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5

제1절 모형

본 장에서는 간단한 2기간 모형을 통해 경력단절의 위험이 출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자. 대표여성은 2기간 동안 출산 및 소비 결정을 내리게 된다. 1기에는 출산과 소비결정(,)을 내리고, 2기에 는 주어진 자녀수 하에서 소비결정()만 내리게 된다. 노동공급은 매기 1단위씩의 노동공급을 한다고 하자. 공공부문(PU)에서 일하고 있는 여 성은 경력단절의 위험이 전혀 없는 반면, 민간부문은 일정확률로 경력 이 단절될 가능성이 있다고 가정하자. 즉, 경력단절확률()이 공공부문 에서는 0이지만 민간부분에서는 0이 아니라는 가정이다. 한편, 매기 노 동공급을 하는 것으로 가정했기 때문에 경력단절의 효과는 임금의 하락 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를 위해 1기에서의 임금은 공공부문이나 민간부 문이나 동일하게 이지만, 2기에서 경력이 계속 이어졌을 경우에는

이고 경력이 단절되었을 경우에는 

이라고 가정하자. 임금들의 관 계는 다음과 같다고 하자.

(1)   

즉, 경력을 계속 이어나갔을 경우에는 임금이 1기에 비해 상승하게 되지만, 출산으로 인해 경력이 단절되었을 경우 인적자본의 감가상각으 로 인해 1기에서 받는 임금보다 낮게 된다는 가정이다.

대표여성의 효용함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하자.

106

(2) 



 





위 식에서 2기의 기대효용함수를 계산할 때는 1기 출산으로 인해 2 기에 발생할 수 있는 경력단절에 대한 위험에 대해 적분해야 한다.

한편, 1기 효용함수의 1계 도함수는 양수, 2계 도함수는 음수, 교차 도함수는 양수라고 가정하자(     ).

분석의 편의를 위해 자본축적은 없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매기의 예 산제약은 아래 식과 같다.

(3)   

  ,  

: 자녀양육비용

문제(1)-(3)을 2기에서부터 풀어보자. 2기에서는 1기에서의 출산결정 이 주어지고 이로 인해 경력이 단절되었는지에 관한 여부가 결정된다.

그 결과, 2기에서 어떤 임금을 받고 있을 지가 결정되는 것이다. 예컨 대 경력이 단절되어 노동시장에 재진입 해야 하는 경우 앞의 가정에 따 르면 를 받게 된다. 2기의 최적화 문제는 아래와 같다.

(4)  



   ,  

최적소비결정을 2기에 내리면, 2기의 가치함수(value function)는 식 (5)과 같이 주어진다.

107 5

(5)



 

 

,  

2기에서 최적소비가 선택되었을 경우, 1기의 최적출산결정(optimal fertility decision)은 아래의 문제를 풀면 된다.

(6)  



 



  



 

 

 

   

여기에서 경력단절확률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1기의 자녀수의 함 수라고 가정하였다. 자녀수가 증가하면 자녀를 돌보는데 투입되는 시간 이 증가하게 되고 결국에는 경력이 단절될 가능성이 증가하는 현실을 반영하였다. 즉, ′ ≥ 로 가정하였다.

먼저,   인 경우, 즉 공공부분에 있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문제(6) 의 1계 필요조건을 정리하면 식(7)과 같다.

(7) 

 

 

 

: 기의 소비에 대한 편도함수, : 기의 자녀에 대한 편도함수

식(7)의 좌변은 추가적인 자녀로부터의 한계편익(marginal benefit)을 소비단위로 나타낸 것이고, 우변은 한계비용(marginal cost)에 해당한다.

소비와 자녀로부터의 한계효용이 체감하게 되면, 우변은 자녀수에 대해 서 단조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최적출산결정()은 [그림 5-1]과 같이 유일하게 결정된다. 위의 모형에 따르면 자녀의 양육비용이 증가할 때 자녀수가 감소하게 되고, 자녀로부터의 한계효용이 증가하거나 소비로부

108

터의 한계효용이 감소하게 되면 출산자녀수가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 다.

〔그림 5-1〕최적출산결정

자녀수()

한계편익 (LHS)

한계비용 (RHS)



(a)

(b)

경력단절확률 가 0이 아닌 경우에는 위의 식(7)이 약간 변형되게 된다. 분석의 편의를 위해  인 경우 

   라고 가정하자.

즉, 경력단절확률은 자녀수에 무관하게 일정하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문제 (6)의 1계 필요조건은 식(8)과 같이 주어진다.

(8) 

 

  

 

 

  

 

 

109 5

식(8)의 좌변은 식(7)의 좌변보다 모든 에서 작다는 것을 쉽게 보 일 수 있다. [그림 5-1]의 (b)처럼 한계편익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확률이 0이 아닌 경우의 최적자 녀수는 으로 경력단절확률이 0인 경우와 비교하면 자녀수가 감소하 게 된다. 경제활동참가를 하고 있는 가임기 기혼여성 중에서, 다른 조건 은 유사하지만 경력단절의 위험이 커질수록 좀 더 작은 수의 자녀를 갖 게 된다. 즉, 최적자녀수와 경력단절확률은 다음과 같은 관계로 표현된 다.

(9)  



 

, ′

 

본 연구에서는 식(9)과 같이 경력단절의 위험이 출산결정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민간부문에서 종사하는 여성의 출산결정과 공 공부분에서 종사하는 여성의 출산결정을 살펴보았다. 공공부문은 민간부 문보다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출산관련 제도를 좀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출산 후 복귀 후에도 기존의 가지고 있던 자신의 경력을 그대로 이어서 근무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민간 부문의 경우 경쟁으로 인해 출산 후 노동시장에 복귀했을 때 출산 전 경력을 이어나가기 힘들기 때문에 다른 직종, 다른 업종으로 복귀하는 경우가 많다. 다음 장에서는 이러한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경력단절 위험의 차이가 출산결정을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 하였다.

110

제2절 자료 및 추정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