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문대학 학생들의 교수-학습 실태

나.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습자 특성

4) 전문대학 학생들의 교수-학습 실태

전문대학 학생들의 교수-학습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교수와 학생들을 대 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영역은 학생들의 과제 부여, 선수학습 진단, 수업 집중률, 선호하는 수업 형태 등의 수업 전반에 관한 내용들이었다.

가) 전문대학 교수들의 교수 실태

교수들의 수업 실태 및 전문대학 학생들의 교수-학습에 관한 인식을 조사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Ⅱ-28> 전공 과목에 대한 항목별 반응 정도 구 분

항 목 표준편차

내용의 실용성 수준 114 3.72 0.85

내용의 난이도 114 3.05 0.73

학습량 114 3.12 0.60

수강 학생 수 114 3.59 0.68

전공 과목에 대해 전문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① 내용의 실용성 수준 ② 내용의 난이도 ③ 학습량 ④ 수강 학생 수 등에 대해 조사한 결과, 내용의 실용성 수준은 3.72로 실용적이라는 반응이었으나 내용의 난이도(3.05)나 학 습량(3.12), 수강 학생 수(3.59) 등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Ⅱ-29> 선수학습 진단 여부 구 분

항 목 백 분 율

그렇다 83 74.1

아니다 29 25.9

계 112 100.0

* missing value=2

전공과목의 수업 수준을 결정하거나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기 위해서 선수학습능력을 진단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진단한다고 응답한 경우 가 74.1%로 나타났고, 진단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도 25.9%나 되었다. 선 수학습 진단이 다음 단계의 학습을 진행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 구하고, 전체 응답자의 1/ 4이 이를 시행하지 않고 있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 제점으로 보인다. 학습자들의 학습 능력이 대체로 떨어지고 있는 실정에서, 선수학습능력을 진단하지 않는다는 것은 진도관리에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 는 것으로 풀이되,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표 Ⅱ-30> 전공과목의 중점 지도 내용

항 목 구 분 백 분 율

기초적인 이론과 지식 9 7.9

실무 중심의 능력 38 33.3

최신 이론과 동향 3 2.6

기초지식과 실무중심 능력 64 56.1

계 114 100.0

전공과목의 중점 지도 내용에 대한 질문에는 기초 지식과 실무 중심의 교육에 초점을 둔다고 응답한 교수가 56.1%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실무 중심의 교육(33.3%)에 초점을 둔다고 대답하였다. 반면, 기초적인 이 론과 지식이나 최신 이론과 동향 등에 대해서는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경향 이 있었다.

<표 Ⅱ-31>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단위 구 분

항 목 백 분 율

작성하지 않는다. 3 2.6

주 단위로 작성한다. 47 41.2

월 단위로 작성한다. 15 13.2

학기 단위로 작성한다. 49 43.0

계 114 100.0

* missing value=1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단위를 살펴보면, 학기 단위로 작성(43.0%)하거나 주 단위로 작성(41.2%)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월 단위 작성하는 경우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반면, 작성하지 않는 경우는 2.6%로, 대부분의 교수들은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Ⅱ-32> 학생들의 전공 과목 수업 시간 집중률 구 분

항 목

백분율 백분율 수강생(수업시간)의 25% 미만 17 14.9 19 8.3 수강생(수업시간)의 25~50% 미만 39 34.2 78 33.9 수강생(수업시간)의 50~75% 미만 37 32.5 88 38.3 수강생(수업시간)의 75% 이상 21 18.4 45 19.5

계 114 100.0 230 100.0

* missing value=1(학생)

학생들의 전공 과목 수업 집중률에 대해 교수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한 결과는 <표 Ⅱ-32>와 같다. 교수들이 느끼고 있는 학생들의 수업 시간 집 중률은 50% 미만이 49.1%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학생들이 느끼는 수업 시 간 집중률은 42.2%를 차지하고 있어 유사한 반응이었다. 전반적으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해 수업 시간 집중률이 높게 나타났으나 과반수의 학 생들이 수업 시간 집중률이 50% 미만으로, 수업 진행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업 설계 시 학습자들

의 수학능력과 낮은 학습 동기 등을 고려하여, 최대한 학습에 대한 흥미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마련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표 Ⅱ-33> 전공 과목의 과제 부여 여부 구 분

항 목 백 분 율

과제를 부여하지 않는다. 2 1.8

집단과제만 부여한다. 15 13.2

개별과제만 부여한다. 30 26.3

집단과제와 개별과제 둘다 부여한다. 67 58.8

계 114 100.0

전공과목의 과제 부여 여부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교수들이 개별과제와 집단과제를 병행(58.8%)해서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과제 (13.2%)보다는 개별과제(26.3%)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수들은 전공과목 수업에서 과제를 부여하고 있었다.

