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를 토대로 현장의 수행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교육관 유형의 개인들이 혼재해 있는 실제를 고려하여 깊은 이해와 융합의 시도가 필요하다. HRD 실무 담당자를 비롯한 HRD 전문가들의 교육관 유형

집단은 인구통계학적인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즉, HRD 전문가들은 소속, 경력, 담 당 분야 등에 따라 교육관 유형이 특징지워 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교육관 유형의 개인들이 혼재해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HRD 기능 및 인터벤션 적용에 있어 의사결정 시 교육관을 고려하여 현상을 이해하고 융합해가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 으로 보인다.

둘째, HRD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 HRD 실무자는 조직에서 지향하는 HRD의 목 표를 분명히 인지하고 성인교육철학적 배경을 고려하여 인터벤션을 행할 필요가 있다.

HRD의 다양한 인터벤션은 개발된 성인교육철학적 배경이 다양하고 이에 따라 추구하 는 결과물이 상이하기에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분명히 하여 하위 HRD의 인터벤션들을 계획하고 정렬할 필요가 있다. 이로써 지향하는 HRD의 목표가 지속적으 로 추구될 수 있으며, 목적에 따른 HRD 기능의 유효성도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 연구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HRD 전문가의 교육관 및 HRD 가치지향성을 보다 정확하게 구명하기 위해 도구 개발 및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Bates & Chen(2005)의 HRD value orientation과 Zinn(1983, 1994)의 PAEI 도구를 활용하였 는데, 이 도구들은 7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나 개인 인식의 정도를 비교·평가하는데 한 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줄이고자 표준화한 점수를 활용하여 비교·분 석하였으나, 편향에 따른 오류 자체를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확보하고 선행연구들과 비교하고 통합하는 연 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HRD 정체성 확립을 위해 HRD 전문가 외에도 HRD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HRD 가치지향성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 HRD는 학제적인 성격을 띠며, 실무에 있어도 관계가 깊은 조직 기능과의 영향을 주고받고, 조직 또는 더 나아가 국가라는 사회적인 맥락에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HRD 내부에서의 HRD의 주된 목적에 대한 합의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HRD를 바라보는 시각도 고려하여 다각적인 시각을 종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주류적인 흐름인 HRD 수행지향성에 따라 HRD 기능의 유효성을 제대로 평 가할 수 있는 방법 및 도구개발이 필요하다. HRD 영역 및 역할은 경영 환경이 급변함 에 따라 확대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그러한 기능을 HRD가 조직 내에서 얼마나 수행 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

지 않아 HRD 외부의 이해관계자들로 하여금 HRD 가치를 평가절하하게 만드는 원인 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HRD의 주된 목적에 따라 HRD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도구가 고안되어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성인교육철학과 HRD 가치지향성의 관계를 구명하는 연구가 더욱 확대될 필 요가 있다. HRD 가치지향성, 즉 HRD의 목적은 성인교육의 철학적 배경과 이론적으로 관련성이 있으며, HRD 전문가가 실제 이를 인식하는 데 있어서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성인교육철학과 HRD 가치지향성의 관계를 구명하는 연구가 확대되어 HRD의 이론적 기반을 확고히 정립할 필요가 있다.

참 고 문 헌

강대석. (2008). 인적자원개발: 원리와 적용. 서울: 한경사.

강민아, 김경아. (2006). 행정학 및 정책학 조사연구에서 결측치 발생과 처리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행정학보, 40(2), 31-52.

강선주. (2006) 미국 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에서 ‘서구문명’ 강좌의 변천. 호서사학, 44, 143-170.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13). 표준국어대사전. Retrieved from http://stdweb2.korean.go.kr

권대봉. (2003).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변천과 이론에 대한 종합적 고찰. 서울: 원미사.

권두승. (2002). 청소년지도자의 철학적 태도 관련 변인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4(2), 143-155.

기영화. (2002). 평생교육 담당자들의 성인교육철학 비교 연구.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5(4), 53-72.

김도일. (2010). 항존주의 교육철학의 재조명과 기독교교육적 함의: 한국 기독교의 미래에 대한 교육적 제언. 장신논단, 39, 379-407.

김상룡, 조길호, 이수형. (1994). 반응편향성을 내포한 리커트형 척도 자료의 분석방법:

통계 상담 사례 연구. Journal of Statistial Theory & Methods, 5, 106-116.

김영길. (2007). HRD 패러다임에 따른 기업내 HRD담당자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성찰적 연구. 산업교육연구, 15, 1-17.

김자자, 정지웅. (2001). 경험학습의 개념 및 이론과 발전방향. 평생교육학연구, 7(1), 1-18.

김진모. (2004). 인적자원개발 연구 동향.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6(4), 115-138.

김재용. (2003). 초등학교 교사의 성인교육철학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현수. (1999).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직무능력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희선. (2005). 성인교육이론에 있어 경험과 학습의 의미. 교육동향연구, 22, 71-93.

마상진. (2004).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교육 가치성향과 조직몰입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준희. (1975). 한국인의 성인교육철학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희원. (2009). 기업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가치지향수행 인적자원개발의 전략적 성숙도에 관한 연구. 서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배을규, 김대영. (2007).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역량 모형 개발. 직업교육연구, 26(2), 63-87.

배을규. (2010). 인적자원 개발론. 서울: 학이시습.

