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이: 교수님이 주장하시는 전문화 논제는 젠트리피케이션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젠 트리피케이션과 노동자계층의 대체(replacement)와 노동자계층의 축출(displacement) 관계에 관한

논쟁과 연결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은 늘 기존 주민의 축출을 야기하기에 교수 님이 주장하시는 전문화와 대체의 관계에 대해 좀 더 설명해주시면 한국의 독자들이 교수님의 논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햄넷: 젠트리피케이션은 항상 불가피하게 직접적으로 노동자계층을 축출한다는 추측이 있으나,

저는 이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비록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기존 주민이 축출되는 현상이 동반되 고 있지만, 이는 세입자 보호와 임대료 통제법의 성격과 범위에 따라 그 정도와 양상이 달리 나타납니 다. 예를 들어, 독일에서는 집주인이 임대료를 단순히 올리고 세입자를 몰아낼 수 없습니다. 좀 더 일 반적으로 젠트리피케이션은 산업구조 및 직업구조의 변화라는 더 큰 맥락에서 고찰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서구에서는 지난 50년간 제조업이 크게 쇠퇴하고 전통적인 노동자계층이 감소하여 왔습 니다. 평균적인 노동기간이 40년(25세에서 65세)이라고 가정한다면, 전체 노동인구의 4분의 1이 매 10년마다 대체되어 40년 사이에 전체 인구가 대체됩니다. 따라서 런던과 다른 도시의 많은 노동자계 층이 은퇴하거나 사망하여 도시 내 노동자계층의 축소되는 상황은 젠트리피케이션의 직접적인 결과 라기보다는 산업구조와 직업구조 변화의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교수님의 최근 연구들이 런던 동부지역의 사회계층, 민족구성 변화, 주택시장과 교육 간의 관

계에 대한 연구와 사회복지 비용 축소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한국 독 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교수님의 최근 연구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주시겠습니까?

▶▶ 햄넷: 지난 5~7년간 팀 버틀러(Tim Butler)와 함께 교육의 지리학, 즉 교육이 인종 및 직업 변화

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였습니다. 우리는 인종, 사회적 계층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 주제는 미국에서 오래전부터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유럽에서 도 점점 정치적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런던 동부지역은 가장 다양한 인종들이 거주하는 지역입니다.

가장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인 학생들은 백인이 아니라 소수민족 중산층 학생들입니다. 학업성취도의 지리적 양상은 소수민족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지난 3년간, 2010년 연합내각이 성립된 이후 정 부의 사회복지예산 변화의 지리적 영향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습니다. 저는 사 회복지 지출의 지리학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창조하였습니다. 대부분의 사회복지국가에서 많은 사회 복지비용은 정부에 있어서 큰 이슈입니다. 사회복지제도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지리적으로 집중되 어 있습니다. 그 결과 저소득층이 런던에서 전혀 거주할 수 없게 된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사회복지 예산 삭감의 지리적 영향입니다.

68

because big debates were at that time about whether London is becoming middle class, working class or more proletariatised etc. I engaged in very big debates on professionalisation in London. When I was in the Netherlands in the mid-1990s, I got interested in whole debate about global cities, polarisation, and professionalisation. Other scholars have seen polarisation, but I have seen professionalisation along with growing inequality.

Lee: I think your professonalisation argument links to the debate about replacement and displacement

in the field of gentrification. Your view on gentrification and displacement is a bit different from others. In Korea, displacement is always related to gentrification, so I think it would be helpful for Korean readers if you can tell us more about the relationship about replacement and professionalisation.

▶▶ Hamnett: There is an assumption that gentrification always inevitably leads to direct displacement. I

do not accept this. Although gentrification is often accompanied by displacement of the existing residents, the extent depends on the nature and extent of tenant protection and rent control legislation. In Germany, for example, landlords cannot just put up rents and push tenants out. More generally, I think gentrification needs to be seen in the wider context of changes in industrial and occupational structure. In the west over the last 50 years there has been a major decline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a shrinkage of the traditional working class. If we assume that the normal working life is 40 years (from 25 to 65) then 25% of the labour force is replaced every 10 years and entire labour force over 40 years. Thus, a lot of working class residents of London and other cities retired, died etc and the shrinkage of this group was not a direct result of gentrification but of changes in industrial and occupational structure.

