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통적인 평가 방법의 대안

Ⅱ. 이론적 배경

3. 전통적인 평가 방법의 대안

전통적인 평가방법과 대안적인 평가방법을 구분할 수 있는 근거는 결과를 해석하 는 방법이 아니라 평가형식과 내용의 차이에 기인한다는 시각이 중요한 것으로 이 는 학교 교육에서 학습자의 학업능력을 혹은 성취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하는 평 가방법의 문제로 바뀐 것을 의미한다(남명호, 1995).

교사들은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평가하고 중요한 교육적 변화를 평가하는 수단으 로 표준화검사의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전통적인 평가방법은 주로 폐쇄적인 지식의 척도에 치중하였고, 실제생활에 대한 응용력에는 등한시하였다. 예컨대 학습자의 지 식과 기능을 실제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못했다.

이제는 가치 있고 우수한 지식과 정보나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예측 불허 한 상황에서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처리하는 능력 등을 갖춘 인간을 기르 는 교육을 요구하게 되었다.

교육의 방법도 지금까지의 교과 중심, 교사 중심 교육에서 탈피하여, 학생이 중심

이 되는 교육, 학생의 삶이 존중되는 교육, 단편적 지식의 암기 교육에서 학습의 장 을 삶의 현장으로 옮기는 교육, 행정편의 능률 극대화라는 명분으로 도외시해 왔던 인간적 가치를 전면에 등장시키는 인간 본위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교육의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교수법의 바른 실천을 향한 적극적인 교사는 학습자들이 지식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평가결과로 입증될 수 있다. 만약에 평가결과 가 학습자들이 도달해야 할 목표에 이르지 못했다면 교사는 어떠한 강화를 수용해 야 하는가?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교육자와 교육 연구사들은 평가의 목적과 방법 론 평가가 의도하는 바와 일치하는 교수법을 반영할 수 있도록 새로운 평가방법을 연구해야 한다고 했다.

전통적인 평가 방법이 한계점을 느끼는 이유는 인간사회와 인간자체를 비교하는 교육에서는 사회의 복잡성과 인간의 도덕성이 자연 현상에서처럼 일반적인 법칙의 발견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실증적이고 양적 접근에 의해 이루어져 온 평가방법이 질적 접 근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보다 현상적이고 해석적인 실제사태를 중심으로 교 육의 가치를 이해하려는 교육평가의 질적 접근을 위하여 수행평가의 필요성이 교육 현장에서 강조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 새롭게 등장한 수행평가의 공통적인 관심은 창의적인 능력 비판적 인 사고력 문제해결력 집단 적응력 형이상학적인 인식 학습자들의 효율성 합 리성 평생교육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객관적으로는 불가능하고 새로운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학습자의 인지구조를 강조하거나 학습자 중심을 교육적 가치 에 관심을 갖는 대부분의 이론들이 부분적으로 비판을 받고 있는 이유는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백순근(1998)이 제시한 차이점을 참고하여 체육교과의 시각에서 전통적인 평가 방법과 수행평가 평가방법의 특성을 살펴보면 <표 2>과 같은 차이가 있다.

표 2. 전통적인 평가와 수행평가의 특성 차이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