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건설경제 (페이지 33-36)

최근 해외건설 동향 및 진단

6. 제언

Oxford Economics에서 발간한 Global Construction 2030에 따르면, 세계건설시 장 규모는 연평균 3.9%의 증가율로 2030년 에는 17.5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전망치는 GDP 성장률, 인구추계, 도 시화 추세 등을 근거로 산출되었다. 경제활 동이 활발할수록 가계소비가 확대되고, 공공 부문의 세수확대로 인프라 투자가 확대될 뿐 만 아니라 인구성장률, 도시화 추세에 따라 주거·상업용 건물·공공건물·인프라에 대 한 수요는 막대한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동 기준 하에 세계건설시장에서 성장전망이 밝 은 국가들로 중국, 미국, 인도, 인도네시아, 영국, 멕시코, 캐나다, 나이지리아가 선정되 었다. 중국, 미국, 인도 3개국이 세계 건설·

엔지니어링 시장 규모의 57%(4.5조 달러) 를 차지할 것이며, 인도네시아, 영국, 멕시 코, 캐나다, 나이지리아까지 포함한다면 그 비율은 70%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세 계에서 가장 큰 주택시장으로 평가되는 인도 는 인구, 도시화 부문에서 가장 급격한 성장 세를 보이며 향후 15년 동안에도 1.7억 채 (31,000채/1일)에 달하는 주거수요가 예상 되는 등 중국과 미국에 이어 3번째로 큰 건 설시장으로 부상하고, 인도네시아가 그 뒤를 이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이 세계 건설시장 성장에 대한 긍 정적인 전망치에도 불구하고 최근 해외건설 관련 기사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단 어가 `수주절벽`일 만큼 국내외 건설사들은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인프라 시장이 확대되더라도 자국 기업들의 건설수요를 제 외하고 해외 기업들에게 돌아가는 기회는 적을 뿐만 아니라 그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민관의 거듭된 논의에도 불 구하고 금융조달 해법이 명쾌하게 제시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이란’ 세미나가 개최될 때마다 청중이 몰리는 것도 기업들로서는 작은 기회라도 놓칠 수 없기 때문일 것이 다. 한정된 기회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발주 동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재원조달 방안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전체 가치사슬 (V/C)을 아우르는 사업구도를 선제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실적과 경험을 보유한 공 기업 참여 등 다른 경쟁국들과 차별화된 생 존전략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각국 에서 수립하고 있는 지원정책도 면밀히 모 니터링하여 벤치마킹이 필요한 전략은 적극 적으로 수용하여 국내 현실에 맞게 재구성 할 수 있는 유연함도 필요하다. 정부, 기업, ECA, 금융기관 등 모든 관계기관의 역량을 결집해야만 승산이 높아지는 무한경쟁 시대 로 진입하였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Global Construction Perspectives and Oxford Economics(2015), Global Construction 2030: A gobal forecast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2030

- KOTRA(2016), 이란투자실무가이드 - Linklaters(2016), Iran: open for business?

- Misnistry of Roads & Urban Development, The Act Pertaining to the Establishment of Civil Development Projects of Roads and Transportation Sector through Participation of Banks and Other Financial and Monetary Sources of the Country

- 해외건설협회(2016), 트럼프의 미대통령 당선이 이란 및 중동 정세에 미칠 영향 분석

- 해외건설협회(2016), 중동·아프리카 발전시장 동향·전망 분석

- 해외건설협회(2016), 중동 GCC 건설시장 분석 및 2016 하반기 이후 전망

- 해외건설협회(2016), 주요국 PPP 관련 법·제도에 대한 연구-이란, 태국, 모잠비크, 파라과이 - 해외건설협회 DB 자료

특집

건설공사의 직접시공과 지원방안

 건설공사 직접시공제도, 선택이 아닌 필수다

 전문건설업 직접시공의 도입과 개선 방향

 건설 직접시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문서에서 건설경제 (페이지 33-3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