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n 4

n 4

01

02

03

04

05

06

920

12

본문069

이항분포

07

08

15

09

32

10

20

11

80

12

13

14

15

50

16

17

30

18

19

20

본문`070`~`072

유형`12. 이항분포

37

V(X)=E(X¤ )-{E(X)}¤에서

E(X¤ )=V(X)+{E(X)}¤이므로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E(X)}¤ =25

즉, =25이므로 n=10

14

E(X)=9p, V(X)=9p(1-p)이므로 (9p)¤ =9p(1-p), 9p=1-p (`∵ 0<p<1)

∴ p=;1¡0;

15

확률변수 X가 이항분포 B(10, p)를 따르고 P(X=4)=;3!;P(X=5)이므로

¡ºC¢p› (1-p)fl =;3!;¡ºC∞pfi (1-p)fi 210_p› (1-p)fl =;3!;_252_pfi (1-p)fi 1-p=;5@;p

∴ p=;7%;

즉,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B {10, ;7%;}를 따르므로 E(X)=10_;7%;=:∞7º:

∴ E(7X)=7E(X)=7_:∞7º:=50

16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B(n, p)를 따르므로 E(X)=np=1 yy`㉠

V(X)=np(1-p)=;1ª0; yy`㉡

㉠을 ㉡에 대입하면 1-p=;1ª0; ∴ p=;1¡0;

p=;1¡0;을 ㉠에 대입하면 n=10

∴ P(X<2)=P(X=0)+P(X=1)

∴ P(X<2)=¡ºCº{;1¡0;}

{;1ª0;}⁄ ‚ +¡ºC¡{;1¡0;}⁄ {;1ª0;}·

∴ P(X<2)=;1!0(;{;1ª0;}·

17

동전 2개 모두 앞면이 나올 확률은

;2!;_;2!;=;4!;

즉,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B {10, ;4!;}을 따르므로 V(X)=10_;4!;_;4#;=:¡8∞:

∴ V(4X+1)=4¤ V(X)=16_:¡8∞:=30

18

한 모둠에서 2명을 선택할 때, 남학생들만 선택될 확률은

=;1£0;

따라서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B {10, ;1£0;}을 따르므로 E(X)=10_;1£0;=3

£C™

∞C™

4

19

f(m)이 0보다 큰 경우는 m=1 또는 m=2일 때이므로 P(A)=;6@;=;3!;

따라서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B {15, ;3!;}을 따르므로 E(X)=15_;3!;=5

20

1회의 시행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경우는 6_6=36`(가지) B가 점수를 얻는 경우는

두 눈의 수의 차가 3일 때,

(1, 4), (2, 5), (3, 6), (4, 1), (5, 2), (6, 3)의 6가지 두 눈의 수의 차가 4일 때,

(1, 5), (2, 6), (5, 1), (6, 2)의 4가지 두 눈의 수의 차가 5일 때,

(1, 6), (6, 1)의 2가지

∴ 6+4+2=12`(가지)

즉, 1회의 시행에서 B가 점수를 얻을 확률은 ;3!6@;=;3!;, A가 점수를 얻을 확률은 1-;3!;=;3@;이다.

15회의 시행에서 A가 얻는 점수의 합을 확률변수 X라 하면 X는 이항분포 B {15, ;3@;}를 따르므로

E(X)=15_;3@;=10

15회의 시행에서 B가 얻는 점수의 합을 확률변수 Y라 하면 Y는 이항분포 B {15, ;3!;}을 따르므로

E(Y)=15_;3!;=5

따라서 두 기댓값의 차는 5이다.

21

B {n, ;4!;}에서 E(X)=n_;4!;=

V(X)=n_;4!;_;4#;=

∴ E(X)+V(X)= + = =56

∴ n=128

22

B {n, ;6!;}에서

V(X)=n_;6!;_;6%;=5n 36

7n 16 3n 16 n 4

3n 16 n 4

21

128

22

23

24

21

25

26

27

28

29

102

본문`072`~`073

V(2X+5)=4V(X)=4_ = =40

∴ n=72 따라서

E(X)=72_;6!;=12, V(X)=;3∞6;_72=10이므로 E(X¤ )=V(X)+{E(X)}¤ =10+12¤ =154

23

E(3X+1)=3E(X)+1=11이므로 E(X)=:¡3º:

V(3X+1)=3¤ V(X)=20이므로 V(X)=:™9º:

E(X)=np=:¡3º: yy`㉠

V(X)=np(1-p)=:™9º: yy`㉡

㉠을 ㉡에 대입하면 1-p=;3@; ∴ p=;3!;

p=;3!;을 ㉠에 대입하면 n=10

∴ n+p=:£3¡:

24

확률변수 X가 이항분포 B {n, ;2!;}을 따르고 P(X=2)=10P(X=1)이므로

«C™{;2!;}2 {;2!;}n-2=10«C¡{;2!;}1 {;2!;}n-1

=10n, n¤ -21n=0 n(n-21)=0 ∴ n=21

25

E(2X+3)=2E(X)+3=15이므로 E(X)=6 또 E(X¤ )=40이므로

V(X)=E(X¤ )-{E(X)}¤ =40-6¤ =4 E(X)=np=6,

V(X)=np(1-p)=4이므로 n=18, p=;3!;

