seashore &

Yuchtman(1967)

조직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희소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조직의 환경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

J. L. Price

(1968) 현실적인 산출이 당초의 목적을 달성한 정도 E. E. Schein

(1970) 조직의 생존, 적응, 유지, 성장 능력 J. Pfeffer & G. R.

Salancik(1978) 받아들일 수 있는 산출과 행동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 S. P. Robbins

(1983) 단기, 장기 목표의 달성도 Hodge & Anthony

(1984)

사회 구성원간의 협력을 창출하는 비공식적인 규칙 또는 공 유의 규범

강정대

(1995) 조직의 객관적 목적의 효율적 달성 정도 박우순

(1996)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조직에 귀속하는 에너지 산출을 극대 화하는 것

김병섭 외

(2000) 조직목표의 달성도(협의)와 조직의 평가 기준 전체(광의)

자료출처: 민진(2003)에서 수정 인용

본 논문에서는 공공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연구들에서 구성원들의 몰입 도나 만족도와 같은 주관적 인식을 토대로 조직효과성을 파악하는 경향이 있으 므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몰입, 조직시민행동으로 구분하여 조직효과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