<표 Ⅱ-33-1> 과제를 부여하는 경우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의 수준 구 분

항 목 백 분 율

매우 형편없다. 2 1.8

형편없다. 11 9.8

보통이다. 74 66.1

우수하다. 24 21.4

매우 우수하다. 1 0.9

계 112 100.0

전문대학 학생들의 과제 제출 수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보통 이상(88.4%) 이라고 반응하고 있었으나 형편없다라는 반응은 11.6%에 불과해, 실업계 고 등학교 학생들의 과제 제출 수준보다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Ⅱ-34> 전공과목의 이론 수업 형태 구 분

항 목 백 분 율

대집단 전체 수업(강의, 발표) 95 83.3

소집단 활동(협동학습, 토의) 9 7.9

개별 활동(탐구, 조사, 문제해결) 10 8.8

계 114 100.0

* missing value=1

전공과목의 이론 수업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집단 전체 수업(강의, 발표) 이 83.3%로 가장 많았으며, 개별 활동과 소집단 활동은 각각 8.8%, 7.9%를 차지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전문대학 교수들은 다양한 수업 방법을 활용하기 보다는 전체를 대상으로 한 강의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는데, 이는 학 급 당 학생 수의 과다로 인해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는 점과 교수 기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접할 수 없었던 것이 이유인 것으로 보이다.

<표 Ⅱ-35> 전공 과목 실험・실습 기자재 보유 수준 구 분

항 목 백 분 율

매우 형편없다. 2 1.8

형편없다. 17 14.9

보통이다. 34 29.8

우수하다. 40 35.1

매우 우수하다. 21 18.4

계 114 100.0

* missing value=1

전공과목 실기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실험・실습 기자재의 보유 수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우수하다고 응답한 교수가 53.5%로 비교적 높았으며, 형편 없다고 응답한 경우는 16.7%에 불과했다. 따라서, 대학의 사정에 따라 약간 의 차이는 있겠지만, 실업계 고등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문대학의 실험・

실습 기자재는 잘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Ⅱ-36> 수업 형태별 교수가 선호하는 교수 방법(중복응답) 구 분

항 목

이론 수업 실기 수업

백분율 백분율

강의 104 30.9 15 4.7

토의 42 12.5 17 5.1

조사 31 9.2 15 4.7

역할극 4 1.2 7 2.2

야외실습 0 0.0 8 2.5

현장학습(견학) 7 2.1 26 8.1

협동학습 16 4.7 37 11.5

컴퓨터 이용 학습 31 9.2 49 15.2

사례연구 30 8.9 38 11.8

시청각 매체 이용 학습 46 13.6 38 11.8

현장 인사 강연 3 0.9 4 1.2

프로젝트 법 20 5.9 52 16.2

시뮬레이션 3 0.9 16 5.0

계 337 100.0 322 100.0

전문대학 교수들이 가장 선호하는 수업 방법에 대해 이론 수업과 실기 수 업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이론 수업의 경우 강의(30.9%), 시청각 매체 이용 학습(13.6%), 토의(12.5%), 조사(9.2%), 컴퓨터 이용 학습(9.2%) 등의 순 으로 나타났으며, 실기 수업의 경우, 프로젝트 법(16.2%), 컴퓨터 이용 학습 (15.2%), 사례 연구(11.8%), 시청각 매체 이용 학습(11.8%) 등의 순으로 나타 났다.

전반적으로 이론 수업은 강의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는데, 강의와 병행해 서 운영할 수 있는 토의나 시청각 매체 이용 학습 등을 선호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나, 학습자 활동 중심의 수업 방법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보인 다. 또한, 실기 수업의 경우에는 택할 수 있는 수업 방법이 제한적이었으며, 현재 전문대학 교육 현장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프로젝트 법에 대한 선호 도가 높았으며, 컴퓨터 이용 학습은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수업에 많이 도 입하고 있었다.

