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이윤덕 IoT실증사업추진단장

이영주 | 국토연구원 연구위원(leeyj@krihs.re.kr)

이윤덕(李潤德)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졸업(1979) / 연세대학교 전산학 석사(1989)

삼성전자 연구원(1987) / 정보통신연구진흥원 RFID/USN PM(2003)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2008) / 대구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초빙교수(2009) /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및 정보통신대학 교수(2012~) /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신산업창조프로젝트기술사업화전문가단장(2014~) / 미래창조과학부 IoT실증사업추진단장(2014~)

최근 들어 사물인터넷(IoT)에 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급 증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으로 인한 변화는 다양한 분야에 혁 신을 가져올 것이며,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가치창출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호 이슈와 사람에서는 이윤덕 IoT 실 증사업추진단장을 만나 사물인터넷 이슈에 대해 들어보았다.

▶ 이영주: 새로운 국가정보화 비전이 ‘인간 중심의 초연결

창조사회(hyper-connected society) 실현’으로 설정되고, 이를 위한 핵심 동인으로 사물인터넷(IoT), 만물인터넷(IoE) 등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초연결 창조사회와 사물인터넷 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말씀해주십시오.

▶▶ 이윤덕: 사물인터넷은 정보의 수집 및 활용이 인간

중심에서 인간 대 사물, 사물 대 사물로 확장되어 사람, 사물, 공간,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 수집, 공유, 활용되는 초연결 인터넷이라고 할 수 있는데, 초연결을 통해 사람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하자는 것입니다. 비록 사물인터넷이긴 하지만 사람이 중심이며, 단순히 물리적 사물이 아닌 콘텐츠와 같은 무

형의 사물도 포함되기에 사람이 창출해내는 지적산물도 포함됩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은 빅데이터(Big Data) 생성의 원천이며, 빅데이터로 만들어지는 다양한 서비스 가 사물인터넷을 통해 시현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존의 ‘any time(언제나)’, ‘any place(어디서나)’ 연 결에서 ‘anything(무엇으로도)’ 연결로 확장되는 개념으 로, 예를 들면 차량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보다 안전하 고, 편리한 그리고 즐거운 운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라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사회는 초연결사회로 예상되고 있는데, 이 를 실현하는데 사물인터넷이 기본적 역할을 하리라 봅니 다. 초연결사회가 되면 자동차, 의료, 농생명 및 가정 등 의 생활에 큰 변화가 있겠지요.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이 농업과 결합하면 스마트 파밍(Smart Farming)으로 변 모하는데, 작물 성장을 위한 각종 환경정보가 감지되어 필요에 따라 온·습도, CO2, 센싱, 양액, 온실의 개폐 등 을 최적의 성장조건에 따라 공급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모 든 것이 사람의 개입 없이 이루어지고, 특히 도시나 아파 트형 공장에서도 가능해져 내가 어디에 있든 작물현황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천후 농업이 가능해집니다. 도 시 농부라는 새로운 직업이 생기는 것이지요. 이와 같이 우리 삶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변화와 혁신을 가능하게 하므로 이제까지의 삶과는 전적으로 다른 초연결사회의 새로운 삶의 형태가 창출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듯 초연결사회는 사물인터넷이 완전히 실현된 상태를 뜻한 다고 봅니다. 특히, 초연결 창조사회라 함은 사물인터넷 을 통해 지능적 환경과 사물들이 지속적으로 새로운 서 비스를 창출해내는 사회라 볼 수 있겠지요.

▶ 이영주: 사물인터넷 기술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됨에 따

라 사물인터넷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시장 의 규모와 특징은 어떠하며 및 향후 시장 전망은 어떻게 예 상하십니까?

이윤덕

52

▶▶ 이윤덕: 시장규모는 조사기관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

지만 매년 25% 정도 성장하여 2020년에는 약 1조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 중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부품이 약 40%를 점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앞으로도 인텔, 퀄컴, 애플, 삼성전자 등이 미래 사물인터 넷 시장에서도 강자가 될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 습니다. 국내의 경우는 32%의 고도성장을 통해 2020년 경에 17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도 삼성전자, LG 등 디바이스를 만드는 기 업들이 기회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사물인터넷은 거의 전 산업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서 비스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업이 나타날 가능성 을 배제하기 어렵습니다. oneM2M 같은 글로벌 사물인 터넷 표준화 기구에서는 SMART HOME, SMART CAR, SMART GRID, U-Health 등을 주요한 분야로 정리하 고 있습니다.

▶ 이영주: 교수님께서는 IoT실증사업추진단장, IoT포럼 운

영위원장 등 사물인터넷 정책과 관련한 다양한 경험을 가지 고 계십니다.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물인터넷 시대에 대 응하여 향후 정책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해 말씀해주시겠 습니까?

▶▶ 이윤덕: 사물인터넷이 모든 영역에 변화를 가져오

게 되므로 이 변화를 촉발하는 사물인터넷의 기반을 확 보해야 하는데 이 기반이 플랫폼(platform)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거의 모든 국가와 기업이 이 플랫폼 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려 하고 있습니다. 애플의 iOS 나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같은 광범위한 영향력을 미치 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확보가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사물인터넷은 크게 두 가지 핵심 기술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모든 것을 연결시키는 초연결 인터넷이 므로 연결시키는 기술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사물을 연결시키는 다양한 통신기술, Bluetooth, ZigBee, WiFi,

CDMA, LTE 등 어떤 기술을 쓰든 사물들을 연결하는 하나의 통신 반도체 칩을 사물들이 내장하는 것입니다.

또 하나는 이를 통해 필요 정보를 주고 받는 지능이 라 할 수 있습니다. 사물들이 이 지능을 내장하려면 프 로세싱 칩과 메모리가 필요합니다. 프로세싱 칩은 인텔 이, 메모리는 삼성전자가 최고 경쟁력을 갖고 있는 분야 지요. 그러므로 사물인터넷에서도 반도체산업이 중요합 니다. 그러나 가전이나 자동차 같은 사물이 없어서는 이 칩들의 의미가 없어집니다. 삼성과 인텔이, 퀄컴과 LG가 서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경쟁하고 있는 것도 사물인터 넷 분야에서 눈여겨 보아야 하는 대목이라 할 수 있습니 다. 삼성전자, LG, SKT와 같은 우리 기업들도 사물인터 넷이 차세대 경쟁력의 원천이라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직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점은 공통 플랫 폼의 확보와 공개를 통해 많은 중소기업들이 다양한 서비 스를 구현해보고 매출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협업 문 화의 형성과 사물인터넷 분야 인력양성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입니다.

이영주

따라서 향후 정책방향으로는 경쟁우위의 기초가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