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5-122)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한다.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해 탐색된 과학사는 융합형 과학뿐만 아니라 생명 과학Ⅰ에서 과학의 본성의 함양을 위한 과학사 소재로 사용 가능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 면 융합형 과학뿐만 아니라 생명 과학Ⅰ역시 교과 목표에서 과학의 본성의 함양을 명 시하고 있으며 학습 지도 방법에서 과학사 관련 서적을 읽는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 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 생명 과학Ⅰ에서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의 본성 함양 프로그램 의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융합형 과학의 생물학 관련 내용과 생명 과학Ⅰ까지의 유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것이라 기대한다.

둘째, 개발된 수업 프로그램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곧 개정될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학 생들의 흥미와 학습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과학사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으며 단순 히 과학의 본성을 가르치는 것이 아닌 과학의 본성 요소까지 제시하고 있다. ‘통합과 학’과 같이 공통과목에 속하는 ‘과학 탐구실험’은 ‘과학의 본성’이라는 단원을 할애하면서 ‘통합과학’과의 연계를 중요시하고 있으며 선택과목인 ‘과학사’ 역시 과학의 본성을 다루는 단원이 존재하여 과학의 본성 학습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그 중요성까지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수업 프로그램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 과정의 교육목표와 방향성에 일치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과학의 본성 함양

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탐색되니 과학사는 특정 교과, 단원에 한정 되지 않고 다양한 방 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탐색된 과학사 중 본 연구의 수업 프로그램으로 개발 되지 않 은 주제들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물학 관련 과목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과학 의 본성적 요소를 포함하였다. 이를 통해 특정 과목뿐만 아니라 여러 교과의 다양한 단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생물관련 과학사를 완성하였고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동기를 유발함과 동시에 과학의 본성까지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 다.

【참고문헌】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 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1007.

고문주(역)(2013). 생명의 불꽃 다윈과 원시 수프. 아카넷.

교육인적자원부(200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교육과학기술부(2009a).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교육과학기술부(2009b).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교육과학기술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5-74호.

구자현(2009). 쉬운 과학사. 한국학술정보(주).

길학균, 이길재(1998). 과학사를 이용한 멘델 유전 개념의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 생물교육학회지, 26(2), 167-177.

김경순, 노정아, 서인호, 노태희(2008).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에서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89-99.

김경호(2006). 파스퇴르와 푸쉐의 자연 발생설 논쟁과 그 함의.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1), 124-131.

김도욱(2015). 과학사 주제에 따른 과학사 - 역할놀이가 대학생의 과학의 본성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원자모형의 변천과 멘델레프의 주기율표의 변천 주레를 중심으로 -. 과학교육연구지, 39(1), 15-27.

김민나, 권상훈, 이경호(2012). 융합형 과학교과서 ‘우주의 기원’단원의 내용기술의 특 징: 반성적/도구적 유형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43(4), 165-190.

김선영(2008). Genetics instruction with history of science : nature of science learning.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3), 266-274.

김성원, 최경희, 허명(2009). 과학 삶 미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김영희(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 화학전공 석사 학위논문.

김현미(2006).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사의 도입 유형 분석틀 개발 및 고등학교 생물교 과서의 과학사 도입 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희정(2011). 예술 전공 고등학생들의 명시적 수업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변 화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남초이(2010). 명시적인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과학의 본성 이해 및 과 학교육 신념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화학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박기수(2013). ‘과학사 탐구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 식과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영재교육 석사 학위논문.

박남이, 이길재(2000). 과학사를 이용한 진화 개념의 교수-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 생물교육학회지, 28(2), 85-99.

박세기, 이기영, 이민우(2011).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자료 분석을 위한 삼원 분석틀 개 발 및 적용: 지구과학사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2(1), 92-112.

도송희, 왕요한, 박종석(2009). 과학의 본성 지도를 위한 중학교 과학 실험수업에서 ‘반 성’의 중요성. 과학교육연구지, 33(2), 184-192.

김상민(역)(1995). 과학의 역사Ⅰ, 도서출판 한울.

변혁재(2013). 과학사를 이용한 수업이 초등 과학영재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현철(역)(1998). 진화론 논쟁, 사이언스북스.

쑨이린(2009). 생물학의 역사. 더숲.

양승훈, 송진웅, 김인환, 조정일, 정원우(1996). 과학사와 과학교육. 민음사(주), 서울.

