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 리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57)

나타났다. 이는 신지영(2020), 이승민(2017)의 연구에서 위생관리가 가장 중요 시 되었던 것과 달리 시술자의 전문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하였다. 또한, 김희화(2018)의 반영구화장의 실태조사와 법적제고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 연 구에서는 반영구화장의 위생관련에 대한 규제나 보안이 필요하다고 하였으 며, 위생, 적절한 장비, 재료와 시술법의 정확한 규정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고 제언 하였다. 유사 맥락에서 김신영(2019)은 미용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보 다 더 자세히 교육실태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 동기는 창 업을 위해서가 가장 많았고 교육 인원은 3∼5명으로 소그룹 형태를 희망하였 으며 교육 장소는 반영구화장 전문교육기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기간 은 3∼6개월을 선호하였으며 이론교육 시간이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연구자 는 반영구화장 교육 커리큘럼을 수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NCS학습모듈 적용 을 제안하였다. 또한, 황종열(2017), 박건희(2016)의 연구에서 가장 선호하는 시술부위나 가장 많이 시술한 부위는 눈썹, 아이라인 순으로 나타났다. 요구 분석 결과는 아래 <표 Ⅱ-12>와 같다.

반영구화장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관한 요구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교육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이승민(2017)은 위생, 보건, 안전에 관한 내용으로 정기교육 도입과 신지영(2020)은 위생 및 감염에 대한 교육 필요성과 김신영(2019)은 교육 커리큘럼을 수정할 필요성이 있으 며 NCS학습모듈 적용을 제안하였다. 특히, 감염예방을 위한 공중위생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반영구화장교육 요구도는 사회적, 조직적, 개 인적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미용영역에서 가장 기본적인 위생 및 감염에 관한 학습요구도가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론수업의 부 족은 실기기술 위주의 교육에 대한 교육과정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육현황 및 교육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위생 및 감염관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 나 반영구화장 교육프로그램 연구가 많지 않아 실제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한계가 있다. 하지만 반영구화장교육 관련 체계적 교육프로그램 도입 필요성 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이 본 연구자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으며, 교육프로그

램 개발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영구화장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요구도 분석결과 를 반영하여 설계하였다.

<표 Ⅱ-12> 선행연구 반영구화장 교육 요구분석

연구자 연구내용 요구분석 결과

안현정(2021) 반영구화장 감염예방 공 중위생교육 요구도 조사

손 위생관리, 보호구 착용, 기구관 리, 감염관리

신지영(2020) 반영구화장 교육 필요성 에 대한 요구조사

위생 및 감염 교육의 필요성을 가장 선호

이승민(2017) 세미퍼머넌트 메이크업 교 육 실태에 대한 요구조사

안전과 보건, 위생, 시술자의 건강상 태에 대한 정기적 교육도입이 필요

김신영(2019) 미용업 종사자를 대상으 로 교육실태 및 요구조사

반영구화장 교육 커리큘럼을 수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NCS학습모듈 적용 을 제안

황종열(2017)

반영구시술 교육프로그 램 교육 만족도, 재교육 의도

눈썹, 아이라인에 대한 교육만족도 및 재교육 의도 높음

김희화(2018) 반영구화장의 실태조사 위생관련에 대한 규제나 보안이 필 요

박건희(2016)

반영구 화장의 시술 및 심리적 만족도를 위한 요구조사

반영구화장시 눈썹이 가장 시술이 많음

반영구화장 시술 중요 요소는 시술 자의 전문성, 디자인이나 색상, 시술 자의 위생상태, 도구의 위생적인 부 분 등

Ⅲ. 연구방법 및 절차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