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영유아 발달변화 1) 영유아 전반적 발달

영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K-CDI를 사용하였다.

K-CDI는 Ireton의 CDI(ChildDevelopmentInventory;Ireton,1992)를 한국어로 번안 하여 한국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한 검사이다.15개월에서 6세 사이의 아동들,또는 이와 같은 연령 범위에서 발달적 기능을 한다고 판단되는 그 이상(또는 이하)의 연 령을 가진 아동을 진단하기 위한 발달검사도구이다.

발달항목에는 사회성,자조행동,대근육 운동,소근육 운동,표현 언어,언어 이해, 글자,숫자,그리고 전체발달을 포함하는 척도들로 구성되어 있다.본 시범사업에서 투입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전‧사후검사에서 측정된 각 발달항목 별 점수가 집단(실험‧비교)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집단의 프로그램효과여부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대응표본 t 검증(pairedt-test)을 실시하였다.사전검사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Ⅳ-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경우 영유아 의 사회성(t=-1.98,p<1.0),자조행동(t=-3.13,p<.01),언어이해(t=-2.59,p<

.05),글자와 숫자(t= -4.05,p< .001)의 영역에서 사후검사 점수가 향상된 결과가 나타났다.이는 실험집단에 제공된 프로그램이 영아의 경우 영아용 지도 프로그램은

영역 집단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t

사회성 실험집단 29.23 6.13 30.56 6.04 -1.98* 비교집단 29.43 6.18 30.25 6.44 -1.30 자조행동 실험집단 33.56 5.64 35.13 4.81 -3.13**

비교집단 33.83 4.96 34.60 5.11 -1.31 대근육운동 실험집단 26.86 3.26 27.06 4.14 -.41

비교집단 26.71 3.49 26.98 5.11 -.56 소근육운동 실험집단 26.22 5.95 26.91 5.71 -1.75 비교집단 26.70 4.32 26.50 5.81 .31 표현언어 실험집단 42.85 12.46 43.85 10.25 -.94 비교집단 43.66 9.65 43.82 9.58 -.15 언어이해 실험집단 43.12 10.07 44.84 7.77 -2.59*

비교집단 42.20 10.12 43.57 10.99 -1.76 글자와 숫자 실험집단 20.10 13.26 24.44 12.39 -4.05***

비교집단 21.84 12.81 23.47 13.73 -2.45* 기본생활습관,언어인지영역,사회정서영역에 대한 것이었으며,유아들의 경우 유아 용 지도 프로그램(언어,인지,사회,정서)과 개념학습활동이었다.즉,실험집단 영유 아들에게는 대근육활동과 같은 신체영역에 대한 활동이 제공되지 않았으며,언어, 인지,사회,정서영역에 대한 프로그램 이외에 수,과학,언어영역의 개념학습활동을 제공받았다.따라서 처치를 받은 실험집단의 영유아들이 대부분의 발달영역에서 향 상이 나타났으며,본 프로그램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대근육운동영역에서는 사전, 사후점수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영유 아 지도 프로그램과 개념학습활동)이 대상 영유아에게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비교집단의 경우 글자와 숫자의 영역(t=-2.45,p<.05)에서만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다.

〈표 Ⅳ-1-2〉 영유아발달에 대한 집단별 평균 및 표준편차

단위: 점

*p<1.0.*p<.05.**p<.01.***p<.001.

한편,걱정되는 발달영역에 대한 질문에 대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자녀들의 발달 에 대한 걱정영역이 없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22%,35.2%),사후검사시 실험집 단의 경우 걱정되는 발달영역이 사회성영역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27.1%),비 교집단의 경우 여전히 사후검사 시에도 걱정되는 발달영역이 없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27.0%).

2) 건강 및 영양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아 및 유아의 건강,영양,식생활에 관한 질문 문항을 자체 제작하였다.본 시범사업에서 투입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따른 건강 및 영양에 관한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대상 영유아의 치아검진 여부에 대해 실험집단의 경우 치아검진을 해보지 않았다 는 응답이 사전검사 시에는 영아의 부모들은 검진을 받아본 적이 없다는 응답이 40%였으며,사후검사 시에는 71%가 치과검진을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유아의 부 모들도 사전검사 시 62%가 치과검진을 받아본 경험이 없다고 하였으나,사후검사 시 80%가 치과검진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반면,비교집단의 경우 영아부모들은 자 녀들이 사전검사 시 치과검진을 받아본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100%였으며,유아의 부모들도 62%가 치과검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사후검사 시 영아의 부모들은 25%가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유아부모들은 80%가 치과검진을 받았다고 응답하였 다.이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치과검진의 경험이 사후가 더 많아졌으나 실험 집단의 경우는 검진을 받았다는 응답이 비교집단에 비해 더 많이 증가한 점으로 보 아 부모교육 시 영유아의 건강검진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이 효과를 보았다고 여겨 진다.

한편,영유아의 식생활에 대한 습관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모두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 시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영유아 문제행동

영유아 문제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K-CBCL 1.5-5(유아행동평가척 도)를 사용하였다.유아행동평가척도는 표준화된 검사로서 부모보고를 통해 영유아 기에 나타나는 행동문제 또는 정서적인 문제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도구로 만18개월

∼만5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나,만6세 미취학 아동도 해당할 수 있다.각 문항에 대 해 지난 6개월 내에 유아가 그 행동을 보였는지를 판단하여 0-1-2(전혀 아니다-가끔 그렇다-자주 그렇다)의 3점 척도로 평가한다.문제행동 증후군 척도는 정서적 반응 성,불안/우울,신체증상,위축,주의집중문제,공격행동,수면문제,기타척도,내면화 문제척도,외현화 문제척도,총문제행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시범사업에서 투입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내재화,외현화,총 문제행동에서 측정된 사전 및 사후 검사 점수가 집단(실험‧비교)에 따라 차이가 있

영역 집단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t

내면화 문제행동

실험집단 50.72 13.27 47.71 12.54 2.35* 비교집단 53.14 11.25 51.29 13.58 1.25 외현화

문제행동

실험집단 50.19 12.83 48.72 12.83 1.12 비교집단 53.07 10.96 49.50 13.20 2.47* 총문제행동 실험집단 50.17 13.94 47.47 13.66 1.88* 비교집단 52.75 11.68 49.77 11.68 1.88* 는지를 살펴보았다.이를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의 사전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집단을 살펴보면 내면화문제행동(t=2.35,p<.05)과 총문제행동(t=1.88,p

<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아졌다.또한 비교집단의 경우는 외현화문 제행동(t=2.47,p<.05)과 총문제행동(t=1.88,p<.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아졌다.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문제행동의 점수가 낮아진 것은 프로그 램의 효과로 인해 문제행동이 감소되었다고 볼 수도 있으나,사전사후검사의 실험배 치 반동효과때문일 수 있음을 고려해 볼 수 있다.즉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은 비교 집단의 경우에도 같은 검사를 두 번 실시하였기 때문에 본인이 두 번째 검사에서 더 우호적으로 변화되었다고 여기고 자녀를 평가하였을 수 있음도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표 Ⅳ-1-3〉 영유아 문제행동의 평균과 표준편차

단위: 점

*p<1.0.*p<.05.**p<.01.***p<.001.

나. 부모 양육역할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