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00-k …m…300+k

이 신뢰구간이 290.6…m…309.4이므로

k =9.4

∴ k=1.88 50 '∂100

50 '∂100 50

'∂100

10 'n 10

'n 10

'n 10 'n

10 'n 10

'n 5 'ƒ100 4

'n 4 '1å6

P(|Z|…1.88)=2P(0…Z…1.88)=2_0.47=0.94

∴ a=94

05

모표준편차 r=2, 표본의 크기 n=100, 표본평균 xÆ=p이므로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 %의 신뢰구간은

p-1.96_ …m…p+1.96_

∴ p-0.392…m…p+0.392 이 신뢰구간이 [a, 7.4]이므로

p+0.392=7.4

∴ p=7.008

∴ a=7.008-0.392=6.616

06

모표준편차 r=2, 표본평균 xÆ=a이므로 모평균 m에 대한 신뢰 도 95 %의 신뢰구간은

a-2 …m…a+2

이 신뢰구간이 18…m…20이므로 a- =18㉠㉠yy`㉠

a+ =20㉠㉠yy`㉡

㉠+㉡을 하면 2a=38

∴ a=19

a=19를 ㉡에 대입하면 'n=4

∴ n=16

∴ a+n=19+16=35

07

모표준편차 r=1.4, 표본의 크기 n=49이고, 표본평균을 x’라 하면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의 신뢰구간은

x’-1.96_ …m…x’+1.96_

신뢰구간이 a…m…7.992이므로 7.992-a=2_1.96_

∴ a=7.992-0.784

=7.208

08

모표준편차 r=40, 표본의 크기 n=64이므로 모평균 m에 대한 99 %의 신뢰구간은

1.4 'ß49

1.4 'ß49 1.4

'ß49 4 'n

4 'n

2 'n 2

'n

2 '∂100 2

'∂100

01

02

03

400

04

05

06

16

본문`091

신뢰구간

07

08

09

98

10

11

12

13

10

14

15

25

16

51

17

12

18

19

20

본문`092`~`095

유형`16. 신뢰구간

51

xÆ-2.58 …m…xÆ+2.58

이 신뢰구간이 xÆ-c…m…xÆ+c이므로 xÆ-1.96_ …m…xÆ+1.96_

이 신뢰구간이 [ xÆ-c, xÆ+c ]이므로 c=1.96_ =98

10

표본의 크기 n=100, 표본평균 xÆ=245, 표본표준편차 s=20이 고, 표본의 크기 n이 충분히 크므로 모표준편차 대신 표본표준편 차를 사용할 수 있다.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 %의 신뢰구간은 245-1.96_ …m…245+1.96_

∴ 241.08…m…248.92

따라서 신뢰도 95%의 신뢰구간에 속하는 정수의 개수는 242, 243, 244, 245, 246, 247, 248의 7이다.

11

모표준편차 r=10이고, 표본평균을 xÆ라 하면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 %의 신뢰구간은

xÆ-1.96 …m…xÆ+1.96 이 신뢰구간이 [38.08, 45.92]이므로 xÆ-1.96 =38.08㉠㉠yy`㉠

xÆ+1.96 =45.92㉠㉠yy`㉡

㉡-㉠을 하면 2_1.96 =7.84 'n=5

∴ n=25

12

표본의 크기 n=16, 표본평균 xÆ=12.34이므로 모평균 m에 대 한 신뢰도 95 %의 신뢰구간은

12.34-1.96 …m…12.34+1.96 이 신뢰구간이 11.36…m…a이므로 12.34-1.96 =11.36에서 0.49r=0.98

∴ r=2

∴ a=12.34+1.96_ =13.32

∴ a+r=13.32+2=15.32 2 x’-1.96_ …m…x’+1.96_

즉,

x’-1.96_ …m…x’+1.96_

이때 a…m…b이고 b-a=4.9이므로 b-a=2_1.96_ =0.49r 따라서 0.49r=4.9에서 r=10

14

모표준편차 r=;2!;, 표본의 크기 n=25이고, 표본평균을 xÆ라 하 면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 %의 신뢰구간은

xÆ-c …m…xÆ+c 이 신뢰구간이 [a, b]이므로 a=xÆ-;1Ç0;, b=xÆ+;1Ç0;

즉, b-a=;1@0C;이므로 c=5(b-a)

15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 %의 신뢰구간이 xÆ-1.96_ …m…xÆ+1.96_

이므로

xÆ-1.96_ =1.73㉠㉠yy㉠

xÆ+1.96_ =1.87㉠㉠yy㉡

㉠+㉡에서

2xÆ=3.6이므로 xÆ=1.8

㉡-㉠에서

2_1.96_ =0.14이므로 r=0.25

따라서 k= = 이므로 180k=180_ =25

16

표본평균을 xÆ라 하면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의 신뢰구간은 xÆ-1.96 …m…xÆ+1.96

이 신뢰구간이 [100.4, 139.6]이므로 xÆ-1.96 =100.4㉠㉠yy`㉠

xÆ+1.96 =139.6㉠㉠yy`㉡

㉠+㉡을 하면

∴ xÆ=120

xÆ=120을 ㉡에 대입하면 1.96 =19.6

=10

한편,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9 %의 신뢰구간은 xÆ-2.58 …m…xÆ+2.58 이므로

120-2.58_10…m…120+2.58_10

∴ 94.2…m…145.8

따라서 신뢰도 99 %의 신뢰구간에 속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95, 96, 97, y, 145의 51이다.