Lee: Your recent research is on the links between social class, ethnic change, the housing market and

education in East London, and the impact of welfare benefit cuts in London. In order to provide more understanding to Korean readers, can you explain more?

▶▶ Hamnett: The last 5-7 years, I did quite a lot of works with Tim Butler on the geography of education,

and how this is linked on occupation changes, ethnic groups. We are looking at the intersection of ethnicity, social class, and education attainment. This has long been important in the US, but this is now becoming more political issue in Europe. East London is the most ethnically mixed part of London. The highest attainment students are not white but ethnic minority middle class. The geography of education attainment is related to ethnic minority. In last 3 years also, since 2010 the election of the coalition government in 2010 I have done research on the geographical impact of the government social welfare spending changes. I tried to create a

▶ 이: 교수님께서는 젠트리피케이션과 관련하여 새로운 교육의 지리학을 연구하고 계십니다. 연구하

시면서 젠트리피케이션에 의한 교육적 축출현상을 탐구해오셨습니다. 한국은 영국만큼 인종과 민족 측면에서 다양하지는 않지만, 한국에서 교육은 주택시장과 계층 재생산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므로, 젠트리피케이션의 관계에 관한 교수님의 연구는 꽤 흥미롭습니다. 런던 동부지역에서 진행한 교육과 젠트리피케이션에 관한 교수님의 연구를 좀 더 설명해주시겠습니까?

▶▶ 햄넷: 자녀들에게 최고의 기회를 제공하고 싶어 하는 부모들이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들은 자신

들의 (계층)지위를 재생산하고자 합니다. 과거에는 여러 도시지역의 부모들이 교육에 관심이 없었을 지도 모르며, 이러한 지역의 학교들이 좋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노동자계층 지역으로 이주한 중산 층 학부모들이 그 지역 학교의 만족스럽지 않은 교육제도를 개선하기 시작합니다. 기본적으로 젠트리 피케이션은 학교 수준에 영향을 미칩니다. 저는 공립학교만을 조사하였지만, 이는 사립학교에도 영향 을 미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과 교육 간의 연관성은 세계적으로 공통적입니다. 기본 적으로 좋은 교육은 누구나 원하는 것이지만 무제한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므로 부모들은 자녀들을 최고(가장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이는) 학교에 보내기 위해 경쟁합니다. 이는 주거지 선정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며, 가난한 부모들이 좋은 학교 근처에 살 수 있는 경제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들의 자녀 들을 좋은 학교에서 몰아내는 것입니다.

▶ 이: 마지막으로, 교수님의 향후 연구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시겠습니까?

▶▶ 햄넷: 지금까지 말씀드린 바와 같이 제 연구는 주택과 젠트리피케이션, 교육과 복지의 지리학, 런

던의 사회적 양극화와 불평등이란 주제에 집중했습니다. 저는 지금껏 제가 해온 연구주제를 더욱 발 전시킬 것입니다. 런던의 민간주택시장에 관해 연구를 계속 진행하는 한편, 젠트리피케이션과 도시 라는 책을 발간할 계획입니다. 또한 저는 최근에 ‘투기도시’라는 주제로 홍콩에서 열린 한 컨퍼런스에 서 발표를 했습니다. 이는 매우 중요하고 흥미로운 주제이기에,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연구들이 책으 로 출판되기를 바랍니다.

▶ 이: ‘투기도시’라는 책은 매우 흥미로울 것 같은데요, 교수님의 신간 기대하겠습니다. 시간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70

new area of geographical research, the geography of welfare spending. Most large welfare states cost a lot of money and this is a big issue for the government. People who need social welfare tend to be concentrated geographically. The government tried to cut back welfare spending, and it has had big geographical implication.

The first thing is the poor and low income groups can’t afford to be able to live in London at all. This is the geography of welfare spending.

