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연구 방법

문헌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인구정책 발전 과정을 정리하고, 현재 수집‧

복원된 출산력 조사자료(raw data)와 해당 연도 조사보고서를 활용하여 출산력 변천 과정을 분석하였다(그림 1-1 참조).

먼저 1974~2012년 13차례의 횡단면적 조사결과를 통합한 DB의 기 술통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15∼49세 기혼여성 조사자료의 비교․검토로 데이터세트를 구축하였다. 2012년에 이미 작성된 12차년도(1974∼

2009년) 가구단위 출산력 통합파일에 대한 빈도표를 검토하고, 이상치 등에 대한 재부호화 작업, 추가 필요변수에 대한 보충 작업 등을 실시하 였다.

그다음 2012년 출산력 자료에 대한 조사내용 및 변수의 비교․검토를 실시하여 변수의 생성 및 표준화 등의 작업을 실시한 후, 본 연구를 위하 여 13차년도(1974∼2012년) 기혼여성(15∼49세) 통합파일을 구축하였 다. 본 연구는 출산력 변천에 관한 시계열적 분석이 주목적이므로 2012 년 출산력DB 모듈에 포함되었던 조사 당시 2년간의 임신․출산에 관한 사 항, 모자보건 관련 사항, 자녀양육 및 보육에 관한 사항 등은 제외되었다.

출산행태의 시계열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혼인․임신․출산 관련 변 수의 기술통계를 분석하였으나, 생애임신․출산력에 대한 내용은 통합파일 로는 충분히 분석되지 않아 생애임신력에 대한 조사가 실시된 1988년과 2006년의 임신력 파일을 이용하여 추가로 분석하였다. 생애임신력에 대 한 조사는 예산 및 조사상의 어려움 등으로 매 출산력 조사에서 실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2차년도 자료만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출산력 조사 기혼여성(15∼49세) 통합파일은 총 6 개의 모듈(module)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모듈은 응답여성 및 가구 일

반사항, 결혼에 관한 사항, 피임실천에 관한 사항, 임신․출산 및 임신소모

산 및 임신소모 등에 관한 사항, 인공임신중절 순위별 행태 등이 포함되 어 있다. 마지막 모듈은 가족 및 자녀 가치관 영역으로 결혼의 필요성, 자 녀 필요성 및 자녀 성선호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 설명된 문항들이 연도별 자료에 모두 포함되어 있지는 않 다. 출산력 조사 당시 사회적․정책적 중요도에 따라 일부 모듈(혹은 모듈 내 일부 사항들)이 조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통합파일은 매 조사에 대 해 표준화된 항목배열(layout)을 설계하였으므로 조사되지 않은 항목들 의 값은 ‘공백(blank)’으로 처리하고, ‘부인 승수(weight)’는 항목배열 (layout)에서 가장 끝에 포함되어 있다. 부인 승수는 특정지역집단에 속 한 표본수가 너무 적어 대표성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일정 배율로 표본을 추가 조사한 후 분석시 모집단상 비중으로 환원시키기 위한 것이다(신창 우 등, 2012).1)

또한 임신 및 출산 행태, 가치관 등은 15∼49세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피임실천 행태는 당시 조사가 주로 피임실천이 필요한 15∼

44세 유배우부인에 한정되어 실시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이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응답 항목별 무응답은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기혼여성 개인조사 자료 이용시 가중치가 제시된 경우 가중치를 적용하 여 결과표를 작성하였으나 1988년에는 분석대상자 수가 표본을 이용하 여 추정한 모수이므로 당해 연도 보고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원표본수(N) 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국 출산력 조사자료는 종단면적인 조사와 달리 동일한 표본을 이용하지 않았으며, 조사항목은 조사마다 분류체계 등이 통일되

1) 본 연구를 위한 출산력 통합파일(1974∼2012년)은 2012년에 작성된 출산력 시계열 자 료(1974∼2009년)를 기반으로 2012년 출산력 자료가 추가되고, 일부 변수에 대한 수정․

보완 작업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세부적인 설명은 신창우 등(2011)와 신창우 등(2012) 를 참고하시기 바람.

지 않은 한계점이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2015년 출산력 조사결과는 2016년 7월에 발표되었기 때문에 비교가 가능한 항목에 한정하여 보고 서 내용을 인용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전국 출산력 조사(1974∼2012)에 대한 개요는

<표 1-2>에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