17

표본평균을 x’라 하면

x’=75일 때,

¤신뢰도 95%의 신뢰구간은

¤75-1.96_ …m…75+1.96_

¤x’=77일 때,

¤신뢰도 99%의 신뢰구간은

¤77-2.58_ …m…77+2.58_

⁄, ¤에서

b=75+1.96_ , d=77+2.58_

이므로

d-b=(77-75)+ (2.58-1.96) d-b=2+0.155r

=3.86

∴ r=12

18

표본의 크기 n=16이고, 모표준편차를 r라 하면 모평균 m에 대 한 신뢰도 95 %의 신뢰구간은

xÆ-1.96 …m…xÆ+1.96 이 신뢰구간이 [ xÆ-c, xÆ+c ]이므로 1.96 =c

∴ c=0.49_r

택시의 연간 주행거리를 확률변수 X라 하면 X는 정규분포 N(m, r¤ )을 따르므로

∴ P(X…m+c)=P {Z… }

∴ P(X…m+c)=P(Z…0.49)

=0.5+P(0…Z…0.49) a=1.96_ =1.96

또 n명을 임의추출하여 구한 표본평균이 x™’이므로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의 신뢰구간은

x™’ -1.96_ …m…x™’ +1.96_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서 x™’ =;1!6%;x¡’=;1!6%;_80=75

이고 1.96_ =;7%;a에서 n=49

∴ n+x™’=49+75=124

20

ㄱ. B와 C의 표본의 수와 분산이 같으므로 신뢰도 95 % 신뢰구 간의 길이는 같다. (참)

ㄴ. A의 신뢰도 95 % 신뢰구간의 길이는 ㄴ. 2_1.96_ =2.352

ㄴ. C의 신뢰도 99 % 신뢰구간의 길이는

ㄴ. 2_2.58_ =1.032

ㄴ. 즉, A의 신뢰도 95 % 신뢰구간의 길이가 C의 신뢰도 99%

신뢰구간의 길이보다 길다. (거짓) ㄷ. B의 신뢰도 95 % 신뢰구간의 길이는 ㄷ. 2_1.96_ =0.784

ㄷ. D의 신뢰도 95 % 신뢰구간의 길이는

ㄷ. 2_1.96_ =1.96

ㄷ. 즉, B의 신뢰도 95 % 신뢰구간의 길이가 D의 신뢰도 95 %

유형`16. 신뢰구간

53 22

확률변수 X가 정규분포 N(20, 3¤ )을 따르므로

P(14…X…26)

=P { …Z… }

=P(-2…Z…2)

=;10ƒ0;

즉, 모표준편차 r=10, 표본의 크기 n=25, 표본평균 xÆ=84이 므로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a %의 신뢰구간은

84-2_ …m…84+2_

∴ 80…m…88

따라서 a=80, b=88이므로 2a-b=160-88=72

23

모표준편차를 r, 표본의 크기를 n이라 하면 모평균 m에 대한 신뢰 도 95 %의 신뢰구간의 길이가 모표준편차의 ;5!; 이하이어야 하므로 2_1.96 …;5!;r

2_1.96 …;5!;

'næ19.6

∴ næ384.16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385이다.

24

표본표준편차 s=12이고, 표본의 크기 n이 충분히 크므로 모표 준편차 대신 표본표준편차를 사용할 수 있다.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 %의 신뢰구간은 xÆ-1.96 …m…xÆ+1.96

이 신뢰구간이 [244.04, 247.96]이므로 xÆ-1.96 =244.04㉠㉠yy`㉠

xÆ+1.96 =247.96㉠㉠yy`㉡

㉠+㉡을 하면 2xÆ=492

∴ xÆ=246

xÆ=246을 ㉡에 대입하면 1.96 =1.96, 'n=12

∴ n=144

∴ n+xÆ=144+246=390

25

36개 표본의 표본평균을 X’, 표본표준편차를 s라 하면 X’=;3¡6; x˚=;3¡6;_72=2

s¤ =E(x˚¤ )-X’¤

s¤=;3¡6; x˚¤ -2¤

s¤=;3¡6;_720-4 s¤=16

즉, 표본의 크기 n=36, 표본표준편차 s=4이고, 표본의 크기 n이

¡36 k=1

¡36 k=1

12 'n

12 'n 12 'n

12 'n 12

'n 1 'n

r 'n

10 '2å5 10

'2å5

26-20 3 14-20

3

충분히 크므로 모표준편차 대신 표본표준편차를 사용할 수 있다.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 %의 신뢰구간의 길이는 2_2_ =;3*;

26

표본평균 X’의 값을 xÆ라 하면

xÆ=;9!;(170_3+171_3+172_3)=171

모표준편차 r=3, 표본의 크기 n=9이므로 모평균 m에 대한 신 뢰도 95 %의 신뢰구간은

171-1.96_ …m…171+1.96_

∴ 169.04…m…172.96

∴ a+b=169.04+172.96=342 3 '9 3

'9 4 '3å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