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1. 연해주 농업 여건

◦ 연해주의 초지를 제외한 농업용지 면적은 약 113만 ha로 연해주 총면적의 약 8% 수준이고, 초지를 포함할 경우 약 284만 ha의 농경지 규모임.

- 농업용지 중 실제 경작지는 약 36만 2천 ha로 전체의 약 30% 만이 경작 되고 있음.

◦ 항카호 주변의 관개 시설은 양호한 편이나, 전체적으로 농업 시스템이 낙후된 상태임.

- 연해주는 구 소련연방시절 흑해 연안 크라스나다르와 더불어 주요 쌀 생산지였음. 연해주는 쌀농사를 위해 항카호 주변의 토지를 개발하여 대규모의 관개시설을 확충하여 전략적으로 논농사를 시작하였음.

- 연해주 대부분의 농장은 농기계, 건조·저장·운송 시설 등의 시스템은 갖 추어져 있으나, 노후화, 부속품 분실 등으로 농장운영을 위해서는 리모 델링이 필요함.

- 용·배수로 등 기반시설은 형태를 갖추고 있으나 관리가 되지 않아 정비 가 필요하고, 수문 등 철 구조물은 망실되어 재설치가 필요함.

표 4-12. 관개시설과 경작 여부에 따른 연해주 농경지 현황(2005년)

◦ 연해주의 농업은 구 소련연방 붕괴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2000년 이 후 회복단계에 들어서고 있음.

- 연해주의 농산물 생산량 감소 원인은 코호즈 및 삽호즈의 사유화, 이농 현상 등임.

- 코호즈 및 삽호즈의 사유화는 연해주 농업의 붕괴를 더욱 가속화시킴.

- 농장의 사유화는 독자적인 영농 준비가 되지 않은 농민들로 하여금 스 스로 영농을 포기하게 하였고, 농장의 붕괴는 농민들의 이농을 더욱 심 화시킴.

4.2. 연해주의 주요 재배 작물

◦ 연해주의 농작물 파종면적은 일부작목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지속적 인 감소 추세에 있음.

- 총 파종면적은 1990년 741.6천 ha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7년에 는 342.6천 ha로 1990년에 비하여 46.2% 수준임.

- 곡물 파종 면적은 1990년 229.2천 ha에서 2003년 93.5천 ha 까지 감소한 이후 2007년 107.8천 ha 까지 증가하였음.

◦ 2007년 기준 콩의 파종면적이 126.1천 ha로 가장 넓으며 다음으로 감자 의 파종면적이 44.1천 ha 순임.

- 콩 파종면적은 1990년(113.3천 ha) 이후 감소하였다가 2000년(91.9천 ha) 이후 증가하여 2007년(126.9천 ha)에는 1990년보다 파종면적이 증가함.

- 감자의 경우 1990년 35.9천 ha에서 2000년 53.7천 ha 까지 파종면적이 증가하였음. 이 후 파종면적이 2007년 44.1천 ha 까지 감소함.

◦ 1990년과 비교하여 가장 크게 감소한 사료작물 파종면적은 1990년 351.3천ha에서 2000년 119.2천 ha로 66.1%가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도

2007년에는 51.2천 ha까지 감소하였음. 곡물류 229.2 168.4 93.5 97.3 108.2 101.1 107.8

추파곡물 2.4 3.7 0.2 1.0 1.2 -

-특용작물 113.3 91.9 110.1 128.8 137.8 134.0 126.9

112.7 91.5 109.9 128.5 137.4 133.7 126.1

해바라기 0.3 0.4 0.2 0.2 0.2 0.3 0.8

◦ 연해주 파종면적이 러시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44%로 매우 낮

러연방 전체(B) 102,540 77,478 77,104 76,363

A/B(%) 0.55 0.58 0.47 0.44

곡물(미맥류)

연해주(A) 187.4 168.4 108.3 104.6

러연방 전체(B) 54,705 43,785 43,357 44,430

A/B(%) 0.34 0.38 0.25 0.24

연해주(A) 28.1 44.3 30.7 35.0

러연방 전체(B) 23,909 25,399 23,640 24,403

A/B(%) 0.12 0.17 0.13 0.14

- 그 외 밭작물은 주로 밀·보리, 감자, 콩을 재배함.

◦ 농가와 농지간의 거리가 멀어져 농기계나 인력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함.

- 구소련 시기에 원활한 주민 통제를 위해 마을 주변에 있는 농가를 마을 중심으로 이주시켜 단독으로 남아 있는 농가를 모두 없앴음.

- 그 결과, 마을에는 농가가 밀집해 있는 반면 마을과 마을 간의 거리가 20~30 Km에 이를 정도로 멀게 되었음.

- 이로 인하여 농지에서 농산물을 도난당하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함.

◦ 밭 작물은 대부분 파종 후 잡초 제거 등 관리를 하지 않아 잡초와 함께 자라고 있어 수확량 감소의 원인이 됨.

◦ 토질의 황폐화 방지를 위해 윤작 재배를 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토양관 리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우수리스크 지역 토양은 배수가 균일하지 못함.

- 핫산 지역은 상대적으로 배수가 양호함.

◦ 구소련의 몰락과 함께 농산물 저장시설과 유통시장이 사라졌음. 일부 도시 지역을 제외하고 농산물의 도매 및 소매를 위한 정규적인 시장제 도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

◦ 소수의 자본가(일부는 마피아 조직과 연계)가 농산물 유통업계를 장악 하고 있어 생산된 농산물의 판로가 불안정함.

◦ 연해주에는 종자별로 저장 시설이 있으며, 일부지역의 개별농장에는 소 규모 종자 저장고만 있고 들녘단위로 대규모 저장고가 있음.

◦ 건조장·창고 등의 기반 시설이 공동소유로 되어 있음.

- 개인이 경작과 가공을 하는 경우 공동소유의 시설을 개인적으로 이용하 기가 쉽지 않음.

- 기반 시설을 직접 건설하여 사용하려 해도 과도한 비용 때문에 무리가 있음.

4.4. 노동력

◦ 연해주의 노동력수요는 러시아인보다 중국인을 더 선호하고 있음.

- 러시아인의 상당수가 분업에 익숙해져 있으며, 자신에게 맡겨진 일 외 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음. 사업체에 고용되는 경우에도 외부의 변화 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낮은 편임.

- 이것은 구소련의 붕괴로 인하여 경영체제가 붕괴된 결과, 개별적으로 맡은 바 일에만 충실히 하는 것에 익숙해져있는 노동력을 조직의 공동 목표 달성으로 이끌어갈 시스템의 결여, 리더 및 경영자의 부족에 기 인함.

- 한편 중국인 또는 고려인은 자신에게 맡겨진 일에 적극적으로 임하며 맡겨진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성과를 내고자 하는 성향을 보임.

- 실제로 러시아인이 운영하는 돼지사육 농장의 경우, 러시아인들보다는 생산성 높은 중국인을 고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음.

◦ 연해주 농업 노동력(장비 기사, 영농 책임자)의 질은 과거에 비하여 떨 어지고 있음. 젊은 노동력이 농대를 졸업하였으나 농업기반이 무너지 고 농업분야 소득이 도시지역에 비하여 낮으므로 농업분야에 종사를 기피함. 따라서 장비 기사는 대부분 50대임.

- 최근 농기계가 중심이 되어 영농활동을 하므로 장비기사의 임금이 상승 하고 있어 젊은 노동력이 농촌으로 유입될 유인이 있으나, 인건비의 상 승이 아직까지는 매우 작은 수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