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전문대학 교수들의 교재 개발에 대한 요구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그만큼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 욕구가 낮은 것으로 보 인다.

<표 Ⅲ-24> 전공 수업 시 주 교재로 교과서 사용 여부 구 분

문 항 백분율

전혀 그렇지 않다. 5 4.6

별로 그렇지 않다. 12 11.1

그저 그렇다. 12 11.1

조금 그렇다. 45 41.7

매우 그렇다. 34 31.5

계 108 100.0

* missin g valu e=1

전공 수업 시 주 교재로 교과서 사용 여부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교사 가 교과서를 주 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73.2%가 교과서를 주 교재로 사용한다고 응답하였고,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교사는 15.7%에 불과했다.

전공 수업 시간에 사용하는 교재의 경우, 주 교재 한 권과 몇 권의 참고 도서를 같이 사용한다고 응답한 교수가 63.9%로 가장 많았으며, 주 교재 한 권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25.0%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었고, 주 교재 여러 권을 사용한다고 응답한 경우도 11.1%를 차지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주 교재 와 참고 도서 위주로 전공 교재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6> 전공 과목의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도 평 균 표준편차

전반적으로 내용이 어렵다. 114 2.64 0.99

배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114 2.96 1.04 교과서는 수업시간에 잘 활용되지 않는다. 114 1.67 1.09 교과서는 개별적으로 학습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114 2.28 1.23 교과서의 내용이 현장 직무와 거리가 멀다. 114 1.93 1.04 참신성이 부족하고, 기존 자료를 재편집한 수준이다. 114 2.38 1.07 단원 학습에 대한 방향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114 2.19 1.06 교과서가 문자 중심의 체계여서 잘 안 들어온다. 114 2.29 1.04 용어가 너무 어렵고 외국 용어가 많다. 114 2.39 1.00 설명이 부족하여 다른 관련 도서를 찾아보아야 한다. 114 2.22 1.17

이론과 실습의 연계가 부족하다. 114 2.39 1.06

연구문제와 탐구문제가 형식적이다. 114 2.38 1.19 교과서와 연계된 학습 보조자료가 부족하다. 114 2.58 1.07 실험・실습 절차와 방법이 잘 제시되어 있지 않다. 114 2.26 1.02 내용 이해에 대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114 2.61 1.13

전문대학 교수들이 인식하고 있는 전문대학 교재들의 경우, 내용, 구성, 학 습자 수준 등에 적합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구성 측면에서 보 면, 교과서가 문자 중심 체계여서 잘 안 들어온다(2.29) , 이론과 실습의 연 계가 부족하다(2.39) , 연구 문제와 탐구 문제가 형식적이다(2.38) , 실험・실 습 절차와 방법이 잘 제시되어 있지 않다(2.26) , 내용 이해에 대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2.61) 등으로 나타나 구성 측면에서도 적합하다는 반응

이었고, 내용 측면에도 교과서의 내용이 현장 직무와 거리가 멀다(1.93) , 참 신성이 부족하고, 기존 자료의 재편집한 수준이다(2.38) 등의 반응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적합하다는 반응이었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에도 적합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동일한 영역 에 대한 전문대학 학생들의 반응과는 대조적이었다. 이는 전문대학 교재의 경우 대부분이 가르치는 교수가 직접 집필하는 경우가 많은데, 여전히 교재 집필을 하는 과정에서도 수요자들의 요구가 적절히 반영되지 않고, 공급자 중심의 교재 집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문대학 학 생들의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수준과 흥미 유발 을 위한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교재가 집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표 Ⅲ-27> 전공 수업시간에 교재를 지참하는 학생 비율 구 분

문 항 백분율

수강생의 25% 미만 1 10.2

수강생의 25~50% 미만 15 16.7

수강생의 50~75% 미만 33 36.1

수강생의 75% 이상 64 37.0

계 113 100.0

* missin g valu e=1

전공 수업 시간에 교과서를 지참하는 학생 비율에 대해 조사한 결과, 50%

미만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26.9%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75% 미만이라 고 응답한 경우도 63.0%를 차지하고 있어, 수강생의 1/ 4이 교재를 지참하지 않고 있어 수업 진행에 많은 문제점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Ⅲ-28>은 전공 수업 시 교재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조사한 결과이다. 대부분이 교재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는데, 전체 응답자의 73.2%가 그렇다라고 응답하였으나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경우는 15.7%에 불과해, 교재가 수업의 주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대학에서의 교재 개발은 수요자 중심으로 개발 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의 특성과 학업 능력을 고려하여 구성 체계, 전개 방식 등이 잘 설계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8> 전공 수업 시 교재를 주된 내용으로 사용하는지 여부 구 분

문 항 백분율

전혀 그렇지 않다. 1 4.6

별로 그렇지 않다. 7 11.1

그저 그렇다. 11 11.1

조금 그렇다. 36 41.7

매우 그렇다. 58 31.5

계 113 100.0

* missin g valu e=1

5. 시사점

본 절에서는 앞의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교재체제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각 분야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모듈식 교재 개발 모형들의 탐색 결과 및 교재개발 사례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교재체제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자 및 교수자들의 교재체제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에 터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