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설 2) 주민참여 실태에 따라 마을만들기 활성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참여조직의 거버넌스는 마을만들기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마을만들기의 활성화는 주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1. 조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사의 대상은 제주도 농어촌 마을만들기 사업 중에서 본격 적인 상향식 마을만들기 사업의 시초가 되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권역 중 가장 최근에 준공 되었으며, 2010년 농림수산식품부 전국 평가에서 최우수 권역으로 선정된 바 있는 제주시 한경 면 웃뜨르권역으로 선정하였고, 대상 권역의 4개 마을(저지리, 청수리, 산양리, 낙천리) 주민들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권역의 농한기라고 할 수 있는 2013년 7월 8일~7월 31일까지 24일간에 걸쳐 총 300부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 중 부정확하게 응답한 25부를 제외한 275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조사는 권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조사 목적을 직접 설명하고 설문에 응하겠다는 응답자 에게 설문을 제시하여 응답자가 직접 설문지에 기입하는 자기 기입법(self - 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을 사용하였다.

2. 설문지 구성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마을만들기 사업의 주민참여 실태, 참여 조직의 거버넌스, 마을 만들기의 활성화 및 주민만족도, 이렇게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고 각 각의 세부 항목을 바탕으로 구성하였으며, 문항의 간결성, 논리성, 명확성 등을 갖추기 위해서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를 토대 로 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연구자가 재작성 하였다.

설문지 작성을 위하여 이민우(2011) “마을만들기에서 주민이 인식하는 주민 간 갈등양상에 관한 연구”, 이지혜(2009) “마을만들기 사업에 있어서 주민참여도에 관한 영향구조 분석”, 안종 현(2008) “농촌관광마을 만들기와 주민참여”, 방한영(2003) “농촌활성화를 위한 지역유산 활용 및 마을만들기에 대한 연구” 등의 문헌들을 참고하였다.

본 설문지의 구성은 주민참여와 관련하여 10문항, 참여조직의 거버넌스와 관련하여 4문항, 마 을만들기의 활성화 및 주민만족도와 관련하여 11문항,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관련하여 6문항, 총 31문항으로 구성하였고, Likert 5점 척도, 서열척도, 명목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를 사용 하였다.

<표 4-1> 설문지 구성

구성지표 번호 구성내용 척도

주민참여

1 사업 진행시 해당 그룹 서열

2 권역사업(마을만들기)의 인지 정도

Likert 5점 3 사업진행에 대한 입장

4 사업 과정에서 주민 간 협조 정도 5 사업에 참석한 횟수

6 사업 추진 시 주민회의가 가장 많이 열린 시기(단계) 서열

7 사업관련 의견제시 여부 명목

8 사업 시행 후 참여의식 개선에 대한 주민들의 생각 Likert 5점

9 다수 주민들의 사업참여 독려 방법 명목

10 다수 주민들의 사업참여와 마을만들기 활성화 Likert 5점

구성지표 번호 구성내용 척도

내용 분석 방법

◦ 인구 통계적 특성, 주민참여 실태, 참여 조직의

거버넌스, 마을만들기의 활성화 및 주민만족도 분석 ◦ 빈도분석

◦ 마을만들기 활성화 항목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 Cronbach 알파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주민참여 실태 차이 분석 ◦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 주민참여 실태에 따른 마을만들기 활성화의 차이

분석 ◦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 참여조직의 거버넌스와 마을만들기 활성화의 영향 관계, 마을만들기의 활성화와 주민만족도의 영향

관계 분석 ◦ 단순회귀분석

본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 데이터 코딩 과정을 거쳐 분석 프로그램인 SPSS 12.0을 활용하였다.

우선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실태 차이를 분석하고, 주민참여 실태 에 따르는 마을만들기 활성화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다음 마을만들기 참여조직의 거버넌스 가 마을만들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마을만들기 활성화가 마을만들기의 주민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 관계를 차례로 분석하였다.

<표 4-2>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 분석 방법

인구 통계적 특성 변수로는 성별, 연령, 거주기간, 직업, 학력, 소득 등의 변수로 한정하였다.

분석 방법을 살펴보면, 첫째, 표본의 인구 통계적 특성과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실태, 참여조 직의 거버넌스, 마을만들기 활성화 및 주민 만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둘째, 설문지를 구성하고 있는 마을만들기 활성화 항목들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내적 일관성을 나타내는 Cronbach 알파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분석하였고 연구 가설을 분석하기 전에 마을만들기의 활성화와 관련된 변수들 간의 동질적 특성을 갖는 속성 차 원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관련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주민참여 실태의 차이, 그리고

주민참여 실태에 따르는 마을만들기 활성화의 차이 분석을 위하여 T-검정(T-test)과 일원배치분 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참여조직의 거버넌스가 마을만들기 활성화에 미치 는 영향관계, 마을만들기의 활성화가 주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구분 빈도(명) 비율(%)

성별 207 75.3

68 24.7

연령

20대 1 0.4

30대 16 5.8

40대 59 21.5

50대 118 42.9

60대 72 26.2

70대 이상 9 3.3

거주기간

5년 이하 8 2.9

6~10년 10 3.6

11년~15년 16 5.8

16년~20년 66 24.0

21년 이상 175 63.6

직업

농어업 248 90.2

자영업 6 2.2

회사원 4 1.5

전업주부 14 5.1

학생 1 0.4

기타 2 0.7

제5장 실증분석

1. 인구 통계적 특성

본 연구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는 아래의 <표 5-1>과 같다.

<표 5-1> 응답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

학력

초등학교 이하 8 2.9

중학교 98 35.6

고등학교 137 49.8

대학교 32 11.6

대학원 -

-소득

1,500만 원 이하 7 2.5

1,500~3,000만원 18 6.5

3,000~4,500만원 125 45.5

4,500~6,000만원 99 36.0

6,000~7,500만원 17 6.2

7,500만 원 이상 9 3.3

성별 분포에서는 전체 응답자 275명 중 남성이 207명(75.3%), 여성이 68명(24.7%)로 비 교적 남성응답자가 여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분포를 살펴보면 20대가 1명(0.4%), 30대가 16명(5.8%), 40대가 59명(21.5%), 50 대가 118명(42.9%), 60대가 72명(26.2%), 70대 이상이 9명(3.3%)으로 50~60대가 가장 많은 69.1%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거주기간 분포에서는 5년 이하 8명(2.9%), 6~10년 10명(3.6%), 11년~15년 16명(5.8%), 16~20년 66명(24%), 21년 이상 175명(63.6%)으로 나타났다.

직업별 분포는 농어업 248명(90.2%), 전업주부 14명(5.1%), 자영업 6명(2.2%), 회사원 4명(1.5%), 기타 2명(0.7%), 학생 1명(0.4%)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 분포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이하 8명(2.9%), 중학교 98명(35.6%), 고등학교 137명 (49.8%), 대학교 32명(11.6%)으로 고등학교 학력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가구별 소득 분포는 1,500만 원 이하 7명(2.5%), 1,500~3,000만원 18명(6.5%), 3,000

~4,500만원 125명(45.5%), 4,500~6,000만원 99명(36.0%), 6,000~7,500만원 17명 (6.2%), 7,500만 원 이상 9명(3.3%)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