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구 및 필요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4-69)

C. 연구절차 및 방법

4. 요구 및 필요분석

본 연구의 반영구화장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교육적 요소가 무엇인 가를 알아보기 위해 잠재적 학습자 및 반영구화장전문가를 대상으로 요구 및 필요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a. 잠재적 학습자 (1) 일반적 특징

연구 대상자는 최초 선정된 연구 대상자로부터 본 연구의 기준에 부합하는 잠재적 학습자를 소개받는 눈덩이 표집(snowballing sampling) 방법을 활용 하였다. 최초 선정된 연구 대상자는 연구자와 개인적 친분이 있는 잠재적 학 습자들로 섭외하였으며, 이후 이들을 통해 잠재적 학습자인 미용관련대학 학 생들을 추천받아 샘플링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광주, 대구, 전남에 소재한 대학의 미용관련학과 재 학생 및 대학원생, 대학졸업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 다. 조사기간은 2020년 12월 15일∼2021년 1월 6일까지 약 한 달간 이었으며 설문지는 총 218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응답자 7명을 제외하고 211부를 최 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반영구화장 잠재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항을 설계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문항들은 자기 기입식 방법으로 구 성하였고, 본 연구에 사용된 변인들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잠재적 학습자의 성별을 살펴보면 여성이 94.8%, 남성이 5.2%로 나타났 고, 나이는 20대 85.3%, 30대 4.3%, 40대 10%, 50대 0.5%로 나타났다. 학력 은 전문대학 대학생 57.3%, 일반대학 대학생 30.6%, 대학원생 6.6%, 대학 졸업생 1.4%로 2년제 대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

성에 대한 정확한 자료 수집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Ⅲ-1>

과 같다.

<표 Ⅲ-1> 잠재적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N=211)

구 분  항 목  빈도(N) 퍼센트(%)

성별 여성 200 94.8

남성 11 5.2

나이

20대 180 85.3

30대 9 4.3

40대 21 10.0

50대 1 0.5

학력

전문대학 대학생 121 57.3

일반대학 대학생 73 34.6

대학원생 14 6.6

대학졸업생 3 1.4

합 계 211 100

(2) 설문지 문항

잠재적 학습자대상 요구분석을 위한 설문 내용은 5가지로 구성하였다.

반영구화장 경험도 김신영(2019), 김희화(2018), 반영구화장 선호도 김남희 (2017), 김희화(2018), 박건희(2013, 2016), 반영구화장 인식 김신영(2019), 정유진(2019), 제도화 정유진(2019)등을 바탕으로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문항들은 모두 ‘매우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 다. 5점’의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총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 구대상자 일반적 특성에 대한 정확한 자료 수집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Ⅲ-2>와 같다.

<표 Ⅲ-2> 잠재적 학습자대상 설문지 문항의 구성

구 분  설문 내용  문 항 출 처

일반적 특징 성별, 나이, 학력 3

-반영구화장 경험도

시술경험, 시술부위,

교육경험, 교육장소 4 김희화(2018) 김신영(2019)

반영구화장 선호도

시술의사, 교육의사, 교육비,

교육부위, 교육기간, 교육장소 6

박건희(2016) 김남희(2017) 김희화(2018) 박건희(2013) 반영구화장

인식

교육필요성, 시술자, 직업관

교육중요도, 미래전망 5 김신영(2019) 정유진(2019)

제도화 합법화, 국가자격증 2 정유진(2019)

소 계 20

b. 반영구화장전문가 (1) 일반적 특징

본 연구에서의 전문가란 첫째, 현장 전문가로 일정기간 동안 반영구교육을 이수하고 현장에서 1년 이상 반영구화장 시술한자(반영구화장샵원장)를 말한 다. 이는 현장 중심 인력으로 개발에 필요한 학습요구 및 필요성이 요구되는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둘째, 반영구화장 교육전문가(교육강사, 원장)로 교육 절차 및 방법 등에 대한 애로사항 및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교육현장 경험자 로 필요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광주지역에 종사하는 자로 연구자와 개인적 친분이 있는 자로 섭외하였으며, 이후 이들을 통해 반영구화장 전문가를 추천받아 샘플링 하였다. 현장전문가 4명, 교육전문가 3명으로 총 7명을 대상으로 필요