백승우, (2012). 태권도 지도자의 성인교육철학이 직업의식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백평구, 이희수. (2010). 개념 지도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에서의 정의의 철학적 토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4), 297-321.

백평구. (2012). 인적자원개발 가치 우선순위에 대한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담당자의 인식 유형과 상호지향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4), 69-95.

송해덕. (2007). 수행공학과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한국HRD연구, 2(1), 99-108.

오헌석, 최윤미, 배진현, 위현진, 배형준, 권귀현, 선우형, 성문주, 이도엽, 이상훈. (2009).

ASTD를 통해 본 인적자원개발의 최근동향. 직업능력개발연구, 12(1), 49-72.

우진영. (2008). 인적자원개발 전문가의 가치지향성에 관한 연구. 서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영만. (1996). 학습조직과 인력개발: 삼성 경제연구소 편, 학습조직의 이론과 실제. 서울 : 21세기 북스.

이성, 이수영, 이영민. (2008). 기업 HRD 담당자의 교육경험 및 교수설계 전문역량 조사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1), 147-165.

이정은. (2012).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 적합성: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유형분류. 가족과 문화, 24(1), 71-104.

이지은. (2007). 핵심역량에 대한 기업 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인식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하지. (2011). 대기업 HRD담당자의 역할수행과 개인-조직 가치적합성 및 직무몰입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희수, 안동윤. (2007). HRD 패러다임 논쟁사에 나타난 평생교육과 HRD의 관계.

평생교육학연구, 13(1), 77-102.

장원섭. (2011). 인적자원개발 이론과 실천. 서울: 학지사.

장원섭, 심우정. (2005). 기업교육의 패러다임 전환-훈련에서 학습으로, 그리고 성과에서 가치로. 직업교육연구, 24(1), 89-109.

전영욱. (2005).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핵심직무역량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영욱. (2009). 대기업 인적자원개발담당자의 가치성향. 산업교육연구, 18, 1-22.

전정호. (2010). 교육본위론의 관점에서 본 HRD의 두 패러다임. 교육원리연구, 15(1), 149-166.

정민승. (2008). 출구로서의 평생교육: 인문학의 위기에 대한 평생교육적 진단.

평생교육학연구, 14(3), 1-19.

정재삼. (2000). 수행공학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정진철. (2008). 미국에서의 논쟁 분석을 통한 HRD 개념 정립과 I-A모형에 기초한 HRD 도전과제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3). 275-293.

조대연. (2006). 평생교육과 인적자원개발의 관계 고찰: 북미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2(4), 1-17.

조정아. (2012). 청소년의 학교적응 잠재유형 분류와 생태체계적 영향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3(1), 277-309.

조태준. (2013). 기존 HRD 패러디임 고찰을 통한 새로운 HRD 패러다임의 탐색: 인간중심 패러다임. HRD 연구, 15(2), 23-52.

주용국, 홍선이. (2002). 기업내 직업능력개발 담당자 지원 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차갑부. (1994). 인간주의 성인교육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 6, 131-145.

한국교육개발원. (1994). 한국인의 교육의식 조사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함지선. (2001). 무용지도자의 성인교육철학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황성준. (2010). 대기업 HRD 담당자의 역할수행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Abdullah, H. (2009). Definitions of HRD: Key concepts from a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text.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10(4). 486-495.

Apps, J. (1973). Towards a working adult education philosophy. New York:

Syracus University.

Baek, K. H. (2004). Identification of perception and prefernces of behavior relative to philosophy,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workforce education in Korea:

a provider and participant comparis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orado State University.

Barrie, J., & Pace, R. W. (1998). Learning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hilosoph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9(1), 39–54.

Bates, R. A., & Chen, H. C. (2004). Human resource development value orientations: a construct validation study.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7(3), 351-370.

Bates, R. A., & Chen, H. C. (2005). Value priorit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fessional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Quarterly, 16(3), 345-368.

Bates, R., Chen, H. C., & Hatcher, T. (2002). Value priorities of HRD scholars and practitioners.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6(4), 229-239.

Beker, G. S. (1993).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1 Reference to Education(3r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Bergevin, P. (1967). A philoshophy for adult education. New York: The Seabury Press.

Bernthal. P. R., Colteryahn, K., Davis, P., Naughton, J. Rothwell, W. J., & Wellins, R. (2004). 2004 ASTD competency study: mapping the future. Alexandria, VA: ASTD Press.

Bierema, L. L. (2009). Critiqu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s dominant masculine rationality and evaluating its impact.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8(1), 68-96.

Bierema, L. L., & D’Abundo, M. L. (2004). HRD with a conscience: practicing socially responsible HRD. International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23(5), 443- 458.

Boone, H. N., Buckingham, C. R., & Lawrence, L. D. (2001). Philosophies of Adult Education as Practiced by Agricultural Education Teachers. 28th Annual National Agricultural Education Research Conference, December 12, 526-538.

Charlofsky, N., & Lincoln, C. (1983). Up the HRD ladder. MA: Addison-Wesley.

Chalofsky, N. (1992). A unifying definition for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fess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3(2), 175-182.

Craig, R. L. (1976). Training and development handbook. NY: McGraw-Hill.

Dewey, J. (1933). How we think: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 Boston: Heath & Co.

Dewey, J. (1938). Logic: The theory of inquiry. Troy, MO: Holt, Rinehart &

Dewey, J. (1938). Logic: The theory of inquiry. Troy, MO: Holt, Rinehar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