양찬호, 김민환, 노태희(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융합형 과학이 학생들의 과학 의 본성과 STS에 대한 견해, 과학에 대한 흥미 및 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 교육학회지, 35(4), 549-555.

오진곤(1996) 과학사총설. 전파과학사.

오진곤(1990). 서양과학사. 현대과학.

유미현, 여상인, 홍훈기(2007). 기원론적 접근법에 따라 개발한 과학사 프로그램이 학생 들의 입자론적 물질관 및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 지, 51(2), 231-222.

이정한(2003). 과학사를 도입한 과학학습 교재개발 - 역학 혁명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이영희(2013).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 생명과학의 이해 단원에 내포 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이충(역)(2004). 진화의 역사, 을유문화사.

이충호(역)(2000). 과학사 속의 대논쟁 10, 가람기획.

이한음(역)(2012). 종의 기원 이펙트, 세종서적.

이혜정(2013).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에 제시된 과학사 분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교육학석사 학위논문.

장대익(2006), 다윈&페일리 진화론도 진화한다. 김영사.

장혜경(2006). 왓슨&크릭 DNA 이중나선의 두 영웅, 김영사.

전상학 외(역)(2009). 유전학의 이해 3판. 라이프사이언스.

정배현(2003). 과학사 프로그램의 개발 및 고등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효과. 서울대학 교석사학위논문.

진혜진(2011). 새로운 과학의 본성의 흐름도를 바탕으로 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등학생 들의 믿음 탐색: 별의 분광형 실험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석사 학위논문.

최가영(역)(2013). 과학자들의 대결, 지식나이테.

최재천 외(2009). 21세기 다윈혁명, 사이언스북스.

최준환(2008).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수업을 통한 교사 및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발달. 부산대학교 대학원 화학과 박사학위 논문.

홍성욱(2012). 그림으로 보는 과학의 숨은 역사. 책세상.

Abd‐.El‐.Khalick, F., & Akerson, V. L. (2004). Learning as conceptual change:

Factors mediat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8(5), 785-810.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a). The influence of history of science courses on students` view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100), 1057-1095.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b). Improving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th nature of science :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7), 665-701.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 unnatural nature. Science Education, 82(4), 417-436.

Akerson, V. L.,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nfluence of a reflective explicit activity-based approach on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4), 295-317.

Akerson, V. L., & Hanuscin, D. L. (2007). Teaching nature of science through inquiry: Results of a 3 year professional development ‐. progra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5), 653-68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A project 2061 repor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Bartholomew, H., & Osborne, J. (2004). Teaching Students "Ideas-About-Science":

Five dimensions of effective practice. Science Education, 88(5), 655-682.

Duschl, R. A. (1900). Restructuring science education : The importance of theories and their development.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Irwin, A. R. (2000). Historical case studies: Teaching the nature of science in context. Science Education, 84(1), 5-26.

Jenkins, E. (1990). The History of Science in British Schools: Retrospect and prospect. In M. Matthews(Ed.).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Selected Readings. Toronto: OISE Press.

Khishfe. R. & Abd-El-Khalick. F. (2002).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ment on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551-578.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eing, 29, 331-359.

Lederman, N. G. (1999).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classroom practice: Factors that facilitate or impede the relationship.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8), 916-929.

Lederman, N. G., Adb-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Lederman, N. & Abd-El-Khalick, F. (1998). Avoiding de-natured science: Activities that promote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W. F.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pp. 83-126).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Toronto &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Miller, R., & Osborne, J. (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 future(London: King`s College).

Monk, M., & Osborne, J. (1997). Placing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on the curriculum: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pedagogy. Science Education, 81(4), 405-424.

Moss, D. M., Abrams, M. D., & Kull, J. A. (1998). Can we be scientists, too?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fic research from a project-based classroo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7(2), 149-161.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National Academy Press.

Osborne, J,, Collins, S., Ratcliffe, M., Millar, R. & Duschl, R(2003). What

“Ideas-about-Science” Should Be Taught in School Science? A DelphiStudy of the Expert Commun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7), 692-720.

Schwartz, R.,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Solomon, J., Duveen, J., Scott, L., & McCarthy, S. (1992).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 Action reaserch in th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409-421.

Rutherford, F. J., & Alhlgren, A.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Dover Publications.

Tamir, P. (1972).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science by students exposed to different science curricula in Israe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2), 147-171.

Ⅵ. 부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5-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