나) 전문대학 학생들의 교수-학습 실태

전문대학 학생들의 교수-학습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교수들을 대상으로 중복해서 물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Ⅱ-37> 선호하는 선수 학습 진단 시기 구 분

항 목 백 분 율

이번 수업 목표 제시 전에 137 59.6

수업 중에 심화된 내용 제시 전에 83 36.1

확인할 필요가 없다 10 4.3

계 230 100.0

* missing value=1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선수학습 진단이 어떤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것 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이번 수업 목표 제시 전에 선수 학습을 진단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학생이 59.6%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수업 중 심화된 내용 제시 전에 진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반응이 36.1%로 그 다음을 차 지하고 있었다. 반면, 확인할 필요가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도 4.3%를 차지하 고 있어, 수업 중의 교수의 질문이나 평가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표 Ⅱ-38> 전공과목 수업 시 가장 흥미 있는 내용 구 분

항 목 백 분 율

현장 중심의 사례 132 57.4

자격증 취득 준비와 관련된 내용 45 19.6

최신 이론 및 동향 53 23.0

계 230 100.0

* missing value=1

전공 과목 수업 시 가장 흥미 있는 내용에 대해서, 현장 중심의 사례가 57.4 %로 가장 많았으며, 최신 이론 및 동향의 경우에는 23.0%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었다. 반면, 자격증 취득 준비와 관련된 내용은 19.6%로 가장 낮 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들의 응답 결과와는 상반된 경 향을 보이고 있는데, 최신 이론 및 동향에 대해 학생들은 선호도 높은 반면 교수들은 2.6%에 불과해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장 사례 중 심의 교육에 대해서는 교수나 학습자 모두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표 Ⅱ-39> 수업시간의 학습량 과다 여부 구 분

항 목 백 분 율

전혀 그렇지 않다. 20 8.7

별로 그렇지 않다. 50 21.7

그저 그렇다. 81 35.2

조금 그렇다. 61 26.6

매우 그렇다. 18 7.8

계 230 100.0

* missing value=1

수업 시간의 학습량 과다 여부의 경우, 과다하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34.4%

이었고, 과다하지 않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30.4%를 보였으며, 그저 그렇다라 고 응답한 학생들이 35.2%를 차지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학습량 과다에 대 해 유사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각 응답 간의 차이는 개인들의 학습에 대한 학습 능력이나 학습 동기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표 Ⅱ-40> 전공 과목 수업 내용의 이해 정도 구 분

항 목 백 분 율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15 6.5

조금 이해하지 못한다. 50 21.7

반 정도 이해한다. 117 50.9

대부분 이해한다. 45 19.6

전부 이해한다. 3 1.3

계 230 100.0

* missing value=1

전공 과목 수업 내용의 이해 정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반정도 이해한다는 학생들이 50.9%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이해(20.9%)한다고 응답한 경 우에 비해 조금 이해(28.2%)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결국 수업 내용의 50% 이하를 이해하고 있는 학생들이 전체 응답자의 79.1%에 달해 정 상적인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표 Ⅱ-41> 선호하는 과제 부여 형태 구 분

항 목 백 분 율

집단 과제(조별, 팀별) 97 42.2

개별 과제 133 57.8

계 230 100.0

* missing value=1

선호하는 과제 부여 형태의 경우, 개별 과제가 57.8%, 집단 과제가 42.2%

로, 개별 과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과제를 선호하는 이 유는 집단 과제를 부여할 경우, 집단 구성원의 협력적 관계 유지가 힘들어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Ⅱ-42> 전공과목 담당 교수의 교수 능력에 대한 항목별 반응 정도 구 분

항 목 도 평 균 표준편차

전공 지식을 제대로 전달해 주지 않는다. 400 3.29 1.10 전공 지식을 너무 어렵게 설명하신다. 400 3.23 1.04 전공 지식에 대하여 학생들의 흥미나 관심을 끌지 못한다. 400 3.08 1.08 전공 지식을 학생들에게 제대로 전달해 주신다. 400 2.73 1.09

전공과목 담당 교수의 교수 능력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 었는데, 전공 지식을 제대로 전달해 주지 않는다(3.29) , 전공 지식을 너무 어렵게 설명하신다(3.23) , 전공 지식에 대하여 학생들의 흥미나 관심을 끌지 못한다(3.08) 등으로 나타나, 교수들의 교수 능력(敎授能力) 개발에 많은 관 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