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본의 해외농업개발과 해외농업개발 수입

□ 일본 식품산업은 ‘80년대 중반 이후 해외직접투자를 늘이고 이를 국 내로 수입하였음.

◦ ‘80년대 중반 이후 일본 식품산업의 해외진출은 급격한 엔고31와 농산 물 수입자유화를 배경으로 급격히 증가

◦ ‘90년대에는 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다시 감소하였고, 1993년부터는 다 시 엔고로 해외진출이 진행되었음.

◦ 지역별로 보면 북미가 최대 규모의 시장이었으나 1990년대부터는 남 태평양(호주)과 아시아지역의 직접투자가 증가하고 있음.

- 남태평양의 비중: 69.7%(1993년)

- 남태평양에 대한 진출 목적은 풍부한 농산물 및 수산물 등 식량자원의 일본에 대한 수입

- 남태평양에 대한 진출은 쇠고기 수입자유화 전후에 급증하였고 일본 식품산업의 직접투자 시장으로서 가장 큰 변화가 있던 시장의 하나 - 아시아에 대한 진출 증가는 엔고 때문임.

□ 아시아 진출국 중에서 가장 큰 성장률을 보인 것은 중국임.

◦ 중국은 ‘90년대에 들어서 청과물, 축산물, 수산물 등 이외에 면화, 착유 작물, 쌀, 보리 등의 식량작물에 대해서도 국가 통제가 완화되기 시작 ◦ 일본 식품산업의 중국 진출 모두가 일본 수입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중국 현지시장에서의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음.

- 즉석라면, 조미료, 유지, 음료 제조기업 등의 중국 진출

□ 일본 식품산업의 해외진출 목적은 주로 현지시장에서의 판매 혹은 일본에서의 수입이며 제3국에 대한 수출이라는 경우는 예외적이며, 특히 미국과 유럽에 대한 진출 목적은 현지시장에서의 판매임.

◦ 미국은 시장규모가 크고 소득수준도 매우 높으며 새로운 식품에 대한 거부감도 별로 없기 때문에 미국내 시장에 대한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기업이 많음.

◦ 라면이나 간장과 같은 식품은 현지 교민들을 대상으로 상당한 수출이 있었고 경쟁할 기업이 없었음.

31 미국달러에 비해 엔의 가치가 높아짐.

□ 아시아에서는 태국에서 냉동닭고기, 쌀과자, 흙설탕, 전분, 생간 절인 것, 죽순 통조림, 양콘 통조림, 파인애플 통조림, 냉동 새우, 신선·냉 동 오징어 등이 수입되었음.

◦ 태국에서의 장점이었던 비용 절감이 어려워지면서(경제발전으로 인한 임금 인상, 원자재가격 상승 등) 중국으로 이동

◦ 중국으로부터 녹차, 민물장어 조제품, 냉동채소(풋콩, 완두콩류 등), 건 조채소(표고버섯, 양파, 죽순 등), 채소 통조림(아스파라가스 등), 토마 토 조제품, 곤약, 냉동닭고기, 볶은 낙화생, 복승아 통조림 등의 수입이 크게 증가

가. 사례 1: 요시노 식품유한 공사

□ 요시노 식품은 일본의 치요다 물산이 중국 칭다오에 투자한 식품가 공회사임. 동 사의 주요 고객은 주요 외식산업 기업들이며, 아직 일 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소매시장에서의 판매는 주류를 형성하지 않고 있음.

◦ 동 사가 취급하고 있는 제품은 야채, 육류, 생선 통조림, 냉동식품류 등이며 매일 필요한 양만큼 공급하는 맞춤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주로 절단한 야채를 포장하여 일본 외식산업에 공급

◦ 현재 파를 가공․수출하고 있지만 향후 당근 감자 등으로 취급 범위를 확대할 예정임.

□ 요시노 식품이 중국에 진출한 이유

◦ 중국의 값싼 노동력을 활용한 비용 절감 -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건비 절감

◦ 자발적 잔류 농약 검사연구소를 설립․운영하여 중국에서 가공한 파가 일본 국내산보다 안전성이 높은 결과

◦ 칭다오는 지리적으로 일본과 가깝고, 채소 신선도를 유지하기 좋은 지역 ◦ 일본내 채소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양 축소

□ 요시노 식품이 중국 진출에서 느끼는 애로사항

◦ 채소 조달을 계약재배에 의존하고 있으며 위생문제로 인하여 조달선이 제한되는 문제 발생

◦ 계약재배의 경우, 계약을 위반하는 농가들이 발생 ◦ 일본 농민단체들의 반발

◦ 중국산 농산물의 잔류 농약문제로 중국농산물에 대한 일반 소비자들의 낮은 평가

□ 요시노 식품의 고품질 채소 생산을 위한 대책

◦ 재배 및 농약관리 경영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전문 일본 기업을 활용하여 이들이 재배농가를 철저히 지도하는 방식을 적용

◦ 중국 농산물 품질규격기준의 엄격화를 유도

◦ 유기농법을 본격적으로 도입하여 일본과 중국에 진출해 있는 일본외 식업체에도 가공채소를 공급할 계획

나. 사례 2: 이토추 유한공사

□ 이토추 유한공사는 냉동체소, 육류 등을 일본에 수출 ◦ 산동성에만 10개의 중국 식품가공회사에 출자

□ 계약방식으로 중국에 투자함.

◦ 중국내 가공회사에 출자하거나 계약을 통하여 생산된 제품을 구입하여 일본에 판매하는 방식으로 투자

- 계약한 농가가 생산한 제품을 구입하여 이를 일본으로 수출

□ 일본에서 중국에 진출한 도매상, 슈퍼, 외식산업 등과 같은 기업들이 중국 계약생산농가들에 대한 생산 지도를 하여 고품질 농산물을 생산

◦ 주요 종묘회사가 개량품종을 중국에 공급하는 것이 품질개선에 기여

□ 중국 농산물 수입 급증이 일본농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제한 적이란 인식을 갖고 있음.

◦ 수입급증으로 일본내 생산이 감소한 경우는 우엉, 버섯 등에 국한되어 있어 중국산 수입증가는 미국 수입이 중국 수입으로 전환된 것에 불과 ◦ 일본의 기술력이 보다 많이 보급되면서 중국 생산농가와 중국 농민들의

생산 증가에 기여

□ 중국과 일본 농업협력은 민간기업 수준에서만 농업협력체제이며, 향 후 중국정부에 대해서 보다 철저한 위생관리체계를 구축하고 농약 등 안전대책이 강화할 것을 주문함.

□ 일본 농민단체의 경우, 위기의식은 가지고 있으나 중국산 수입물을 수입하는 기업이나 일본 정부에 대한 직접적인 비난과 공격이 없음.

◦ 농민저항방식은 시위나 집회가 아닌 간접적인 방법으로 이미지 비난․

간접조사 등을 활용함.

□ 이런 일본 중소규모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하여 중국에서 계약재배 등을 통하여 확보한 농산물을 일본에 수입하는 경로를 그림으로 표 시한 것이 아래 <그림 7-1>임.

그림 7-1. 일본의 중국 농산물에 대한 개발수입 체계

중국 일본

직접집하 계약생산 기술지도

가공기업, 외식산업, 양판점, 일반소매업체 시장(중앙/지방 도매시장) 수입상사

일본 상사 등

수출국(일본 등)

농가 중국 국내출하(2등품)

대외무역공사(1등품) 채소가공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