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회랑(Corridor)

회랑의 사전적 정의는 1. 복도, 회랑 2. (기차 안의) 통로 3. 종주 지형(다른 나라와 인접하여 길게 뻗어 있는 지형) 4. 회랑 지대(주요 도로나 강을 따라 나 있는 좁고 긴 땅)이다(Oxford University Press, 2008). 경관생태학에서는 ‘통로’라 정의하며, 자연통로와 인공통로로 구분한다(이도원, 2000). 자연통로는 하천, 산 능선, 동물 이동로 등으로 곡선이고 연속적인 경향이 있으며, 인공통로는 울타리, 돌담, 전선, 송유관, 가스관, 도랑, 등산로, 고속도로 등으로 직선이며 곳곳에 틈이 많이 있다.

건강·문화·생태회랑이란 “생태적 건강성을 유지하고 (인간의) 체육, 문화, 여가활동이 가능하도록 (선적으로) 연결된 공간”이다(김명수 외, 2009). 이는 복합된 기능을 포함하 며, 규모별로는 마을단위, 도시간, 광역 및 국토차원까지 포함한다(김태환 외, 2011).

<그림 1-4> 건강·문화·생태회랑의 개념도

자료 : 김명수 외. 2009

도시학에서의 도시회랑이란 강, 도로망, 철도망, 고속도로 등을 따라 생겨난 일단의 정주단위로 설명되고 있다(김형국, 1997). 도시회랑의 원형은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 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이었으며, 식민지 지배를 도모하던 루트, 정치적 정복의 길, 상업적 이익을 확보하려던 길 주변에 발달했던 일단의 정주단위가 도시회랑의 시발이 된다고 한다. 도시회랑은 강, 강안(江岸), 도로망, 철도망, 고속도로와 고속

생활권 연계 대중교통 연계 생태환경 연계

+ +

오가던 서울~송도~평양~의주의 길, 또는 일제시대 철도망이 도입되면서 경인철도를 따라 서울과 인천사이의 시가지화 된 일대지역 등이 우리나라의 도시회랑의 시작이라 고 할 수 있다. 현대 한국의 도시회랑은 도시와 도시 사이의 고속도로, 철도 주변에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로 계층을 나누어 살펴보면 국가적 중요성을 가진 ‘국가도시회랑’에 서울~대전 회랑, 지역중심의 ‘지역도시회랑’에 울산~부산~마 산 회랑과 군산~이리~전주 회랑, 한정된 지방에서 의미를 가지는 ‘지방도시회랑’에 진주~사천 회랑, 마산~진해 회랑 등을 꼽을 수 있다.

(2) 자전거 네트워크

자전거 네트워크란 “자전거 이용을 위한 독립적 기반시설이 아닌, 토지이용 특성 및 주변 교통시설과 자전거 인프라의 조화를 통해 지역간 연계와 생활·여가에 있어 자전거 이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인프라 연계망”으로 정의한다(행정안전부, 2010).

4가지 위계·기능의 자전거 도로 및 연접공간 통합 네트워크로 전국 순환 자전거도로(해 안 및 지역간 연계, 생활교통), 4대강자전거도로(4대강 주변지 활용, 지역간 연계), 지자체 자전거도로(도시 내 생활·여가 지원, 생활교통), 광역 자전거도로(지역간 단절구 간 연계)를 제시하고 있다.

<그림 1-5> 자전거 네트워크 구축 개념도

자료 : 행정안전부. 2010. 국가자전거도로 기본계획

(3) 자전거회랑의 조작적 정의

생태환경적 요소를 강조하고, 관광·문화자원과의 연계적인 측면에서 “건강·문화·생 태회랑”의 개념과 유사하나, ‘자전거회랑’에서는 보행보다는 자전거통행을 중심으로

하는 측면에서 구별된다. 본 연구의 자전거회랑은 ‘생태환경과 조화된 자전거인프라가 중심이 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주변 커뮤니티 및 관광·문화자원과 연계된 선적인 공간’으로 정의한다. 직접요소로 자전거 인프라(본선 및 연계·편의시설) 및 인접 생태·레저자원이 있으며, 간접요소로 주변 관광·문화자원 및 정주지(도시+농 촌)가 포함된다. 단위 회랑의 규모는 <그림 1-6>과 같이 자전거길 중심으로 주변 관광·문화자원을 약 20분(반경 5km) 내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한다.

<그림 1-6> 자전거회랑의 조작적 개념도

chapter 2

국내 정책현황 및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