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1. 연구 범위

이 연구의 대상은 정부의 통합마케팅사업을 전담하는 통합마케팅조직으 로서 매년 실시하는 산지유통종합평가 결과에 따라 정부에서 지원을 받는

조직이다. 2018년부터 산지유통조직 구분체계를 정비하였기 때문에 이 연

구에서도 같은 구분체계를 따랐으며, 통합마케팅조직과 품목광역조직을 통 합마케팅조직으로 통칭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일반화하였다. 따라서 2018 년에 정비한 통합마케팅조직은 합병농협을 포함한 지역연합조직과 품목광 역조직으로 나눌 수 있다. 지역연합조직은 시·군·구 또는 시·도 단위의 1개 이상 참여조직과 협약을 체결하고 참여조직에 출하한 원물 또는 상품에 대 한 통합마케팅사업을 전담하는 통합마케팅조직이며, 주요 형태는 조공법 인, 연합사업단, 농업법인 등이다. 지역연합조직에는 제주조공법인, 나주시

서론 11

조공법인, 남원시조공법인, 강원연합사업단, 경북연합사업단, 멜론전국연 합, 농업회사법인(주)의령군토요애유통, 농업회사법인(주)제이팜스 등이 해 당된다. 품목광역조직은 3개 시·군·구 또는 2개 시·도 이상에서 확보(매취 또는 수탁)한 원물 또는 상품에 대하여 통합마케팅사업을 전담하는 통합마 케팅조직이며, 주요 형태는 조공법인, 연합사업단, 농업법인 등이 있다. 품 목광역조직에는 대구경북능금농협, 충북원예농협, 햇사레과일조공법인과 농업회사법인신선미세상(주), 영농조합법인송원에이피씨 등이 해당된다.6 한편 통합마케팅조직 중에서도 규모화나 조직화가 더 필요하고 정부에 서 직접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과일, 과채, 채소 등 원예농산물을 취 급하는 통합마케팅조직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시간적 대상은 통합마케팅조직의 도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2012년부터 최근에 평가결과가 나온 2017년까지이다.

□ 산지유통활성화조직 ◦ 통합마케팅조직 ◦ 품목광역조직 ◦ 개별조직(합병농협 포함)

□ 통합마케팅조직

◦ 지역연합조직(합병농협 포함) ◦ 품목광역조직

<그림 1-1> 통합마케팅조직 구분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8). 2018년 산지유통 정책설명회.

2018년 산지유통종합평가에서 선정된 2017년 산지유통활성화조직은

116개소이며, 이 중 지역연합조직은 86개소, 품목광역조직은 30개소이다.

조직화 취급액 100억 원 이상인 대형조직은 69개소로 59.5%를 차지하고, 조직화 취급액 100억 원 미만인 중형조직은 47개소로 40.5%를 차지하였다.

6 자세한 리스트는 <부록 1>을 참조할 수 있음.

구분 대형 중형 소계

서론 13

이후의 도매시장 일별 가격으로 구조변화를 살펴봤으며, 통합마케팅조직의 출하가격이 일반출하가격보다 높았는지에 대해 품목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통합마케팅조직의 적정규모는 비용함수에서 규모의 경제 지표를 위해 비 용의 산출탄력성을 이용하였다. 규모의 경제가 1보다 작으면 규모를 확대 해야 하고 1보다 크면 규모를 줄여야 한다. 이를 기준으로 통합마케팅조직 의 적정규모를 도출하였다.

통합마케팅조직의 실태 평가를 위해 전문가(농협경제지주, 조공법인 대 표, 연합사업단 대표, 농업회사법인 대표, 지자체 산지조직 담당자, aT, 농 식품부) 및 정책담당자(농식품부 유통정책과, aT 산지유통부, 농협 품목연 합부) 간담회를 10회(3월27일, 4월17일, 5월21일, 6월25일, 7월25일, 8월13 일, 8월23~24일, 9월4일, 10월4일) 개최하였고, 통합마케팅조직 21개소 방 문조사, 2개소를 전화로 조사하였다.7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표를 작성하 여 aT의 협조로 9월 5~14일 동안 인터넷, 우편, FAX를 통해 조사하여 결 과를 도출하였다. 통합마케팅조직 형태에 대한 적절성은 조직 이론을 바탕 으로 분석하였다. 통합마케팅조직의 활성화 요인은 국내 65개소의 통합마 케팅조직에 대해서 자료, 방문조사, 인터넷을 이용하고, 해외사례는 자료와 현장방문으로 도출하였다.

4.3. 연구 추진 체계

2012년 통합마케팅조직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2017년 기준 116개소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정책 자료를 통해 산지유통정책의 추 진 실태를 파악하고 통합마케팅조직에 대한 도입 배경 등에 대해 살펴보았 다. 통합마케팅조직의 현황 및 실태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한 후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는 체계로 구성하였다<그림 1-2>.

7 자세한 리스트는 <부록 2>를 참조할 수 있음.

이를 바탕으로 통합마케팅조직의 경영 안정성과 운영 효율성 강화 방안 을 도출하고 향후 통합마케팅조직의 정책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림 1-2> 연구 추진 체계도

자료: 저자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