∴ a= = =:¡4¶:

∴ aV(X)=:¡4¶:_4=17

26

동전 2개 모두 뒷면이 나올 확률은 ;2!;_;2!;=;4!;

즉,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B {100, ;4!;}을 따르므로 E(X)=100_;4!;=25

∴ E(2X+3)=2E(X)+3=2_25+3=53

27

같은 색의 공이 나오는 횟수를 확률변수 X라 하면 한 번의 시행 에서 같은 색의 공이 나올 확률은

+§C™=;4§5;+;4!5%;=;1¶5;

¡ºC™

¢C™

¡ºC™

¡•C™{;3!;}¤ {;3@;}⁄ fl

¡•C¡{;3!;}⁄ {;3@;}⁄ ‡ P(X=2)

P(X=1) n(n-1)

2

5n 9 5n

36 즉,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B {30, ;1¶5;}을 따르므로

E(X)=30_;1¶5;=14

얻을 수 있는 점수를 확률변수 Y라 하면 Y=4X+2(30-X)=2X+60

∴ E(Y)=E(2X+60)

=2E(X)+60

=2_14+60=88

28

한 번의 시행에서 흰 공이 나올 확률은

즉, 확률변수 X가 이항분포 B{72, }를 따르므로

E(X)=72_ =48

∴ k=2

∴ V(X)=72_;3@;_;3!;=16

29

한 개의 주사위를 2번 던질 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는 6_6=36(가지)

직선 y=ax와 포물선 y=x¤ +b가 서로 만나지 않으려면 이차방 정식 x¤ -ax+b=0의 실근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므로 이 이차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a¤ -4b<0

즉, 한 번의 시행에서 a¤ <4b를 만족시키는 a, b의 순서쌍 (a, b)는

(1, 1), (1, 2), (1, 3), (1, 4), (1, 5), (1, 6), (2, 2), (2, 3), (2, 4), (2, 5), (2, 6), (3, 3), (3, 4), (3, 5), (3, 6), (4, 5), (4, 6)

의 17개이므로 한 번의 시행에서 직선 y=ax와 포물선 y=x¤ +b 가 서로 만나지 않을 확률은 ;3!6&;이다.

따라서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B {216, ;3!6&;}을 따르므로 E(X)=216_;3!6&;=102

4 k+4

4 k+4

4 k+4

유형`13. 연속확률분포

39 01

확률밀도함수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1이

므로

;2!;_3_a=1

∴ a=;3@;

02

확률밀도함수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1이 므로

;2!;_6_a=1 ∴ a=;3!;

∴ P(0…X…5)=;2!;_5_;3!;=;6%;

03

함수 y= f(x)의 그래프와 x축 및 직선 x=6으로 둘러싸인 부 분의 넓이는 1이므로

;2!;_6_6k=1 ∴ k=;1¡8;

즉, f(x)=;1¡8;x이므로 P(2…X…5)

=P(0…X…5)-P(0…X…2)

=;2!;_5_;1∞8;-;2!;_2_;9!;

=;3@6%;-;9!;=;1¶2;

04

확률밀도함수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1이 므로

;2!;_b_b=1, b¤ =2

∴ b='2 (`∵ b>0) P(a…X…b)=;4!;에서

P(0…X…a)=1-;4!;=;4#;이므로

;2!;_a_'2 =;4#;

∴ a=

05

확률밀도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 과 같고,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 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1이므로

;2!;_2_k=1

∴ k=1

y

O k

1 2 x

y=f(x) 3'2

4

5 6 2

3 1

9 1

y=f(x) 185

y

O x

06

확률밀도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 과 같고,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 및 직선 x=2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는 1이므로

;2!;_2_2a=1

∴ a=;2!;

즉, `f(x)=;2!;x이므로

P {0…X…;2!;}=;2!;_;2!;_;4!;=;1¡6;

07

확률밀도함수의 그래프와 x축 및 직선 x=0으로 둘러싸인 부분 의 넓이는 1이므로

;2!;_a+;2!;_;2!;_a=1

;4#;a=1

∴ a=;3$;

08

0…x…2에서 확률밀도함수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 의 넓이가 1이므로

;2!;_;3!;_;4#;+{a-;3!;}_;4#;+;2!;_(2-a)_;4#;=1,

;8!;+;4#;a-;4!;+;4#;-;8#;a=1

∴ a=1

∴ P{;3!;…X…a}=P{;3!;…X…1}

∴ P{;3!;…X…a}={1-;3!;}_;4#;

∴ P{;3!;…X…a}=;2!;

09

확률밀도함수의 그래프와 x축 및 두 직선 x=0, x=4로 둘러싸 인 부분의 넓이는 1이므로

;2!;_1_a+;2!;_3_3a=1 5a=1 ∴ a=;5!;

즉, f(x)=;5!;|x-1|이므로 P(0…X…2)

=;2!;_1_;5!;+;2!;_1_;5!;

=;5!;

∴ 100P(0…X…2)=100_;5!;=20

4 2 1 5 1 5 3 y

O x

y=f(x) y

O 2a a

2 x y=f(x)

2 1 2 1

01

02

03

04

05

1

06

13

본문07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