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개방병원제도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마련하기 위 해 문헌 고찰, 실태 조사, 기존 자료 분석, 정책자문회의 등의 방법을 활 용하고자 한다.

가. 문헌 고찰

기존 국내외 개방병원제도의 이론적인 측면과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 하여 개방병원 실태 및 인식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 구성 및 조사 방법과 분석 방법 등 전체적인 연구의 틀을 구축하고자 한다. 그리고 주요 국가 의 개방병원제도를 고찰하여 우리나라 개방병원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모 색하는 데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나. 개방병원 의료기관의 운영 및 진료 현황 분석

개방병원 신청 기관의 현황과 추세 분석을 위하여 지난 10년간 (2006~2015)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제출된 개방병원 신 청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방진료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서 2009년 개방병원 운영 지침 시행 전후 시점인 2006년부터 2015년까 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개방진료 청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정 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계열개입분석(Interrupted time series analysis)을 적용하였으며, 측정 변수로 개방병원제도 참여 병의원 수, 개방병원제도 참여 병의원의 의료 이용량(환자 수, 의료 이용 건수, 진료 비 등)을 사용하였다.

제1장 서론 39

다. 개방병원제도 운영 실태 조사

실태 조사에서는 개방병원제도에 참여하고 있는 개방병원과 참여의들 을 대상으로 개방병원제도와 관련한 운영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 방 안을 위한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태 조사는 양적인 조사 (quantitative survey)와 질적인 조사(qualitative survey)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양적인 조사는 가장 마지막으로 실시된 2005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 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지난 10년간 개방병원제도의 운영 실태가 어떻 게 변화되었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질적인 조사는 개방병원제도의 운영 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과 개방병원제도 활성화를 위한 의료 수가 개선 방 안, 의료분쟁 대처 방안 등의 정책적인 방안이 제시되었지만 여전히 답보 상태를 보이고 있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심층적인 면접 질문으로 진 행되었다. 특히 개방병원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양적 조사를 통해 조사할 수 없었던 부분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라. 정책 평가 분석 방법

개방병원제도 참여 의료기관들의 운영 실태 차이를 의료기관 특성별로 분석하기 위하여 기초적인 통계 분석을 적용하였다. 정책 효과에 대한 추 정 방법으로는 시계열개입분석(Interrupted time series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시계열개입분석 방법은 1963년 캠벨에 의해 최초로 도입되 었으며, 이는 어떤 시계열에 개입이 있었을 경우 변화 시계열의 크기를 검정하는 것으로 개입 전과 개입 후를 가변수(dummy variable)로 처리 하여 모형화한 것이다.

마. 질적 분석 방법

질적 연구의 자료 분석은 연구 방법 전략에 따라 분석 방법에 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인 절차를 사용하기도 한다. 질적 자료 분석은 구체적인 것에서 일반적인 것으로 단계를 따르며, 각 단계들은 상호 관련되어 있어 앞으로 진행하다가 다시 되돌아가 이전 단계를 거치기도 한다. 본 연구에 서는 자료 수집과 동시에 분석이 이루어지는 회귀적이고 반복적이며 역 동적인 과정을 통해 개방병원제도의 구체적이고 폭넓은 이해를 얻고자 노력하였다.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질적 분석 단계를 거쳤다(Braun &

Clarke, 2006).

1단계에서는 분석할 자료를 조직하고 준비하는 단계로서 인터뷰 내용 을 필사하고 자료에 대한 대략적인 감을 얻기 위해 자료를 눈으로 보았 다. 연구자의 메모, 다양한 출처의 자료(개방병원 홍보자료, 개방병원제 도 설명 자료, 수익 분배율 정리표 등)를 정리하였다. 2단계에서는 모든 자료를 읽고 또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참여자들의 생각, 느낌, 자료의 깊 이와 신뢰성 등을 고려하면서 읽었다. 또한 자료를 읽으면서 연구자 자신 의 생각을 메모하여 기록하기도 하였다. 3단계에서는 코딩 과정을 통한 구체적인 분석이 시작되었다. 코딩은 정보에 의미를 부여하기 전에 자료 를 텍스트 조각으로 조직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인터뷰 자료를 단어, 구, 절 또는 문단으로 범주화하고 참여자가 사용한 언어로 범주에 이름을 붙였다. 4단계에서는 코딩 절차를 사용하여 장소나 사람에 대한 기술, 분석을 위한 범주나 주제를 끌어내었다. 5단계에서는 주제에 따라 질적 자료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를 생각하면서 서술하였다. 흔히 사건 의 발생 순서에 따라 언급하여 논의하거나, 여러 주제에 따라 구체적으로 논의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제와 하위 주제에 따라 구체적인 참여

제1장 서론 41

자의 이야기를 인용문으로 담아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마지막 6단계에 서는 해석 단계로, 연구를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 무엇을 알게 되었는지 를 해석하는 단계이다. 즉 연구자는 자세하게 조사한 연구 결과를 기존에 보고된 연구나 문헌, 이론과 비교, 검토하여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자료의 분석을 통해 개방병원제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바. 정책자문회의

연구에서 필수적으로 감안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상의 접근 방법들 중 미비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건의료 인력의 분야별 전문가의 시각에서 검토를 받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계, 관련 보건의료협회, 정부 및 분야별 단체 등의 연구자문단을 구성하여 개별적 심층면접 및 자문회의, 워크숍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