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연구 방법

가. 개요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해외 사례 고찰, 공간계량분석, 기술 통계 분석, 임신 및 출산 관련 보건의료 인프라와 영아기 양육 지원 인프라의 이용에 관한 조사 방법, 초점집단면접(FGI)방법이 활용되었다. 본격적 인 논의에 앞서 우선적으로 형평성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보건의료 영역에서의 형평성의 개념, 양육 인프라에 있어서의 형평성의 개념에 대해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논의할 임신·출산 과 관련된 인프라와 영아기 자녀 양육을 지원하는 인프라의 개념 및 범 위에 대해 규정하였다.

임신·출산과 관련된 인프라와 영아기 자녀양육을 지원하는 인프라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통계 자료뿐만 아니라 OECD 통계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인프라의 형평성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접근도 에 관한 분석을 위해서 공간계량분석(Spatial Econometrics)방법을 활용하였다. 임신·출산과 관련된 인프라와 영아기 자녀 양육을 지원하 는 인프라의 현황을 파악하고 인프라의 접근도에 관한 분석 결과를 토 대로 하여 인프라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집단면접(FGI)를 실시 하였다. 마지막으로, 임신·출산과 관련된 인프라와 영아기 자녀 양육을 지원하는 인프라와 관련된 해외 사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그림 1-1 참조).

제1장 서론 21

〔그림 1-1〕 연구 체계도

문헌고찰

·임신·출산 및 영아지원 인프라의 문제점 고찰

·형평성의 개념

현황 및 문제점 해외사례

·임신·출산 인프라 수요/공급 통계 현황

·양육지원 인프라 수요/공급 통계 현황 · 미국/영국/일본

접근도 이용도 실태조사 심층면접사례

Focus group interview GIS분석

·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 건·복지 실태조사

· 한국의료패널조사

· 보육실태조사

임신 출산 및 영아기 양육관련

이용시설 실태조사

종합분석

결론 및 정책방안

22 임신‧출산 및 영아기 양육 인프라의 형평성과 정책과제 Autocorrelation)과 공간적 이질성(Spatial Heterogeneity)을 고려한 다는 것이다2). 이것은 설정된 공간적 범위내의 통계량을 평면적으로 분 분석이 가능한 Getis-Ords Statistics를 활용하였다.

모란지수는 주어진 전체 공간범위내의 데이터의 공간적 자기상관 관계 를 판단하는 글로벌 모란지수(Global Moran’s I)와 각 개별 공간의 공간

2) 월간 국토, 2014년 12월 (통권398호), Luc Anselin 인터뷰 내용 발췌

제1장 서론 23

24 임신‧출산 및 영아기 양육 인프라의 형평성과 정책과제

제1장 서론 25

문에 단순 위치속성을 가진 점(Point)을 기준으로 분석하는 것에는 한계 가 있다. 이 경우 Getis-Ord Statistics(Hot Spot Analysis)를 활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Getis-Ord 분석은 포인트간 거리를 기준으로 공간적 군

26 임신‧출산 및 영아기 양육 인프라의 형평성과 정책과제

존재한다고 판단하며, 0에 근접하는 값은 임의(random)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앞서 살펴본 Local Moran’s I와 유사하게 +3 이상의 경우 큰 속성 값(High Value)을 가지는 집단의 군집(Hot Spot Cluster), -3이하의 경우 작은 속성 값(Low Value)을 가지는 군집(Cold Spot Cluster)으로 분류하게 된다. 다만 Getis-Ord Statistics는 위치속 성을 기초로 분석되는 것이기 때문에 Local Moran’s I와 다르게 특이치 (Outlier) 구분이 되지 않는다. 본 연구의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이러한 공간계량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인프라의 접근도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