분석 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11월 30일∼12월 28일까지 한 달간으로, 분 석방법은 다수의 의견을 짧은 시간 내 수집 가능한 설문방법과 및 심층적 내 용분석을 위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그 내용은 동일한 질문을 위한 구조 화된 형태로 직접면담 및 전화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반영구화장 전문가를 대상자 7명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은 여성이 5명, 남성이 2명으로 여성이 많았다. 직업은 반영구화장 교육원장 4명, 반영구화 장샵 원장 3명으로 구성하였다. 나이는 절반이상이 40대로 가장 많았고 학 력은 대졸 3명, 대학원졸업이 4명으로 나타났으며, 그 내용은 <표 Ⅲ-3>과 같다.

<표 Ⅲ-3> 전문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N=7)

이름  성별 나이 학력 직업 경력

전문가 A 여 20대 대졸 반영구화장샵

원장 1년

전문가 B 남 30대 대졸 반영구화장샵

원장 1년

전문가 C 여 40대 대졸 반영구화장샵

원장 15년

전문가 D 여 40대 대학원졸 반영구화장

교육원장 5년

전문가 E 여 40대 대학원졸 반영구화장

교육원장 10년

전문가 F 여 40대 대학원졸 반영구화장

교육원장 15년

전문가 G 남 50대 대학원졸 반영구화장

교육원장 27년

반영구화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문항을 설계하여 설문지 및 면담을 동 시에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문 항들은 모두 ‘매우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변인들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의 목적

에 맞게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2) 설문지 문항

전문가대상 필요분석을 위한 설문 내용은 5가지로 구성하였으며, 일반적 특징, 반영구화장인식은 정유진(2019), 교육환경은 김희화(2018), 이승민 (2017), 교육필요성은 김희화(2018), 박순자(2018), 서은경(2013, 2016), 정유진 (2017), 전망은 박건희(2016) 등으로 총 21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그 내용은

<표 Ⅲ-4>와 같다.

인터뷰 문항은 전문가별(현장전문가, 교육전문가)로 일반적 특성, 시술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교육의 사회적 의미 등을 목적에 맞게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 내용은 <부록 1>에 제시하였다.

<표 Ⅲ-4> 전문가대상 설문지 문항의 구성

구 분  설문 내용  문 항 출 처

일반적 특징 성별, 나이, 학력, 직업 4

-반영구화장 인식

합법화, 자격증신설,

직업관, 비의료인시술 4 정유진(2019)

교육환경 교육비, 교육시간, 교육환경

시술환경, 교육과정개선 6 김희화(2018) 이승민(2017)

교육필요성 교육체계화, 대학교육과정,

ncs교육필요성, 재교육 5

김희화(2018) 박순자(2018) 서은경(2013, 2016)

정유진(2017)

전망 미래전망, 추천의사 2 박건희(2016)

소 계 21

(3) 면담의 자료수집 방법

면담은 반구조화된 방식을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은 면 담 진행에 앞서 대상자들에게 질문내용을 미리 제공지만 대상자의 반응에 따 라 추가 질문을 하는 방법이다. 연구자는 반영구화장교육 프로그램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반영구화장 교육전문가 3인과, 현장전문가 4인으로 총 7인 을 대상으로 질적 인터뷰 문항을 구성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참여자의 개 인정보 보호를 위해 참여자 A, 참여자 B 등으로 구분하여 표기하였으며 참 여자 A∼C는 교육전문가, D∼G는 현장전문가의 면담내용을 의미한다. 인터 뷰 문항은 미술관의 시니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터뷰 권은용(2019)과 평 생교육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인터뷰 이예은(2020)의 질문을 참 고하여 본 연구의 용도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작성되었다. 인터뷰과정은 직접 대면하거나 전화 상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면담시간은 1시간 이내로 실시하 였다. 내용은 녹음 후 전사 작업을 진행하였다. 내용이 불명확하거나 추가 면 담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화 또는 카톡 메시지를 활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면 담 시 참여자가 표현한 언어를 그대로 기록하고 녹음한 내용과 기록한 내용 을 여러 번 반복하여 확인하였다. 이는 반영구화장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분석 을 통해 방향성을 모색하는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