Lee: I think you are developing a new geography of education in relation to gentrification. You have

investigated educational displacement by gentrification. Although Korea is not as diverse as the UK in terms of ethnicity, your research about the link between gentrification and education is quite interesting to me, since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relation to social reproduction and housing market in Korea. Could you explain more about your gentrification and education in East London?

▶▶ Hamnett: One of the key things is parents want to provide the best opportunity for their children. They want

to reproduce their class position. In many areas of cities, in the past parents may not be interested in education.

In these areas schools may not be good. The movement of middle class households into working class areas began to be dissatisfied with schools, and began to work on the educational system. Basically gentrification inevitably has implications at the school level. I’m talking state schools, but still it has implication for private schools. The link between gentrification and education is common over the world. Basically, good education is a desirable but scarce commodity and parents compete for it in terms of trying to get their children into the best (highest performing) schools. This has major implication for residential location decisions and can lead to children from poor backgrounds being squeezed out of the best schools because their parents cannot afford to live near them.

▶ Lee: Lastly, can you tell me about your future plan of your research?

▶▶ Hamnett: As we talked, my research has focused on housing and gentrification, the geography of education

and welfare, and inequality, social polarisation and social exclusion especially in London. I am developing what I have done. I am looking at private housing market in London and I am writing a book about gentrification and the city. Also, I recently gave a paper at a conference on the speculative city which was held in Hong Kong. I hope the conference proceedings will be turned into a book as this is a fascinating and important issue.

Lee: This new book ‘speculative city’ sounds very interesting and I am looking forward to reading it.

Thank you so much for your time!

할배들 따라 타이베이로?

2012년 노배우 4명의 배낭여행기를 다룬 ‘꽃보다 할배’

라는 예능 프로그램이 전례 없는 큰 인기를 얻었다. 프 랑스와 독일, 스위스 등에 이르는 한 번쯤 꿈꾸어보았을 법한 유럽 여행에 이어 선택된 여행지는 타이완(臺灣)2)이 었다. ‘장제스(蔣介石)의 나라’, ‘자유중국’이라는 이름이 더 익숙할 만큼 오랫동안 우리에겐 냉전의 상징으로 기 억되어온 타이완은 이 프로그램 방영 후 한국인에게 가 장 사랑 받는 해외여행지 중 하나로 부상했다. 사실 그 동안 타이완은 에펠탑이나 루브르박물관, 알프스의 절 경처럼 한국인에게 잘 알려진 장소는 아니었다. 그러나 최근 ‘꽃할배’들을 사로잡은 타이완의 매력에 빠진 한국 인 관광객의 수가 급증하면서, 2014년 2월 타이완교통

부 관광국에서는 이 프로그램의 나영석 프로듀서에게 타이완 관광 공헌상을 수여하기까지 했다.

한국은 물론 타이완 현지에서도 인기를 얻은 이 프 로그램이 찾아낸 새로운 타이완, 그리고 타이베이의 매 력은 무엇이었을까? 우선, 절도 있는 헌병교대식을 볼 수 있는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과 고대부터 내려온 진귀한 보물들이 가득한 ‘국립고궁박물원’, 한때 세계 최고층을 자랑하던 ‘타이베이101빌딩’의 전망대처럼 타이베이를 대표하는 유명 관광지들이 앞자리를 차지 했다. 그밖에 타이베이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이자 타이 베이 사람들의 종교적 중심인 용산사(龍山寺), 식도락 의 천국으로 불리는 야시장과 저렴한 노천온천에 이르 기까지 타이베이의 여러 일상적 장소들이 포함되면서 부담 없는 해외여행지의 이미지를 제시했다는 점 또한

---1) ‘臺北’의 정식 지명 표기는 ‘타이베이’이나, 이 글에 언급된 영화의 경우 개봉 당시 제목을 그대로 사용하였음.

2) 타이완의 공식국호는 ‘중화민국(中華民國, Republic of China)’이지만 상대방을 합법적 정부로 인정하지 않는 중국과 함께 하는 올림픽 등 국제행사에서는 ‘Chinese Taipei’처럼 이른바 ‘하나의 중국, 다른 표기(一中各表)’가 사용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